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_0.jpg?itok=wPF7v_WW

정부는 최근 이민자 부모 임시 거주 스폰서 비자 관련 법안이 연방 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내년 상반기부터 신청이 가능하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SBS 보도에 따르면, 지난 주 이민법 개정안이 상원을 통과한데 이어 하원에서도 승인돼 수년 간 이민자 단체들이 요구해 온 비자가 빛을 보게 됐다. 하지만 야당과 이민자 단체들은 정부안이 기존의 약속된 것과 달라 우려를 표하고 있다.

데이비드 콜만 이민 장관은 이번에 개정된 법안과 관련해 “부모, 조부모가 호주에 거주하는 가족을 방문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호주 공동체에 큰 사회적 이익을 안겨줄 것”이라고 반겼다.

반면 노동당의 예비 이민 장관인 쉐인 노인만은 “양가 부모 중 한 쪽 부모로 비자를 제한한 것을 포함해 이번에 발표된 비자 법안은 2016년 연방 총선 이전에 약속했던 것과 다르다”며 “이번 조건은 가족들에게 재회할 상대를 자신의 부모님과 배우자의 부모님 중 선택을 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노동당은 이미 이 같은 상황이 불러올 파장과 우려를 데이비드 콜만 이민 장관에서 전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해 5월 부모의 임시 거주 비자와 관련해 3년 비자의 수수료는 5천 달러, 5년 비자의 수수료는 1만 달러로 같은 수수료를 내고 1회에 걸쳐 5년 연장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시에도 이민자 단체들은 높은 비자 수수료에 우려를 표했다.

또한 이번에 마련된 스폰서 비자는 부모를 스폰하길 원하는 이민자들의 경우 부모의 재정 보증인으로 의료 관련 비용에 대한 채무를 법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데이비드 콜만 이민 장관은 “새로운 비자는 공공 의료 부채를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지침으로 납세자들을 보호하면서 호주 전역의 이민자 가정이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Top Digital

http://topdigital.com.au/node/6897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54 호주 스트라스필드 기차역 보행자 터널 재단장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3.19.
2153 호주 NSW 주 대법원, ‘코만체로’ 전 두목 재구금 호주한국신문 15.03.19.
2152 호주 NSW 주 병원 의료인력 수급, 여전히 ‘빨간불’ 호주한국신문 15.03.19.
2151 호주 한 미술품 애호가, 국립미술관에 소장품 기증 호주한국신문 15.03.19.
2150 호주 시드니 랜드마크 ‘본다이 파빌리온’ 새 단장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9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오늘 재오픈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8 호주 경찰, 불법 무기수입 시드니 남성 기소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7 호주 시간당 1천 달러의 고소득, 어떤 직업에서 가능한가...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6 호주 외환변동 자료로 부당이익 챙긴 2명, 징역형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5 호주 ‘자수성가’한 호주의 여성 부자는 누구?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4 호주 애보트의 비인기, 주 선거 영향은 크게 없을 듯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3 호주 호주 대테러부대, 잠재 지하디스트 출국 저지 주력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2 호주 ‘발리나인’ 등 11명 사형수 집행, 다시 몇 주 연기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1 호주 ABC 방송, NSW 주 선거 유권자 조사(Vote Compass) 호주한국신문 15.03.19.
2140 호주 시드니 ‘부동산 붐’ 불구, 일부 지역 더딘 상승세 호주한국신문 15.03.26.
2139 호주 NSW 주립미술관, ‘The Photograph and Australia’ 사진전 호주한국신문 15.03.26.
2138 호주 제30대 한인회장 선거, 출마자 2명 확정적 호주한국신문 15.03.26.
2137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2회 자선골프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3.26.
2136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 교통혼잡 문제 우선돼야...” 호주한국신문 15.03.26.
2135 호주 한국대사관, ‘한-노던 테러토리’ 라운트 테이블 호주한국신문 1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