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1년 NSW 봅 카 정부가 시드니 킹스크로스에 첫 합법적 헤로인 주사실을  도입한지 16년만에 멜버른에도 제2의 주사실이 문을 연다.

빅토리아주의 다니엘 앤드류스 주총리는 “멜버른 노스 리치먼드에 헤로인 주사실을 향후 2년 간 시험 가동할 계획이다”라고 발표했다.

앤드류스 주총리는 헤로인 주사실 도입에 반대해왔으나 사망자 수가 지난해 사상 최대치에 이르는 등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접근법'이라는 주장을 수용하는 쪽으로 태도를 바꿨다.

 다만 그는 주사실 운영에 관해 시드니와는 다른 방법을 택했다.

멜버른 주사실은 '노스 리치먼드 커뮤니티 헬스 센터' 내에 설치돼 통합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시드니의 경우 통합 서비스를 받으려면 다른 곳으로 가야 한다.

센터 측은 20년간 헤로인 중독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바늘을 교환해 주고 있으며, 이런 경험을 토대로 수년간 주사실 임시 운영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시드니에서는 주사실이 설치되고 나서 지난 10년 동안 구급차 호출 전화가 80% 감소된 것으로 파악된 바 있다.

빅토리아주의 마약 과다복용이 심각하다는 것은 여러 측면에서 드러났다.

헤로인과 관련한 사망자 수는 지난해 190명으로 전년도 173명보다 늘었다. 이런 수는 1990년대 이래 최고치며 2012년 이후 배로 증가한 것이다.

빅토리아주의 마틴 폴리 정신건강 장관은 "도로 위보다 마약 과다복용으로 더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고 있다"라고 말했다.

앤드루스 주총리가 이날 주사실 설치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하는 동안 바로 인근에서 헤로인 과다복용 사례로 의심되는 사건이 발생, 구급차가 출동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프랑스에서도 처음으로 마약 주사실이 설치됐으며, 이미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스위스, 캐나다 등에서도 마약 주사실이 운영되고 있다.

마약 주사실 설치를 놓고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적정량의 약물과 깨끗한 주삿바늘을 써 각종 질병에 걸리거나 전염되는 사례를 막고 전문 상담이나 치료를 주선해 마약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쪽과 오히려 마약 사용을 부추기고 지역 환경을 악화할 것이라는 쪽으로 맞서 있다.

 

©Yonhap News/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835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17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1816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181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4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3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2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1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9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8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7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6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4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3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2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1801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180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1799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1798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