종합(췌장암 2).jpg

호주 연구팀이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두 배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사진은 달링허스트(Darlinghurst)에 있는 시드니 의학 연구팀 ‘Garvan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췌장암 연구원.

 

‘Garvan Institute’ 의료연구팀... 진단 후 수년까지 생존 가능

 

호주 연구팀이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치료법을 발견했다.

지난 5일(수)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의학 연구팀 ‘Garvan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의 주도로 진행된 연구에서 췌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두 배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조기진단이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진 췌장암은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률이 평균 7% 안팎에 불과해 가장 치명적인 암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 여배우 김영애씨가 지난 9일(일요일) 췌장암으로 사망해 한국에서도 췌장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번 연구로 40년 간 제자리 걸음에 머물렀던 췌장암 치료법 연구에도 큰 박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이 발견한 방법은 ‘파수딜’(Fasudil)이라는 약물로 3일 동안 암세포 주변 조직을 부드럽게 만든 뒤 2차 화학요법을 통한 항암요법을 통해 암세포를 취약하게 만드는 ‘순차적 치료방법’(one-two punch)이다.

이번 연구결과를 게재한 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따르면, 쥐를 대상으로 한 생체실험에서 생존시간이 25일 늘어나 기존 치료방법보다 생존률이 50% 증가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진행할 인체 임상시험에서도 성공할 경우 췌장암 진단 후 생존률이 몇 달에서 몇 년 더 연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은 ‘파수딜’에 대해 현재 일본에서 뇌졸중 치료 등에 사용되는 특허가 만료된 약으로, 가격이 싸기 때문에 임상에서도 사용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췌장암 2).jpg (File Size:52.6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7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6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5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4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3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2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0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9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8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7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6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5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4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3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2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0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9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8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