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신흥갑부 101명 탄생…아시아 637명 vs. 미국 563명

아시아의 억만장자가 수적으로 미국을 처음 넘어섰다.

스위스 은행 UBS와 컨설팅 회사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발표한 억만장자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의 억만장자는 지난해 162명이 늘어난 637명으로 파악됐다.

 

평균 하루 걸러 1명꼴로 억만장자가 등장한 셈이다.

미국의 억만장자는 563명으로 25명이 늘어나는데 그쳤고 유럽은 전년도와 거의 변함이 없는 342명이었다. 유럽의 갑부들이 수적으로 정체된 것은 사망과 까다로운 기업 환경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새로 탄생한 억만장자의 3분의 2는 중국과 인도 출신이며 중국이 101명으로 가장 많았다.

 

중화권의 지정학적 안정, 중국의 부동산 가격 급등, 인프라 지출, 중산층의 확대, 원자재 가격의 회복이 억만장자를 늘린 요인으로 지적됐다.

아시아의 급성장에 힘입어 전 세계의 억만장자는 지난해 1천542명으로 늘어났고 이들이 보유한 자산도 총 6조 달러로 17% 증가했다.

아시아의 억만장자들이 보유한 자산은 총 2조 달러로, 미국의 2조8천억 달러에는 아직 크게 미달한다. UBS와 PwC는 그러나 아시아의 억만장자들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늘어난다면 4년 뒤에는 보유 자산 기준으로도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억만장자와 연관된 아시아의 기업은 모두 568개로 이 가운데 63%가 상장사였다.

 

반면에 미국은 421개사 가운데 37%, 유럽은 256개사 가운데 40%만이 상장사였다.

 

아시아의 억만장자들이 그만큼 기업공개(IPO)에 대해서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젊은 기업들이 신속하게 기업을 공개하는 흐름이 두드러진다.

PwC 홍콩 법인의 앙투아네트 훈 파트너는 중국과 홍콩의 억만장자들이 부를 쌓는 과정도 사뭇 달랐다고 말했다.

중국의 억만장자들은 사실상 거의 모두가 자수성가형인 반면에 홍콩 억만장자들 가운데 3분의 1은 상속형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홍콩 억만장자의 평균 연령은 66세였지만 중국의 억만장자는 평균 55세여서 상대적으로 젊었다.

UBS/PwC 보고서는 아시아의 억만장자들이 신분의 상징과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미술품에 점차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스포츠 클럽에 대한 투자도 늘리는 경향이라고 밝혔다.

세계 200대 미술품 수집가 가운데 약 3분의 2가 억만장자들이었고 미국의 억만장자가 42명으로 가장 많았다. 아시아에서는 2006년 1명에 불과했던 큰손이 지난해 14명으로 급증했고 이에 동반해 아시아를 중심으로 사립 미술관들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109명의 억만장자들이 각국에서 140개가 넘은 유명 스포츠 클럽을 소유하고 있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68세이며 평균 자산은 50억 달러였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Yonhap News/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484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17 호주 콴타스, 베이징, 상하이 직항 노선 운항 잠정 중단 톱뉴스 20.02.04.
1816 호주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12명으로 늘어 톱뉴스 20.02.04.
1815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2017년 이래 가장 큰 성장세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4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일부 지역 주택가격, 3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3 호주 호주에서 가장 인종차별 심하고 행복도 낮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2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들, 태권도 수련으로 자신감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1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10 호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9 호주 지난 10년 사이의 시드니, Bigger-Wealthier-Denser-Crankier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8 호주 광역시드니 소재 일부 사립학교 학비, 연 4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7 호주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6 호주 파라마타 도심 지나는 경전철 생긴다... 2023년 개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경계 속 ‘잘못된 정보-가짜뉴스’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4 호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From Wuhan to Australia- 타임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3 호주 ‘전 세계 비상사태’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보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1802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1801 호주 이민지 동생 이민우, 유러피언투어 첫 우승! ‘호주남매’ 낭보… 호주브레이크.. 20.02.09.
1800 호주 호주 산불, ‘집중 호우’로 20곳 이상 자연 진화…일부 지역 ‘산사태’ 우려로 이중고 호주브레이크.. 20.02.10.
1799 호주 아들 잃은 中여성 입국 허가한 호주... “정부차원에 협력” 호주브레이크.. 20.02.10.
1798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업데이트'...악성이메일 바이러스 탐지 호주브레이크.. 2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