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 전형 1).jpg

전형적인 평균 호주인은 어떤 이들일까. 지난해 실시한 호주 센서스 조사 자료에대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ABS는 1차로 호주인 나이를 기반으로 호주인의 전형 자료를 발표했다.

 

38세 여성에 자녀는 둘, 남성은 37세... 2대의 자동차 보유

 

지난해 8월 실시했던 2016 센서스(Census)의 첫 통계자료가 나왔다. 이번에 나온 센서스 분석은 호주인의 전형을 확인한 것으로, 지난해 인구조사를 통해 나타난 호주인들의 다양한 면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A씨는 38세의 여성으로 호주에서 태어났으며, 영국계 후손이다. 12학년을 마친 그녀는 결혼을 하여 두 아이를 두고 있으며, 현재 거주하는 주택은 그녀 소유의 집이다.

A씨가 살고 있는 주택은 3개 침실을 가진 보통 크기의 집이며, 은행으로부터 받은 주택융자금을 매월 상환하고 있다. 그녀 가정이 보유한 자동차는 2대이다.

지난해 센서스 결과, A씨는 가장 보편적인 호주인의 전형이다.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2016 센서스 자료를 분석, 금주 화요일(11일) 발표한 호주인의 전형(Typical Australian)에는 각 주별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NSW 주와 퀸즐랜드(Queensland)의 중간 나이(Median age)는 30세로 호주 전국 중간나이와 같으며, 빅토리아(Victoria) 37세,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 35세,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40세,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37세, 타스마니아(Tasmania) 42세,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가 가장 젊은 34세로 나타났다. 또한 호주 원주민(Aboriginal &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 중간나이는 23세로 집계됐다.

아울러 서부 호주와 북부 호주를 제외하고 각 지역별 가장 보편적인 평균 호주인은 여성으로 분석됐다.

 

가사는 여전히 여성의 몫

 

이번 자료 집계 결과, 가사는 여전히 여성들이 더 많은 몫을 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B씨는 37세의 가장 보편적인 호주 남성으로, 그의 집안일은 주 5시간 미만이었다. 반면 38세의 A씨는 주 5시간에서 최대 14시간을 가사에 매달리고 있다.

한편 해외 이민자 출신의 가장 보편적인 호주인의 전형은 44세였으며 영국 출신이었다. 다만 이를 각 주별로 보면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ABS 집계 결과 해외 이민자가 가장 많이 정착하는 NSW, 빅토리아, 서부 호주 주로 집게 됐으며, 부모 중 한쪽이 해외 출신인 거주민이 가장 많았다. 특정 국가 이민자 거주를 보면, 빅토리아 주는 인도 출신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퀸즐랜드는 뉴질랜드 출신이, NSW 주는 중국계 비율이 다른 국가 출신보다 크게 높았다.

또한 호주에 거주하는 이들은 평균적으로 자기 소유의 주택에 살고 있으며(완전 소유이거나 또는 은행 주택융자가 있는) 예외적으로 북부 호주의 경우 자기 주택 소유자에 비해 임대 거주자 비율이 더 높았다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인구학자인 리즈 알렌(Liz Allen) 교수는 ABS가 내놓은 첫 센서스 분석에 대해 “모드 데이터(mode data) 기반의 호주인 나이를 갖고 집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이번 첫 집계는 흥미로운 내용이지만 호주의 다양성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라며 “오는 6월경 공개될 것으로 보이는 호주인의 종교나 기타 항목들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호주인의 전반적인 다양성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호주인의 전형

-Median age : 38세

-Sex : 여성

-Country of birth : 호주

-Country of birth of parents : Both parents born in Australia

-Language spoken at home : 영어

-Ancestry 1st response : 영국

-Marital status : Married in a registered marriage

-Family composition : Couple family with children

-Count of all children in family : 2자녀

-Highest year of school completed : 12학년(하이스쿨) 이상

-Unpaid domestic work : 5~14시간

-Number of motor vehicles : 2대

-Number of bedrooms in private dwelling : 3개

-Home : Owned with a mortgage

 

■ 해외 이민자 호주인 전형

-Median age : 44세

-Sex : 여성

-Country of birth : 영국

-Language spoken at home : 영어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인 전형 1).jpg (File Size:20.9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7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6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5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4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3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2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0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9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8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7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6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5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4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3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2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0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9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8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