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png

올 들어 두 번째로 진행된 시드니 주말 경매는 첫 경매에 비해 19%포인트 높은 낙찰률을 기록했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낮은 기준금리가 이어지면서 올해 시장은 지난해와 달리 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은 지난 주말(10일) 랜드윅(Randwick)에서 거래된 빅토리안 풍의 주택.

 

부동산 시장 관계자들, “올해 주택거래 다시 살아날 것” 기대

 

올해 시드니 주말 주택경매가 이달 첫 주 시작된 이후 두 번째인 지난 주말(10일) 경매는 전체 거래 결과에서 이전 주에 비해 19%가 급상승하는 등 큰 차이를 보였다.

부동산 분석회사 ‘도메인 그룹’(Domain Group) 집계에 따르면 이달 두 번째 경매는 총 290채가 등록돼 69.7%의 낙찰률을 보였다. 이는 142채가 시장에 나와 절반가량인 50.6%의 거래 결과를 보인 첫 주(3일)에 비해 크게 상승한 수치이다.

물론 이달 시작된 두 차례의 경매 결과를 수치로 비교해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우선 두 차례 모두 시장에 등록된 매물이 적었으며, 가격대 또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부동산 에이전트들은 예비 구매자들의 시장조사, 오픈 인스펙션에 참가하는 이들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시장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에이전트들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 해 하반기, 봄 시즌 경매시장에서도 주말 경매 매물에 대한 예비 구매자들의 인스펙션 참여는 보통 3-4 그룹에 불과했지만 지난 주 경매기 시작되기 이전, 매물로 나온 주택을 확인한 그룹은 평균 15개 그룹이었다.

경매 당일 입찰자 또한 평균 3명 이상이었으며, 판매자 입장에서 경매 결과도 아주 좋았다(solid-gold results)는 설명이다.

시드니 동부 랜드윅(Randwick)에서는 퍼로우즈 로드(Perouse Road) 상의 3개 침실 주택에 5개 그룹이 입찰해 가격 경쟁을 벌였다. 이 지역 중개회사인 ‘Di Jones Eastern Suburbs’ 사를 통해 매물로 나온 이 주택의 잠정가격은 180만 달러였으며, 이날 경매에는 197만1천 달러에 낙찰됐다.

이 회사 에이전트인 미첼 단세이(Mitchell Dansey)씨는 “오늘 입찰한 예비 구매자들은 매우 적극적이었다”면서 “매물로 공고된 이후 50여 그룹이 인스펙션을 했으며 이들 중 10%인 5명이 입찰했다”고 말했다.

이너웨스트 지역, 피터샴(Petersham)에 있는 한 빅토리아 풍의 오랜 주택 또한 상당히 좋은 낙찰 결과를 보였다. 존 스트리트(John Street) 상의 436스퀘어미터 부지에 자리한 이 주택은 7개 그룹이 경매에 입찰했으며, 애초 잠정가격보다 36만7천 달러 더 오른 256만7천 달러에 거래가 성사됐다.

매매를 진행한 부동산 회사 ‘Inner West’s Shad Hassen’ 사의 핫센(Hassen)씨에 따르면 2채의 주택으로 이루어진 이 하우스는 매물로 등록된 이후 200명 이상이 인스펙션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잠정 가격도 230만 달러에서 250만 달러 높아졌다.

그는 이너웨스트 지역의 경우 올해 경매가 시작되면서 등록된 매물에 100여 그룹 이상이 인스펙션을 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봄 시즌에도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발메인(Balmain)에서는 빅토리안 시대 풍의 세미하우스가 180만 달러에 거래됐다. 데오도르 스트리트(Theodore Street) 상에 자리한 3개 침실의 이 주택 잠정 가격은 175만 달러였다. 이 주택은 발메인에서 진행된 올해 첫 경매 매물이었으며, 50여 그룹이 경매 과정을 지켜보는 등 이 지역 주택 가격에 큰 관심을 보였다.

매월 첫주 화요일, 정례 통화정책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호주 중앙은행(RBA)은 지난 주, 18개월째 사상 최저의 금리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필립 로우(Philip Lowe) RBA 총재의 설명에는 이 같은 기준금리가 당분간은 지속될 것이라는 암시가 들어 있다.

로우 총재는 “지난 6개월 사이 호주 전역의 주택 가격은 큰 변동이 없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가격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에이전트들은 올해의 경우 충분한 구매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예비 구매자의 수요를 충당하면서 시장에서 적절한 수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판매자가 충분한지 여부이다.

베이비 부머 세대가 은퇴하면서 기존 주택을 줄여 작은 주거지를 마련하려는 ‘다운사이저’들도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의 가장 큰 불만 중 하나는 현재의 부동산을 매각한다 해도 대체로 만족스런 주택을 구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소형 주택의 가격 또한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 주 경매에서 가장 높은 금액에 거래된 주택은 애보츠포드(Abbotsford) 소재 아이린 스트리트(Irene Street) 상의 주택으로, ‘Belle Property Drummoyne’ 사가 진행한 이 주택 낙찰가는 300만 달러였다.

유닛 중에는 ‘McGrath Neutral Bay’ 사가 매매를 진행한 키리빌리(Kirribilli)의 카라벨라 스트리트(Carabella Street) 상에 자리한 것으로, 302만8천 달러에 낙찰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png (File Size:388.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17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6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5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4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3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2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1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
5110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9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8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7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5106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5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4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3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2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1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5100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9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5098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