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반도 위기 1).jpg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시험 발사, 핵실험이 이어지고 미국 등 서방국가의 높아지는 경고 수위 속에서 한반도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호주 외교부는 한국 등에 체류하고 있는 자국민들에게 정부 웹사이트(앱에서도 가능) ‘스마트 트레블러’(http://smartraveller.gov.au/)에 반드시 등록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이는 각국의 위험 상황을 현지의 호주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최악의 사태시 행동요령이나 대피장소를 알려준다.

 

위기 고조 상황... 턴불 총리, “유사시 호주인 대피방안 검토” 밝혀

호주 정부, 해외 자국민에 ‘스마트 트래블러’ 등록하라 강력 권고

 

북한의 계속된 마시일 시험발사와 핵 실험에 대해 미국 등의 경고가 잇따르는 등 한반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심지어 일각에서는 ‘전쟁 임박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재외동포 커뮤니티에서는 본국에서의 유사 상황시 본국에 머물고 있는 이들의 대처 방법에 대한 문의도 늘어나는 상황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 상황과 함께 호주 정부의 자국민 보호 방안 등을 알아본다.

 

▲ 한국 정부, 적극 대응= 애초 대화기조의 유화책을 견지하던 문재인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으로 선회하고 지난 6일(수), 경북 성주군(전 성주 골프장)에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ce, THAAD) 발사대 4기의 추가 배치를 완료했다. 사드 기지와 약 2km 떨어진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에는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주민과 시민단체의 시위가 벌어져, 경찰이 반대집회 참가자들을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 국방부에 따르면 사드 포대 한 개는 48개의 요격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6개의 발사대로 구성되어 있다. 고도 40~150km 상공에서 북한의 사거리 3000km급 이하 단거리, 준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직격’(hit-to-kill) 방식으로 파괴할 수 있는 요격 미사일이다.

 

▲ 마리스 파인 국방장관, “더 강력한 북한 제재 주문”= 지난 7일(목)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지역 다자안보회의인 서울안보대화(Seoul Defense Dialogue, SDD)에 참석한 마리스 파인(Marise Payne) 호주 국방장관은 “북한과의 대화를 중단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각종 제재 조치를 지속해 달라”고 요청했다.

파인 장관은 이어 유엔의 제재 결의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고, “호주도 더 강력한 제재를 요청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 턴불 총리, “한반도 내 호주 시민 대피방안 검토 중”= “한반도 내 전쟁위험이 한국전쟁 막바지 이래 최고 수준이다.”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는 지난주 목요일(7일) 아침 호주 공중파 채널 9의 아침방송에 출연, “김정은의 도발이 점점 높아지고 한반도 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북한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턴불 총리는 “북한이 미국에 핵공격을 가할 경우 미국의 대량 군사공격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김정은의 도발은 자살 시도이며, 대규모 재앙을 불러들이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턴불 총리는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을 대피시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종합(한반도 위기 2).jpg

지난 9일(토)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사진)는 한 방송을 통해 한반도 위험 상황을 언급하면서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을 대피시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 유사시 대비 한반도 내 호주인들의 대처 요령은= 턴불 총리는 “현재 중국, 일본, 한국에 있는 20만 명의 호주인들에게 호주 외교부(Department of Foreign Affairs)의 ‘스마트 트래블러’(Smart Traveller) 웹사이트에 등록할 것을 강력히 요청”하기도 했다.

긴장 고조 속에서도 호주 외교부는 정부 웹사이트 ‘스마트 트래블러’를 통해 한반도의 위험수준을 ‘1단계-보통안전예방’(LEVEL 1-EXCERCISE NORMAL SAFETY PRECAUTIONS)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에 있는 호주 시민들에게 남북한의 정세변화을 주시하고 한국 정부의 지시에 따를 것을 권고하며, 유사시 한국 내 호주인들을 위한 안전 대처 요령을 소개했다.

호주 정부가 소개하는 안전대책 요령은 턴불 총리가 ‘강력히 권고’한 ‘스마트 트레블러’(http://smartraveller.gov.au/)이다. 이는 호주인들에게는 현재 머물고 있는 각국의 정세 변화와 함께 긴급 상황 발생시 대피 장소를 알려주는 호주 정부 웹사이트로, 스마트폰 앱(app)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다.

웹사이트에서는 오른쪽 상단에 ‘My account’(subscribe and register)를 클릭한 뒤 본인의 전자메일 계정을 입력해 등록한다. 앱에서는 ‘Register travel plans’을 클릭하면 계정 등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등록된 호주인 여행객들에게는 실시간으로 여행 국가와 관련된 이메일 통보가 발송된다.

 

▲ 한국 내에서는 ‘응급대비 앱’ 이용을...= 한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을 위해 한국 국민안전처가 만든 ‘응급대비 앱’(Emergency Ready App)’은 한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치안 및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알려주기 위해 고안된 앱으로 경찰서 등의 치안 시설과 병원 및 응급실, 대사관 연락처 등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위급상황 발생시 응급처치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 호주 외교부, 연평도 및 북방한계선 방문 자제 권고= 호주 외교부는 지난 2010년 11월, 2명의 민간인과 군인 2명의 목숨을 앗아간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관련, 지속적으로 연평도 및 북방한계선(Northern Limit Line) 인근 지역 방문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호주 영주비자, 복수국적자는 지역 따라 서비스 제한= 호주 외교부의 영사서비스 헌장(Consular Service Charter)에 따르면 해외에 있는 모든 호주인들(All Australians)에게 영사업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호주 시민이 아닌 영주비자 소지자의 경우 일부 지역에 따라서 서비스가 제한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복수국적자에게도 한정된 영사 서비스만 지원되며 타국 정부는 복수국적 사실을 알지 못하므로 스스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히고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반도 위기 1).jpg (File Size:39.3KB/Download:27)
  2. 종합(한반도 위기 2).jpg (File Size:41.1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97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3696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3695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3694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3693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3692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3691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3690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3689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3688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7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6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5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3 호주 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국가, 코로나 바이러스 ‘핫스폿’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취약 계층, 고령자들만이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1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호주인의 일하는 방식에도 변화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80 호주 애니메이션 ‘블루이’, ‘International Emmy Kids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79 호주 ‘Working Parents’ 자녀에게 무료 차일드 케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3678 호주 광역시드니 인구 증가율, 7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