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자 1).jpg

마이크로 소프트 창업자인 빌(Bill. 오른쪽)과 멜린다 게이츠(Melinda Gates. 왼쪽). 이들 부부는 지난 2000년 서로의 이름을 딴 재단(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에 410억 달러를 기부했다.

 

자산 보유,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와 10억 달러로 격차 좁혀져

 

지난 수십 년간 ‘세계 최고 부자’로서의 명성을 이어온 마이크로 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Bill Gates)의 자리가 위협받고 있다는 소식이다.

지난 주 금요일(13일) 미 경제 전문지 블름버그를 인용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빌 게이츠의 자리를 위협하는 인물은 지난 1994년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시애틀에 IT 기업 ‘아마존’(Amazon)을 설립한 제프 베조스(Jeff Bezos)이다.

하지만 이제까지 엄청난 자산을 기부해 온 빌 게이츠의 자선 금액이 아니었다면 제프 베조스가 그의 자리를 넘볼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진단이다.

블룸버그가 전 세계 억만장자의 자산을 집계한 ‘Bloomberg Billionaires Index’에 따르면 빌 게이츠가 보유한 주식 등 순자산은 미화(이하 동일)로 868억 달러(호주화 약 1천90억 달러)이다.

이는 빌 게이츠가 그 동안 자선단체에 기부한 금액을 제외한 자산 규모이다. 그는 지난 1996년부터 현재까지 7억 달러 규모의 마이크로 소프트 주식, 29억 달러의 현금과 기타 자산을 사회에 기부했다. 이런 기부 금액을 감안한다면 그의 자산은 1천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게이츠의 자산 중 주식 가치, 아울러 1996년 이래 기부한 주식의 현재 가치 추산액은 지난 10월11일(수, 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 거래 마감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빌 게이츠에 이어 ‘2인자’ 자리를 이어온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은 ‘넘버 쓰리’로 물러났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버핏의 자산은 806억 달러였다.

그의 자리는 바로 ‘아마존’ 창업자 베조스가 차지했다. ‘Bloomberg Billionaires Index’ 상에 기록된 베조스의 자산은 853억 달러이다.

버핏 또한 지난 10년 이상 자선단체 기부를 하지 않았을 경우 베조스는 버핏의 2인자 자리를 결코 차지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버핏이 자선단체 기부를 하지 않았다면 그의 자산은 현재 1천3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종합(부자 2).jpg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 ‘Bloomberg Billionaires Index’에 따르면 그의 자산은 현재 853억 달러로, 기부로 인해 감소한 게이츠의 자산과 약 15억 달러 차이이다.

 

미국 기반의 비영리 자선단체 정보 서비스 기구인 ‘GuideStar’의 제이콥 해롤드(Jacob Harold) 대표는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에 대해 “자선 규모 면에서 새로운 기록을 세운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만간 이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그렇게 되지 않을지라도 언젠가 그렇게 될 것으로 믿는다”는 해롤드 대표는 “이들이 실천한 기부액은 실로 엄청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게이츠(61)와 버핏(87)은 기부금 대부분을 지난 2000년 설립된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을 통해 기부했으며, 전 세계 빈곤퇴치와 보건위생 개선에 사용되기를 희망했다. 동 재단 웹사이트에 의하면 게이츠와 버핏은 또한 지난 2010년 ‘Giving Pledge’라는 이름의 기부 캠페인 조직을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168명의 상위 부유층을 기부 활동에 끌어들였다. ‘Giving Pledge’는 억만장자들로 하여금 자산의 절반을 사회에 기부하도록 장려하는 캠페인 기구로, 2017년 현재 기부를 약속하고 서명한 이들은 개인 및 부부 168명이다.

하지만 여전히 억만장자의 자선활동은 그리 활발하지 않는 편이다. ‘Giving Institute’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빌 앤 멜리나 게이츠 재단’은 미국 자선단체에 기부된 전체 기부액 3천900억 달러의 1%를 조금 넘는 43억 달러이다. 미국 내 자선기금 총액의 72% 이상은 개인들이 낸 ‘개미 기부군단’이다.

제프 베조스(53)가 자선 활동에 눈을 돌린 것은 지난 2002년이지만 게이츠-버핏과 달리 그의 기부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지난 6월 그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어느 분야에 자선을 펼쳐야 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개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지난 2002년 이래 그는 약 4억 달러 가치의 ‘아마존’ 주식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베조스는 기부보다 새로운 사업에 더 매진하는 상황이다. 지난 4월 그는 한 미디어에서 새로 시작한 ‘Blue Origin’을 위해 매년 자신이 보유한 10억 달러의 ‘아마존’ 주식을 매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Blue Origin’은 지난 2000년 그가 워싱턴 주 켄트(Kent)에 설립한 민간 항공제조 및 우주항공 서비스 기업이다.

한편 스페인 기반의 패스트 패션 브랜드 ‘자라’(Zara) 설립자인 아만시오 오르테가(Amancio Ortega) 또한 게이츠의 ‘최고 부자’ 자리를 노리고 있다. 그의 순자산은 한 때 버핏을 능가하기도 했지만 주식 가치 하락으로 현재 그의 자산은 798억 달러로 집계되어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부자 1).jpg (File Size:40.4KB/Download:25)
  2. 종합(부자 2).jpg (File Size:37.7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57 호주 호주, 올림픽 의료팀 국장의 쓴소리! "일본, 방역 통제 능력 시험대 올라" 호주브레이크.. 20.02.26.
175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00년 넘은 서리힐 테라스 주택, 잠정가에서 44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5 호주 Metro Northwest 기차노선 지역, 주택 검색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4 호주 SNS 인스타그램, 유튜브 광고 수익 앞질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3 호주 호주 산불의 역사... 원주민들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 왔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2 호주 3주간의 ‘시드니 마디그라’, 도심 퍼레이드로 ‘피날레’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1 호주 호주 과학자들, 전 세계 최초 ‘COVID-19’ 백신 개발에 근접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50 호주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호주 전문가들의 우려, “무엇을, 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49 호주 “호주, COVID-19 최악 상황시 180만 개의 병상 필요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1748 호주 호주, "한국 입국금지 안한다” 투명한 국가 인정... 한국 의료시스템 신뢰, '주호주한국대사관도 실시간 정보 공유' 호주브레이크.. 20.03.01.
1747 호주 호주도 우한코로나 첫 사망자 발생! “78세 西호주 남성”… 호주브레이크.. 20.03.01.
1746 호주 동성애 축제로 뜨거운 시드니! 세계 성 소수자들의 한마당, 『마디그라 축제』 호주브레이크.. 20.03.02.
1745 호주 <속보>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간 전염 첫 사례 발생! “해당지역 교민들 주의 당부” 호주브레이크.. 20.03.02.
174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0.75%→0.5%로 역대 최저치 호주브레이크.. 20.03.03.
1743 호주 호주, '생물보안법' 적용 경고…”코로나19 확산시 최후의 수단 될 것” 호주브레이크.. 20.03.03.
1742 호주 호주, "언론의 슬픈 날" 호주 AP통신 85년 만에 문 닫는다… 호주브레이크.. 20.03.04.
1741 호주 호주서 ‘화장지’ 때문에 난데 없는 흉기 소동…경찰 출동후 상황 종료 호주브레이크.. 20.03.05.
174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알렉산드리아 1개 침실 유닛에 30여 예비 구매자 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9 호주 주택 소유 호주 고령층, 임대주택 거주자 비해 20배 ‘부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1738 호주 각 지역 도시들,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