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육수준 1).jpg

‘센서스 2016’ 자료를 기반으로 광역시드니 각 지역별 고학력 거주 비율을 분석한 결과 새 주거 단지로 개발된 고밀도 주거 지역인 로즈(Rhodes)의 경우 대학원 학력 이상 거주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상공에서 본 로즈 지역 일대.

 

로즈(Rhodes), 대학원 이상 학위 거주자 비율 가장 높아

학사학위 최고 비율은 달링턴... 고밀도 주택 지역에 고학력 거주자 집중

 

광역시드니 각 지역(suburb) 별 고학력 거주 비율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자료가 나왔다.

금주 월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6년 8월 실시한 인구조사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시드니 각 지역 거주자들의 학력 수준을 집계한 결과, 로즈(Rhodes)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고등 교육을 받은 이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꼽혔다.

한때 로즈는 페인트 및 화학공장이 자리해 그로 인한 악취 때문에 인기 있는 거주지가 아니었지만, 새로운 주거단지로 개발되면서 시드니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이들이 가장 많은 곳으로 부상한 것이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15세 이상 거주민 가운데 석사 학위 소지자가 27.4%로 광역시드니에서 가장 높았다.

대학원 이상의 학위를 가진 거주자가 두 번째로 많은 지역은 호주 최대 병원 구역 중 하나인 웨스트미트(Westmead. 26.3%)였으며 도우스 포인트(Dawes Point. 25.8%), 세인트 레오나드(St Leonards. 24.2%), 메도뱅크(Meadow Bank. 24.2%), 핌블(Pymble. 23%) 순이었다.

로즈는 또한 학사 학위 이상, 대학원 수료 또는 석사 학위 소지자 거주 비율에서도 73%로 가장 높았으며 세인트 레오나드와 핌블(각 72.2%)이 뒤를 이었다.

학사 학위 소지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시드니대학교와 인접해 있는 달링턴(Darlington)으로 이들 비율은 50.8%였다. 이어 헌틀리스 포인트(Huntleys Point. 50.5%), 도버 하이츠(Dover Heights. 46.9%), 로즈빌 체이스(Roseville Chase. 46.0%) 순이었다.

이번 자료는 시드니 지역 고학력자 분포가 광역 시드니 전 지역에 고르게 분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진단이다.

5년 전 인구조사 자료인 ‘센서스 2011’에서는 석사 학위 이상 학력자 거주 비율이 높은 상위 20개 지역은 주로 시드니 북부 해안(lower north shore) 지역과 도심 서부 인근인 이너웨스트(inner-west)에 몰려 있었다.

반면 ‘센서스 2016’ 조사에서는 이들 고학력 거주 지역은 메도뱅크(다섯 번째), 파라마타(Parramatta. 일곱 번째), 매콰리파크(Macquarie Park. 열 번째)를 비롯해 시드니 서부 및 북서부의 도심 중간 외곽지역(middle-ring suburbs) 또는 더 먼 지역이 다수 포함됐다.

특히 거주 인구가 많은 파마라타의 경우 대학원 이상 고학력 거주자 수가 3,597명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2011년 인구조사 이후 고학력 다수 거주 지역 분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요인 가운데 하나로는 숙련기술자 이민 정책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고학력의 전문 기술직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지역별 주거 비율에도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고학력 거주자 비율이 높은 지역의 경우 해외 이민자가 호주 출생자 수를 앞질렀다.

특히 이는 로즈(Rhodes) 지역에서 두드러져 대학원 이상의 학위를 가진 거주자 중 해외 이민자는 80.3%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1년 인구조사에서 로즈에 거주하는 대학원 이상 고학력자 비율은 14.7%로 집계된 바 있다.

또한 고학력자 가주 비율과 고밀도 주거 지역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진단이다.대학원 이상 학력자 거주비율이 높은 10개 지역(suburb) 중 7개 지역은 아파트, 유닛이 광역시드니 전체 평균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로즈의 경우는 이 지역 전체 주민 중 90% 이상이 아파트 또는 유닛에 거주한다.

이번 자료는 또한 지난 10년 사이 15세 이상 호주인들의 각종 기술 붐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006년 인구조사 결과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직업기술 자격을 보유한 이들은 46%였으나 2016 센서스에서는 15세 이상 56%(960만 명)가 이를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2006에서 2016년 사이) 학사 학위 이상을 취득한 호주인 비율도 18%에서 24%로 증가했다.

