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서큘라키 1).jpg

시드니 하버사이드(harbourside) 지구 재개발 계획 가운데 하나로 서큘러키(Circular Quay)의 레인웨이(laneway)가 멜번 스타일로 새로 단장될 전망이다. 사진은 로프터스 레인(Loftus Lane) 개발 계획 가상도.

 

상업 공간-주거지 조화, 시드니 도심 교통 요지로 재단장

 

시드니 하버사이드(harbourside) 지구 재개발 계획 가운데 하나로 서큘러키(Circular Quay)의 레인웨이(laneway)가 멜번 스타일로 새로 단장될 전망이다.

호주 자산운용사 ‘AMP 캐피털’(AMP Capital)의 투자로 진행되는 ‘키 쿼터’(Quay Quarter) 개발은 2020년 초 완성한다는 계획 하에 입안된 1만1천 평방미터의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로, 서큘러키 단지 내 새로운 카페, 레스토랑, 바(bar) 등 소매업체들이 들어서는 상업지구 건설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이 지역 거주민은 약 1천명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난주 토요일(1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페리 선착장과 200미터 떨어진 주거지 로프터스 레인(Loftus Lane)에 럭셔리 저층 아파트 건물 3채(106 가구)의 건설이 포함되어 있다. 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1860년대 양털 가게 ‘Hinchcliff House’도 쇼핑공간과 레스토랑이 겸비된 상가 건물로 탈바꿈한다.

‘AMP Capital’의 부동산 최고 책임자 루이스 메이슨(Louise Mason)씨는 “서큘러키 지구 재개발은 시드니가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그녀는 “서큘러키는 시드니의 아이콘이자 NSW와 시드니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직장인, 거주민, 방문객 모두에게 중요한 곳”이라면서 “하지만 현재 그 가능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매이슨씨에 따르면 새로 개발되는 레인웨이는 특별한 쇼핑, 카페, 레스토랑, 바 등이 즐비한 새로운 상업지구를 형성, 틈새시장을 공략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키 쿼터 시드니 프로젝트’는 낮밤에 필요한 시설들을 설치, 역사적으로 ‘9am-5pm’ 직장 풍경으로 가득했던 서큘러키의 풍경을 현대적으로 재단장하는 계획”이라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그런 한편 한 부동산 개발업체 관계자는 “브릿지 스트리트(Bridge Street) 상에 49층의 오피스 건물 ‘Quay Quarter Tower’가 들어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건물은 덴마크 회사 ‘3XN’이 디자인한 10억 달러 상당의 타워로 2020년 완공 예정이이다.

 

종합(서큘라키 4).jpg

하버 브릿지가 보이는 로프터스 스트리트 코너 상의 개발 계획.

 

서큘러키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오피스 타워들도 새롭게 재단장되며, 오페라 하우스도 외관을 재정비해 재탄생하게 된다.

아울러 싱가포르 기반의 ‘폰티악 랜드 그룹’(Pontiac Land Group)은 3억 달러를 투자해 브릿지 스트리트(Bridge Street) 상에 빅토리아 시대 풍 사암건물의 고급호텔(450 객실)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이 호텔은 지하 도로를 통해 로프터스 스트리트와 연결된다.

이와 함께 중국 부동산 개발업자인 달리안 완다(Dalian Wand)씨도 알프레드 스트리트(Alfred Street) 상에 59층 트윈타워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10억 달러 상당의 이 건물 안에는 럭셔리 아파트 타워와 170개의 객실을 구비한 호텔이 들어서며, 이 또한 2020년쯤 완공될 예정이다. 페리 선착장도 2억 달러를 들여 업그레이드 되며, 새 경전철 공사는 2019년 완공돼 운행이 시작된다.

한편 교육부는 10년 안에 이너 시티(inner-city) 인근 학교를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옵서버토리 힐(Observatory Hill)의 포트 스트리트 퍼블릭 스쿨(Fort Street Public School)도 포함된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 도시기획부 그레이엄 얀(Graham Jahn) 국장은 “시드니 전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써 서큘러키 페리 선착장이 가진 잠재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1950년대에 건설된 카힐 고속도로(Cahill Expressway)를 철거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고속도로를 제거하게 되면 비로소 서큘러키 페리 선착장이 열린공간, 공공장소, 상업공간이 조화를 이룬, 도심-항구의 연결 통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서큘라키 1).jpg (File Size:74.8KB/Download:22)
  2. 종합(서큘라키 4).jpg (File Size:94.1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1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4116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5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4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3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2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1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10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09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08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0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4106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5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4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3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2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1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4100 호주 코로나 팬데믹 20여 개월 500만 명 사망... 실제 사망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4099 호주 봅 카 전 NSW 주 총리, “안티 백서들의 메디케어 박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4098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