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와이어바알리 2).jpg

증가하는 해외 송금 서비스 업체들 가운데, 10분 안에 간편하고 신속하고 안전한 호주와 한국간 양방향 온라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어바알리’(WireBarley)의 글로벌 특급 해외 송금 서비스가 화제다. 사진은 와이어바알리 직원들.

 

10분 내 간편한 글로벌 특급 송금 서비스 제공

비은행 최초로 호주-한국 양방향 소액 외환송금업 라이센스 취득

 

해외여행과 유학이 보편화되면서 비은행 해외 송금 서비스가 새로운 비즈니스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호주와 한국간 양방향 온라인 송금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는 ㈜와이어바알리(WireBarley)의 글로벌 해외 송금 서비스가 화제다.

시드니 기반의 동포기업 ‘와이어바알리’(www.wirebarley.com)는 2012년부터 호주 송금 서비스 업계 최초로 실시간 온라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한 ‘디투케이클럽’(D2KClub)이 새로운 이름으로 재탄생한 인터넷 환전 및 송금 기업이다.

이 사업의 계기를 마련한 김원재 호주법인 대표는 삼성전자 해외법인 출신인 유중원 대표, ‘프리챌’ 창업 멤버인 삼성물산 출신 윤태중 부사장과 함께 핀테크 스타트업 디투케이클럽으로 시작했다.

그동안 외환관리법에 따라 은행 외에는 한국에서 해외로의 송금 서비스가 허가되지 않아 디투케이클럽은 호주에서 한국으로의 일방 송금 서비스만을 제공했다. 그러다 지난 2016년 한국법인 와이어바알리를 설립하고 양방향 송금 서비스를 위한 2년간의 기술적, 법적인 준비를 진행했다.

지난해 12월 와이어바알리는 KB금융 자회사인 ‘KB인베스트먼트’가 주도한 재무투자자 그룹, 신세계그룹 계열의 핀테크 관련 부문 전담 계열사인 ‘신세계 I&C’ 및 호주 투자자들로부터 한화 총 12억 원의 ‘프리시리즈 A’(Pre-Series A) 투자 유치에 성공했으며, 올해 3월에는 호주기반 비은행 금융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기획재정부에서 인정한 한국과 호주의 양방향 소액 외환송금업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이로써 현재 와이어바알리는 호주, 한국, 뉴질랜드의 양방향 송금 서비스뿐만 아니라, 호주에서 베트남 및 필리핀으로의 송금 서비스를 론칭, 총 5개 국가간 12개 방향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송금 서비스를 점차 확장해가고 있다.

지난 6년 와이어바알리는 총 회원수 4만6천여 명, 모바일 앱 설치수 4만 건,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한국으로 총 45만 회의 송금을 기록하면서 현재 지속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와이어바알리의 한 관계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해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수분 내에 신속하고 간편하고 안전한 송금이 가능하며, 국가별 여러 은행과 거래 후 개별적으로 결제되는 것이 아닌, 차액만을 정기적으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수수료를 절반으로 낮춘 것이 와이어바알리의 최대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이름 와이어바알리는 한국어로 ‘송금하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Wire’와 ‘보리’라는 뜻의 ‘Barley'를 합친 단어로, 이스라엘의 저명한 역사학자인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가 저술한 ‘사피엔스’(Sapiens)에서 ‘보리’가 ‘인류가 사용한 최초의 화폐’라고 기술한 데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와이어바알리 2).jpg (File Size:78.8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54 호주 경찰, 시드니 서부 일대 폭력조직 체포작전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3 호주 제임스 패커-데이빗 긴젤, 각 500달러 벌금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2 호주 연방 경찰, NAB 직원에 자료 유출시킨 ABS 직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1 호주 결혼생활의 스트레스가 조기 사망 부를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0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세금 인상은 없을 것” 선거공약 파기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9 호주 Budget 2014... 새로운 예산안이 미치는 부문별 영향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8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정부, “국민 기만한 것” 호주한국신문 14.05.15.
2747 호주 시드니 고급 부동산 시장, 거래량 증가로 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6 호주 한국 근•현대 사진전, ‘Korea: Then and Now’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5 호주 ‘북한인권주간’ 개막... 다양한 행사 펼쳐져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4 호주 재외동포재단, 두 번째 사진 공모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3 호주 구세군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2 호주 대학생 수천 명 ‘예산안 반대’ 가두행진 벌여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1 호주 애보트 정부의 초긴축 예산안, ‘지지율 급락’으로 호주한국신문 14.05.22.
2740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9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8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7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6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2735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