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결혼 우편투표가 본궤도에 들어섰으나 동성결혼 반대 단체가 ‘박해’와 ‘탄압’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동성결혼 반대 단체들의 ‘우편투표 ‘no’ 캠페인’이 출범했다.

 

반대 캠페인 출범식에는 대표적 강성 보수 정치인 코리 버나디 상원의원과 매트 캐나반 상원의원, 콘체타 피라반티-웰즈 상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날 출범식에서 동성결혼 반대 단체 관계자들은 “동성결혼 반대 단체들이 위협을 받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훗날 탄압과 박해의 대상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출범식에는 1천여명이 “’no’라고 답해도 괜찮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이 행사를 주관한 ‘결혼연합’ 측은 오랜 기간 동성결혼 반대 캠페인을 이끌어온 ‘호주 크리스찬 로비’의 라일 셸튼 회장이 이끌고 있다.

 

이날 출범식에서 버나디 상원의원은 “동성결혼이 법적으로 허용되면 기존의 차별 금지법은 동성결혼 반대자들을 탄압하고 억압하는 법적 무기로 악용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표현의 자유도 억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콘체타 페에라반티-웰즈 상원의원도 "이민자 자녀로서 전통적 가족 구성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존중한 것이 이 사회에서의 성공의 주춧돌이었다"고 주장했다.

 

피에라반티-웰즈 상원의원은 "전통적 가치관을 보수적 가치관이라 불러도 좋다"면서 "전통적 보수적 가치관이 이 나라에서 수백만명의 이민자 사회를 형성하고 발전시킨 원동력이었고 성공사례의 근본이었다"고 말했다.

 

출범식 열린 당일 시드니를 포함한 각 주도의 상공에는 “반대 투표하자”는 문구가 장식되기도 했다.

 

한편 동성결혼 반대 및 지지단체들은 이구동성으로 “적극적인 우편투표 참여”를 호소하고 나섰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626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57 호주 호주, ‘구직 수당’ 신청자 폭주! 각 지역 사무실에 대기자 100m 이상 장사진… 호주브레이크.. 20.03.23.
1656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1642명 13명 중증!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거듭 강조… 호주브레이크.. 20.03.23.
1655 호주 호주•뉴질랜드, '올림픽 보이콧' 선언! ˝국가 대표 구성조차 어려운 상황˝... 호주브레이크.. 20.03.23.
1654 호주 냄새 못 맡으면 코로나 19 의심해라! “무증상 감염자 후각, 미각 기능 상실로” 호주브레이크.. 20.03.23.
1653 호주 호주, 코로나 19 확진자 총 1831명…NSW 하룻밤 새 확진자 149명 급증! 호주브레이크.. 20.03.24.
1652 호주 호주, 대형 슈퍼마켓의 의미 있는 배려…”비상 근무자들만의 쇼핑 시간 주어진다.” 호주브레이크.. 20.03.24.
1651 호주 호주, 오늘 밤 '2단계 봉쇄' 발표 예정!…”더욱 강력한 규제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4.
1650 호주 <속보> 루비 프린세스호 확진자 1명 사망!..."70대 여성으로 초기 크루즈 확진자" 호주브레이크.. 20.03.24.
1649 호주 호주, ‘2단계 봉쇄’ 조치 발표!...”25일 자정부터 시행” 호주브레이크.. 20.03.24.
1648 호주 호주, 오늘 밤 국무회의서 ‘3단계 폐쇄’ 논의…”확진자 2300명 넘어섰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1647 호주 호주, ‘대량 해고’ 실업자 속출!…’더 스타’ 카지노 그룹, 직원 90% 그만둔다 호주브레이크.. 20.03.25.
1646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164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엘리자베스 베이 소재 아파트, 잠정가에서 75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44 호주 부동산 투자자들 끌어들이는 시드니 서부 지역,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43 호주 지난 5년 사이 가장 큰 주택가격 상승을 보인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42 호주 최악의 산불 이후 지방거주민들, 대도시로의 이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41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자가 격리,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40 호주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차단에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예방의 첫 단계는 손 청결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
1638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로 늘어나는 재탁근무, 직원 안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