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여자 육상 단거리의 ‘전설’ 베티 커스버트가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9세.

세상을 뜬 호주의 올림픽 육상 금메달 4관왕 베티 커스버트는 지난 1969년부터 다발성 경화증을 겪어왔다.

그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100미터, 200미터, 그리고 400미터 계주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8년 후 토쿄 올림픽 여자 400미터 종목에서 금메달을 추가해 올림픽 4관광에 등극했다.   

커스버트는 1960년 로마 올림픽에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한 바 있어 토쿄 올림픽에서의 금메달은 전 국민에게 더 큰 감격을 안겼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개막식에는 휠체어에 탄 상태로 성화 봉송에 참여하기도 했다.  

커스버트는 호주 육상선수로는 최초로 지난 2012년  미국의 제시 오웬스, 칼 루이스 등과 함께 국제육상연맹의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고, 호주체육협회(Sports Australia)의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한 바 있다. 

또한 커스버트가 자신에게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겨준 멜버른 올림픽의 100미터 경기에서 사용한  출발대는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MCG) 입구에 전시돼 있다.

그는 1938년 시드니에서 출생했다.

 

©TOP Digital

http://www.topdigital.com.au/node/440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57 호주 ‘전염병’은 보통 언제 소멸되나, 또 COVID-19는 언제 끝날까...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6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5 호주 COVID-19 백신이 일반에게 접종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4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2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3 호주 올해 ‘Archibald Prize’, 원주민 예술가들 ‘강세’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2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해외 입국자 ‘의무적 호텔 검역’ 변경 계획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1 호주 센트럴코스트의 데일리스 포인트, 여름 휴가지로 급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10.01.
3850 호주 벌크선 Patricia Oldendorff 코로나 확진자 수 17명으로 늘어, 보건당국 "통제 자신 있어" 퍼스인사이드 20.09.29.
3849 호주 Kalgoorlie 지역 북부 숲길 통해 몰래 서호주로 들어온 남성, 전자발찌 착용 퍼스인사이드 20.09.29.
3848 호주 서호주 철광석 가격 상승에 기인한 세수 흑자 퍼스인사이드 20.09.29.
3847 호주 COVID-19 백신이 배포된다면, 우선 접종대상은 누가 되어야 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6 호주 삽화를 통해 본 시드니... 식민지 이후 250년 사이의 변모 과정은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5 호주 시드니의 밤 여흥; Best rooftop bars in Sydney-1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4 호주 호주, 백신 공동구매-배분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 합류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3 호주 ‘Pyrocene fire age’... “호주의 대처가 해결방법 제시할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2 호주 국제학생 관련 업계, “시장 회복까지는 수년이 소요될 것...”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1 호주 빅토리아-남부호주 주 정부의 ‘경계 봉쇄’, 집단소송으로 이어질까...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40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수요 감소로 내년 이후 가격하락 예상 file 헬로시드니 20.09.25.
3839 호주 COVID-19로 인한 호주의 ‘해외여행 금지’ 조치, ‘합법적’인 것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9.18.
3838 호주 농장 일을 하면서 비키니를 입으라고?... 백패커 인권침해 심각 file 헬로시드니 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