통계청은 이번 보고서에서 “10년 전 조사에서는 하이스쿨 졸업생의 16%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6년 센서스 결과 이 비율은 5명 중 1명 이상(21%)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2016 센서스 집계에서 대학원 이상 학력자 거주비율이 3%보다 낮은 광역시드니 내 지역(suburb)은 96개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주로 시드니 북부(northern), 서부(western) 및 남서부(south-western) 지역(region)이었으며, 대부분 시드니 내 대학과 멀리 떨어진 곳이었다.

 

■ 학력 수준 높은 상위 지역

▲ Postgraduate Degree(석사 학위)

(지역 : 비율 / 인구)

-Pymble : 23% / 1,460명

-Westmead : 26.3% / 2,561명

-Parramatta : 22.7% / 3,597명

-Meadowbank : 24.2% / 738명

-Macquarie Park : 22.4% / 1,178명

-Rhodes : 27.4% / 2,149명

-St Leonards : 24.2% / 1,008명

-Lavender Bay : 22.5% / 161명

-Dawes Point : 25.8% / 67명

 

▲ Bachelor Degree(학사 학위)

-East Lillara : 45.3% / 726

-East Lindfield : 45.5% / 924

-Roseville Chase : 46.0% / 418

-Balgowlah Heights : 45.1% / 797

-Huntleys Point : 50.5% / 49

-Dover Heights : 46.9% / 1,026

-Darlington : 50.8% / 1,030

 

▲ Graduate Diploma and Graduate Certificate

-Calga : 7.2% / 5

-Mount Elliot : 7.5% / 8

-Killcare Heights : 7.7% / 33

-Hawkesbury Heights : 6.2% / 14

-Lapstone : 6.0% / 33

-Cheltenham : 6.2% / 82

-Riverview : 5.7% / 96

-Lewisham : 6.1% / 120

 

▲ Advanced Diploma and Diploma

-Hawkesbury Heights : 22.7% / 51

-Berrilee : 22.3% / 27

-Whale Beach : 22.4% / 36

-Greenfield Park : 20.9% / 343

Source: ABS 2016 Censu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교육수준 1).jpg (File Size:72.2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97 호주 전문가들, “호주인 혈액암 발병 및 사망률, 과소평가”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6 호주 “하이스쿨 교사들 업무시간 너무 많다”... 수업시간은 오히려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5 호주 “여성들, 유능한 ‘Multi-Tasker’가 아니라 단지 더 많은 일을 한 뿐”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4 호주 “시드니에서 런던까지 이제 4시간 거리”... 영, 초음속 항공기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3 호주 호주 아우디(Audi), 신형 ‘RS Q3’ 및 ‘RS Q3 Sportback’ 내년에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2 호주 온라인 기업들, 중국 대상 전자상거래 쉬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1 호주 시드니 스카이라인, 빠른 인구 증가로 뉴욕 맨해튼 닮아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90 호주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두 자릿수 상승률 보일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89 호주 Prestige Residence - 호주 최고가 주택 거래, 1년 만에 ‘경신’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8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신뢰도 상승, 경매 낙찰률 지난 2년 사이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
3287 호주 호주 올 여름…폭염, 가뭄, 산불 위험 가중될 듯 톱뉴스 19.10.23.
3286 호주 NSW주 대입수능시험 HSC 시작…123개 과목 시험에 총 7만5000 수험생 응시 톱뉴스 19.10.23.
3285 호주 호주-한국, 100억 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연장 논의 톱뉴스 19.10.23.
3284 호주 2019년 10월 21일 호주 주요 일간지 1면 일제히 검은색 공란 처리 톱뉴스 19.10.23.
3283 호주 호주 시민권 대기자 22만명…대기 기간 평균 16개월 톱뉴스 19.10.23.
3282 호주 호주 국적기 콴타스, 세계 최초 20시간 논스톱 비행 이모저모 톱뉴스 19.10.23.
3281 호주 이민재심 신청 ‘역대급’ 폭증…행정재심재판소 업무 ‘마비’ 톱뉴스 19.10.23.
3280 호주 Childlessness... ‘조부모’가 되지 못한 세대, 가족의 공허감 느낀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3279 호주 물가상승 반영 안 된 ‘뉴스타트’ 보조금, 이번에는 인상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3278 호주 “사회적 이슈 외면하는 기업들, 경영 리스크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