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9일은 훈민정음 반포 571돌을 맞이하는 한글날이다.

지난 2006년 본지는 시드니 소재 한인 식당 차림표 맞춤법 오류에 대한 실태를 특집으로 다룬 바 있다.

특히 ‘모둠’메뉴의 경우 한인식당의 95%가 ‘모듬’으로 오기하고 있었다.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식당 차림표에서 잘못된 한글 표기법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대다수의 식당 차림표 맞춤법 표기의 오류는 찌개, 육개장, 자장면, 아귀찜, 떡볶이, 깍두기 등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메뉴 등에서 나타난다.

이밖에도 신문사에 전송되는 수 많은 단체 별 공문, 개인별 건의 심지어 공공기관의 번역서류 등에도 한글 맞춤법은 물론이고 띄어쓰기, 외래어·외국어 남용, 어휘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오류가 발견된다.

최근 시드니 올림픽 파크의 쿠도스 뱅크 아레나(Qudos Bank Arena)에서 열린 ‘KCON 2017 AUSTRALIA’의 콘서트에는 총 2만 1천 명의 팬들이 운집하며 호주내 폭발적인 한류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이러한 한류와 케이팝 열풍에 따라 한글을 혼자 공부했다는 호주 현지인들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영상을 제작해 많은 구독자수를 보유한 ‘파워 유투버’로 활동하기도 한다.

하지만 갈수록 늘어나는 말 줄임으로  온라인이나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나눌 때 등 한글 오염의 수준은 심각한 상황. 2017년 한글날을 맞이해 우리가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 소개한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 TOP5

 

1. 하면 안 되(X) -> 하면 안 돼(0)

가장 많이 쓰고, 가장 많이 틀리는 말 ‘안 돼’.

되-'가 문장에서 종결의 기능을 할 때에는 반드시 종결 어미와 결합해야 하는데, 종결 어미 가운데 '-어'와 결합할 때에는 '되어'와 같이 쓰인다. 이것이 줄어든 형태가 바로 '돼'이다. 따라서 단독으로 '되'만 쓰이는 경우는 없다.  

무엇을 써야할 지 구분이 안될 때, “돼 대신 ‘해’를, ‘되’ 대신 ‘하’를 넣어보는 것도 방법.

예를 들어 ‘그건 안 돼요’와 ‘그건 안 되요’ 중 무엇을 맞을지 헷갈릴 경우 ‘돼’가 들어갈 자리에 ‘해’나 ‘하’를 넣어보면 ‘그건 안 해요’와 ‘그건 안 하요’가 된다. 따라서 맞는 표기는 ‘안 돼요’가 맞다.

 

2.왠만하면(X) -> 웬만하면(0)

'정도나 형편이 표준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낫다'는 의미의 "우연만하다"가 "웬만하다"의 본말이다.

'웬'을 '왠'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왠'의 경우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를 나타내는 "왠지"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죽이 되던 밥이 되던(X) -> 죽이 되든 밥이 되든 (0)

 

'-든지'는 어느 것을 선택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을 나열할 때 쓴다. 중요한 건 '선택'이라는 의미가 포함돼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말, '하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해'처럼 말이다.

반면 '-던지'는 과거에 경험했거나 알게 된 사실을 회상해 답할 때 쓴다. '어찌나 그림을 잘 그리던지' '날이 얼마나 춥던지 손이 곱아 펴지지 않았다'처럼 사용한다. 즉 '-던'은 과거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4. 않 돼 (X) -> 안 돼 (0)

 

'안'은 다른 말을 꾸밀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즉 다른 말을 부정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안 먹고, 안 쓰고, 안 자고, 안 입고'라고 할 때 쓰는 말이다.

'않'은 그 자체가 어휘이고 어간이다. 어간이라는 말은 뒤에 어미가 온다는 말이다. 따라서 다른 단어가 오면 안 된다. 당연히. '-고, -으니, -으면, -을, -다, -는다, -습니다, 으니까, -구나/는구나' 등이 온다. 뒤에 꾸며줄 만한 어휘가 올 수 없다.

 

5. 오랫만에 (X) -> 오랜만에 (0)

‘오랜만’은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를 뜻하는 말로 오랫동안 보지 못했던 옛 소꿉친구를 만나거나 긴 시간 동안 하지 못했던 일을 다시 시작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그러나 “시간상으로 썩 긴 동안”을 뜻하는 단어 ‘오랫동안’은 실질형태소 ‘오래’와 ‘동안’이 결합하면서 중간에 사이시옷이 들어간 합성어이다. 따라서 ‘오랜동안’이 아닌 ‘오랫동안’이 올바른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한국의 포털사이트에서 대학생 및 직장인 등 성인남녀 853명에게 ‘맞춤법’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화제다 .

성인 남녀 78.9%는 '맞춤법을 자주 틀리는 이성을 보면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남성(72.9%) 보다 여성(82.9%)에서 10%P 이상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실전테스트로 아래 카톡을 보며 난 얼마나 바르게 사용하고 있었는지 점검해보자.

연인사이에 주고 받은 카톡 대화에서 맞춤법이 틀린 단어는 몇 개나 있을까?

정답은 8개다.

 

실증나다→싫증나다 (O)

귀찬잖아→귀찮잖아(O)

몇 월 몇일→몇 월 며칠(O)

닥달하다→닦달하다(O)

파토→파투(O)

치고박고 싸우다→치고받고 싸우다(O)

부화가 치밀다→부아가 치밀다(O)

어의없다→어이없다(O)

 

 

말은 그 사람의 영혼을 드러내는 거울이라고 표현한다. 하나씩 맞는 표현을 익혀 생활에서 올바른 언어, 품격있는 말을 사용하도록 노력해 보면 어떨까.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754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37 호주 “의자에 앉아 일하는 것, 척추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6 호주 알츠하이머 위험,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예방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5 호주 올 여름시즌 NSW 주 산불로 코알라 1만 마리 사망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4 호주 호주의 높은 주택가격, 해외 유입 이민자들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3 호주 환경단체의 강한 반대 속 ‘the Bight’ 앞 원유탐사 계획, ‘원점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2 호주 전 세계 고용주들이 직원 뽑을 때 가장 좋아하는 출신대학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1 호주 시드니에도 ‘스마트시티' 인기... 멜로즈파크 아파트 개발현장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0 호주 노숙자 문제에 팔 걷어 부친 NSW 주정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9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8 호주 ‘세계적 전염병’ 선포 앞둔 COVID-19 상황, 그 대응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7 호주 NSW 주 교육부, 학생들 해외 단체여행 취소 지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6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5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1724 호주 호주, 한국 발 여행자 입국 금지 및 한국 방문 여행 경보 추가 격상 톱뉴스 20.03.05.
1723 호주 코로나 19 공포 호주 엄습….첫 사망자에 확진자 증가 톱뉴스 20.03.05.
1722 호주 위축된 마디 그라 열기…부추기는 공영 방송사 톱뉴스 20.03.05.
1721 호주 60대 한국 여성 확진자 대한항공 편으로 27일 입국…시드니 누적 확진자 15명 톱뉴스 20.03.05.
1720 호주 RBA, 25bp 금리 인하…”코로나19 대응 나섰다” 톱뉴스 20.03.05.
1719 호주 호주, 10년 공든 탑 '와 르르르!', 코로나19로 재정 흑자 전망 물거품 전망… 호주브레이크.. 20.03.07.
1718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멜버른 의사’도 확진 판정… 호주브레이크.. 20.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