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 경제 1).jpg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에서 납세자의 소득세 감면 대상을 확대한 것과 관련, 정부는 충분히 정부 부채를 상환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경영 분야 실무자들은 호주의 경제 침체, 글로벌 금융위기를 대비하지 못한 조치라고 우려를 표했다.

 

‘호주 기업경영자협의회’, 새 예산안의 세금감면 계획 ‘우려’ 제기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에서 37%의 소득세 삭감 혜택 범위가 크게 확대된 것과 관련, 호주의 한 경영자 단체가 “글로벌 경제 침체에 대비하지 못한 조치”라고 경고했다.

지난 주 화요일(8일) 발표된 연방 예산안의 주요 내용은 연소득 4만1천 달러에서 20만 달러 사이의 납세자에 대한 소득세를 32.5%로 삭감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기존 63%의 납세자에게 적용됐던 32.5%의 소득세 적용 범위가 94%로 확대됐다. 이는 전체적으로 수십억 달러의 세금 삭감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호주 기업경영자협의회(Australian Institute of Company Directors. AICD)의 엘리자베스 프로스트(Elizabeth Proust) 의장은 매주 월요일 진행되는 ABC 방송의 시사 토론 프로그램인 ‘Q&A’에서 “정부가 부채 상환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로스트 의장은 “지난 26, 27년간 호주 경제는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왔으며 국내총생산(GDP)은 3%, 임금은 2.5%가 성장함으로써 정부 예산 가운데 일부 부문은 낙관적으로 봐도 무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프로스트 의장은 이날 방송에서 한 패널이 “만약 글로벌 금융위기가 다시 발생할 경우 감세의 당근책을 무시하고 호주의 재정 상황을 강화해야 하는가”라는 한 패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한 것이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연방 사이버보안부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장관은 모리슨(Scott Morrison) 재무장관의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을 지지하면서 “정부가 세금을 삭감하면서도 부채를 청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테일러 장관은 “정부 예산 시스템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정부는 그에 따른 강력한 정책을 이어나갈 것”이라며 “시간이 지나면서 실질임금 인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장관은 이어 “단기적으로는 저소득자 및 중간소득층의 수입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강하다”며 “중요한 것은, 경제성장이 이어지고 투자 또한 확대되면서 저소득 및 중간 계층의 소득세 삭감을 수입 증가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야당 내각의 재무 담당인 크리스 보웬(Chris Bowen) 의원은 호주 경제가 취약하다는 것에 동의하면서 노동당이 예산 계획에 대대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웬 의원은 “호주 경제는 실제로 상당히 취약하며, 이에 맞춘 예산 계획의 수정이 필요하다”며 “우리(호주)에게는 향후 지속 가능한 흑자 예산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새 회계연도 예산안이 발표된 지난 주, 노동당은 향후 4년간 집권 정부 예상보다 많은 60억 달러의 예산 흑자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이날 ‘Q&A’ 프로그램의 토론자들은 연방 정부의 부채를 상환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못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 경제 1).jpg (File Size:104.8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7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5156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5155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5154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5153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5152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5151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5150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9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8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7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6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5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4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3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2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1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5140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5139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5138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