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주 센트럴 코스트 인근에 소재한 레이크 먼모라 마을의 한 도로상에서 보복 운전 시비 끝에 21살의 여성의 안면을 주먹으로 가격한 40대 운전자가 폭행 및 상해 혐의로 기소됐다.

인근을 지나던 다른 차량의 블랙박스(Dashboard cam)에 찍힌 폭행 순간이 방송사 등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문제의 동영상에 따르면 신호등 앞에서 정차한 유트 차량의 조수석에서 젊은 여성이 내려 팔짱을 끼고 서있자, 뒤 차량에서 내린 노란색 반팔 티셔츠 차림의 건장한 남성이 다가가 여성의 얼굴을 가격했다.

피해 여성은 뉴카슬에 거주하는 21살의 비앙카 리 샘스로 밝혀졌다.

가해자 남성은 41살의 윈더미어 파크 주민으로 알려졌고, 보석으로 풀려난 상태에서 오는 8월 30일 와이용 지방법원에 소환된다.

샘스는 언론과의 대담에서 “친구가 운전하던 유트 차량에 가해 남성의 차량이 지나치게 바싹 따라붙었고, 이에 바싹 따라오지 못하도록 그 차량에 못을 던졌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하지만 시비의 발단은 5개월 된 유아 아들을 뒤에 태우고 운전중이었던 샘스의 친구 테일러 벤브리지가 가해 남성의 차량을 추월하면서 시작됐다.

샘스는 가해 남성이 시속 80km 구간에서 50km 정도로 움직여 추월을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월 당한 가해 남성은 보복운전으로 샘스 일행의 차량을 바싹 따라붙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신호등에서 두 차량은 멈춰 섰고 이 와중에 폭행이 발생한 것.

차량에서 먼저 내린 샘스는 “뭐가 문제냐. 왜 그렇게 형편 없이 운전하느냐”고 따지자, 이에 격분한 듯 가해 남성은 주먹을 날렸다.

샘스의 얼굴에 주먹을 휘두른 남성은 뒤돌아서 자신의 차량으로 걸어갔고, 폭행을 당한 샘스를 태운 친구 운전자는 가해 남성을 향해 차량을 후진으로 움직였으나 별다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샘스는 “이처럼 여성의 얼굴을 주먹으로 가격한 이 남성의 아내와 자녀들이 불쌍할 뿐이다”며 분을 삭히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이 사건 다음날 시드니  메릴랜드 지역에서도 운전 시비 끝에 두 차량에 각각 타고 있던 네 명의 남성이 백주대로 한복판에서 패싸움을 벌이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보복운전을 둘러싼 폭력사건이 날로 기승을 부리는 상황이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29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37 호주 정부, 백신접종률 70% 도달시 접종자 혜택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6 호주 ‘델타’ 바이러스 이어 ‘람다’ 변이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5 호주 “일관성 없는 호주 백신 정책, 인명손실 초래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4 호주 호주 와인 영국 수출, 10년 만에 최고 수준... 한국 시장도 11% ↑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3 호주 호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안내문 우편 발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2 호주 광역시드니 ‘독립형 주택’ 중위가격 140만 달러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1 호주 바이러스 봉쇄 조치로 주요 도시 소매공실률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30 호주 크라운 그룹, 럭셔리 아파트의 ‘매매 전 객실 체험’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29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지오콘’, 지난해 최대 성과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28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이스트우드 주택 2019년 판매가의 두 배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3927 호주 NSW 주 ‘골드 스탠다드’ 방역, 어떻게 ‘국가 비상사태’가 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6 호주 연방정부, 재난지원-복지 수혜자에 주 150달러 추가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5 호주 광역시드니 록다운 연장에 따른 새 봉쇄 조치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4 호주 광역시드니-멜번 록다운, 호주의 마지막 봉쇄 조치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3 호주 12-15세 청소년에게 ‘화이자’ COVID 백신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2 호주 전염성 높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위험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1 호주 지역사회 역사 담아낸 소셜미디어, 높은 인기 구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20 호주 뉴질랜드, 호주와의 ‘트래블 버블’ 잠정 중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19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 또 한 번 일반인 공개 잠정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3918 호주 WHO, COVID-19 기원조사에 ‘전 세계국가들 협력’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