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후변화 모델 1).png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예측을 보여주는 ‘Coastal Risk Australia’ 웹사이트 상의 시드니 지역 지도. 이에 따르면 오는 2100년경 서큘라키, 보타닉 가든, 시드니 국제공항 등을 비롯해 주요 인프라 및 명소는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측된다.

 

해수면 상승으로... 호주 전역 ‘아이코닉’ 명소들, 바다 속으로

 

기후변화는 지구촌 모두에게 닥친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이로 인한 환경 문제를 제기해 온 호주의 경우, 전국의 주요 상징적 명소들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금주 화요일(23일) ABC 방송이 한 연구 결과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시드니 서큘라키(Circular Quay)와 보타닉 가든(Botanic Gardens), 브리즈번 국제공한, 멜번 도크랜즈(Docklands), 퍼스 엘리자베스 키(Elizabeth Quay)가 해수면 상승으로 물속에 잠길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미국 ‘해양대기처’(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현재 수준의 지구촌 탄소배출량이 지속될 경우 금세기 말인 2100년경 해수면은 2미터가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013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보고서에서 예상한 74센티미터 상승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NSW 대학교 기후변화연구소(Climate Change Research)의 존 처치(John Church) 교수는 “해수면 상승을 멈추게 할 수는 없지만 그 속도를 느리게 할 수는 있다”면서 “최악의 시나리오에 분명 대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문제는 지금과 같이 각 기업의 탄소배출이 계속될 경우 2미터까지 해수면이 상승하는 시점이 언제인가 하는 것”이라며 “호주 정부는 피할 수 없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수면이 점차 높아지는 것은 막을 수가 없고 이에 적응해가야 하기에 호주 해안선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처치 교수는 기후변화로 남극의 빙하가 녹아내리는 것이 해수면 상승의 주요원인이라며 이를 충분이 더디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종합(기후변화 모델 2).jpg

지난해 6월4일과 5일(토-일요일) 시드니 지역을 강타한 폭풍으로 상당한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특히 북부 해안지역인 콜라로이(Collaroy)와 나라빈(Narrabeen) 해안 침식이 심해 상당수의 주택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예측되는 가운데 기후학자들은 이를 막을 수 없지만 그 속도를 늦출 수는 있다며 정부의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해수면 변화를 예측한 ‘Coastal Risk Australia’ 웹사이트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으로 금세기 말경 호주의 주요 인프라가 바다에 잠길 수도 있다.

이 사이트를 제작, 운영하는 네이선 이튼(Nathan Eaton)씨는 “호주 인구의 80%가량이 호주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데, 해수면 상승은 상당수 주민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주요 위험 장소

-NSW : Sydney International Airport, Circular Quay, Botanic Gardens

-QLD : Brisbane Airport, Stradbroke Island, Gold Coast and Sunshine Coast

-VIC : Docklands, Bells Beach, Greater Geelong

-WA : North Fremantle, Cottesloe and Coogee Beaches, Elizabeth Quay, WACA(Western Australian Cricket Association) Ground

-SA : Glenelg, Hindmarsh Island

-TAS : Lauderdale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후변화 모델 1).png (File Size:393.7KB/Download:24)
  2. 종합(기후변화 모델 2).jpg (File Size:71.2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6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5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4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3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2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1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50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9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4047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6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5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4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3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2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1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40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39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4038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