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태평양의 사투로 불리는 시드니-호바트 요트 레이스에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참가한 한국의 소닉 호가 24위로 골인했다.

기록은 49시간 22분 11초.

소닉은 이로써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완주하는 기염을 토했다.

소닉을 이끈 스키퍼 노광민 씨와  핵심 선원 김한울 씨 등 6명의 세일러들은 호바트의  호바트 항의 컨스티튜션 도크까지의 총 628해리(1,170km)의 대장정을 마무리한 후 감격에 겨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세일러 평균 연령 24세의 나이로 이번 대회에 처녀 출전한 중국의 디루치 호는 21위로 골인해 눈길을 끌었다.

와일드 오츠 11호 우승 박탈…2위 LDV 코만치 ‘패권’

한편 이번 대회에서 와일드 오츠 11호가 3년 연속 분루를 삼키며 우승컵을 2위로 골인한 LDV 코만치 호에 빼앗겨 큰 논란이 야기됐다.

최근 2년 연속 레이스 도중 중도 하차했던 와일드 오츠 11호는 이번 대회에서 역대 최고의 기록으로 호바트 항 컨스티튜션 도크에 1위로 선착했지만 반나절만에 우승 자격이 박탈됐다.

2년 동안 와신상담해온 와일드 오츠 11호는 32시간 48분 50초의 경이적인 기록으로 초반부터 선두 다툼을 벌였던 LDV 코만치를 따돌리고 우승의 감격을 잠시 누리는 듯 했다.

하지만 와일드 오츠 11호보다 26분 34초 후에 골인한 LDV 코만치 호의 팀원들은 하선과 함께 주최측에 “출발 당시 와일드 오츠 11호가 규정을 어기고 위험하게 뱃머리를 돌리면서 바로 옆에서 출발한 코만치호는 충돌 위기를 모면하고자 출발점에서 상당한 시간을 지체해야 했다”며 공식 항의를 제기했다.

이에 대한 심의에 들어간 심판진은 결국 와일드 오츠 11호에 1시간 감점을 선언했다.

주최측의 존 론트리 씨는 “국제심파진이 만장일치로 코만치 호의 이의 제기가 적절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로써 와일드 오츠 11호는 역대 9번째 우승의 기록은 물론 역대 최고 신기록 수립마저 송두리째 박탈당하는 ‘역대 최악의 쓰라림’을 겪어야 했다.

경기 규정 위반으로 우승이 박탈당한 경우는 지난 1990년 로스만스 호 이후 처음이다.

결국 2017 대회의 우승은 2위로 골인한 LDV 코만치 호에게 돌아갔고, 우승 기록은 33시간 15분 24초로 발표됐다.

이 역시 지난해 대회에서 종전 기록을 5시간이나 단축했던 퍼페츄얼 로얄호의  37시간 31분 20초의 대회 최고기록을 무려 4시간 15분 56초나 앞당긴 기록이다.

코만치  호의 스키퍼(선장) 짐 쿠니 씨는 “심판진의 판정은 정확했다”며 기뻐했다.

짐 쿠니 선장은 “매우 공정하고 합리적인 결정이었고 심판진으로서 내려야 할 당연한 판정이었다”면서 “대회에 참여하는 모든 선박은 해당 선박의 항해 전술이 타 선박에 미칠 영향을 합리적이며 책임감있게 존중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하지만 와일드 오츠의 선장 마크 리차드스 씨는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매우 실망스러운 판정이다”면서 “720도 뱃머리 회전으로 판단됐다면 출발점에서 이를 판단해서 통보했어야 했다”고 실망감을 드러냈다.

시드니 호바트 요트 레이스의 전설로 불리는 와일드 오츠 11호는 지난 1940년대부터 60대에 이르기까지 7차례 우승컵을 들어올렸던 모나 호의 우승 기록을 깨트리고 역대 최다인 통산 8회 우승의 급자탑을 쌓은 바 있다.

하지만 와일드 오츠 11호는 지난해의 경우 출발 다음날 요트의 수압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서 레이스를 포기했다.

그리고 2015년에는 가장 중요한 키 돛이 손상되면서 레이스를 이어갈 수 없었고 출발 다음날 레이스를 포기하고 시드니 항에 회항했고, 올해는 우승을 하고 반나절 만에 우승과 대회 신기록을 박탈당하는 불운이 잇따르고 있다.

반면 코만치 호는 2015년에 이어 다시 우승의 감격을 누렸다.

 

사진 (AP Photo/Rick Rycroft) 3년 연속 분루를 삼킨 와일드 오츠 11호

 

©TOP Digital/31 December 2017

http://topdigital.com.au/node/5151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17 호주 시드니 소재 유명 사립학교들 ‘시설 경쟁’ 과열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6 호주 각 부처 최고 공무원들, 연봉 5% 이상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5 호주 광역 시드니 및 주변 지역 거주민 기대 수명은...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4 호주 NSW 노동당의 우상, 네빌 랜 전 수상 타계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3 호주 맹견 공격으로 91세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4.04.24.
5212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기, 북서부 지역 가장 많이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5.01.
5211 호주 ‘세월호 참사’ 관련, 시드니한인회 합동분향소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5210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9 호주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8 호주 동포화가 수향 선생 작품, ‘Berndt Museum’서 초대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7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 저소득 계층에게는 ‘재앙’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6 호주 시드니, ‘유학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5 호주 NSW 주, 호주 내 경제 부분에서 ‘선두’ 달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4 호주 호주 내 마약 압수 및 사용자 체포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도심으로 눈 돌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2 호주 NSW 주 강력한 법질서 정책으로 재소자 급증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1 호주 호주 해군, 케냐 해안에서 1톤가량의 헤로인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5.01.
5200 호주 호주인들, “양부모 가족은 아이 성장에 필요” 호주한국신문 14.05.01.
5199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4주 연속 80% 이하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5.08.
5198 호주 시드니 어퍼노스쇼어 지역, ‘100만 달러 클럽’ 진입 호주한국신문 1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