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3.1운동 기사).jpg

1919년의 비폭력 독립 시위인 3.1운동은 며칠 후 호주와 뉴질랜드 지역에서 비교적 상세히 전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1919년 3월18일 자로 3.1운동 소식을 게재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3.1운동 기사면.

 

민주평통 아세안 지역회의, 대양주 지역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확인

 

100년 전 한반도 곳곳에서 일어났던 비폭력 독립운동이 호주와 뉴질랜드에도 전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아 1919년 당시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 매체의 한반도 상황 기사 자료 발굴에 나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세안 지역회의(부의장 이숙진)가 금주 수요일(27일) 발표한 1차 자료에 따르면 당시 조선의 독립운동 상황은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에서 다뤄졌다.

한반도의 독립운동 소식을 호주 땅에 가장 먼저 알린 언론사는 NSW 주 알버리 지역의 ‘보더 모닝 몰과 리베리나 타임즈(1903-1920), NSW주 탬워스의 ‘데일리 옵저버’(1917-1920), NSW 주 내륙 ‘메이틀랜드 데일리 머큐리’(1834-1939) 등 지방에서 발간되던 지역신문들이었다.

이들 매체들은 1919년 3월 15일자로 한국의 3.1 만세운동이 한반도 전국 방방곳곳에서 벌어진 사실을 전했다. 뉴질랜드에서도 같은 날 ‘오클랜드 스타’(1870-1945)가 이 소식을 맨 처음 전했다.

이 신문은 “항일 운동이 한국에서 치솟기 시작했으며 독립을 요구하다 4천명이 체포됐다”고 비교적 상세히 전했다. 본격적인 보도는 3월 18일 쏟아져 나왔다. 시드니와 멜번은 물론 타스마니아(Tasmania), 남부 호주(SA), 퀸슬랜드(Queensland), 서부 호주(WA) 등 사실상 호주 전역의 각 매체들이 3.1 만세 운동 소식을 다뤘다.

호주 매체들은 미국 뉴욕 타임즈나 영국의 로이터 통신 기사를 받아 보도했지만 3.1운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비교적 판이했다.

일부 매체들은 3.1 운동과 관련해 소요(disturbance), 불안정(unrest), 소동(trouble), 동요(agitation), 무질서(disorder), 폭동(riot), 봉기(revolt, rising) 등으로 묘사했지만, 다수의 언론사들은 ‘일본에 맞선 한국의 독립운동’이라고 직시해 눈길을 끌었다.

호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한국, 독립 소요’라는 헤드라인을 내걸고 “뉴욕 타임즈의 북경 특파원이 한국에서 광범위한 독립운동이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했다. 도시와 지방에서 수천 명의 시위대가 체포됐다.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이 전국 규모의 행진을 주도했다”고 전했다.

멜번의 디 에이지(The Age)와 시드니의 데일리 텔레그라프 역시 같은 내용의 기사를 실었지만 헤드라인은 “한국, 독립 모색”, “동요하는 한국”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타스마니아 ‘머큐리’(The Mercury)는 ‘한국, 광범위한 독립운동’이라는 헤드라인을 내걸었다.

특히 1919년 당시 남부 호주 아들레이드(Adelaide)에서 발간됐던 ‘레지스터’(The Register. 1901-1929) 지는 ‘한국 v. 일본... 민족 운동 개시’라는 헤드라인 기사를 통해 “뉴욕 타임즈의 베이징 특파원 보도에 따르면 한국 민족주의자들의 주도로 전역에서 독립 운동이 시작돼 수천 명이 일본 당국에 체포됐다”고 전하면서 3.1운동이 민족 독립 운동임을 명시하는 한편, 대한제국의 상황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3월 18일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의 다양한 신문을 통해 언급된 3.1운동 소식은 4월초까지 이어졌다.

4월 7일 자 브리즈번의 ‘데일리 메일’(1903-1933)은 상하이 발 로이터 통신 보도를 인용해 ‘한국, 100차례의 봉기로 수많은 희생자 발생’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내보냈다.

특히 이 신문은 “민족자결주의를 갈망하는 비무장 한국인들의 민주화 염원을 일본이 짓누르고 있다는 현지 선교사들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일본의 비공식 소식통들은 ‘칭타오와 상해에 본부를 둔 일부 볼셰비키 주의자들의 선동으로 폭력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주장했다”고 전했다.

한편 3.1운동 관련 기사에서 대부분 언론들은 한국을 ‘Korea’로 표기했지만 일부 언론은 ‘Chosun’으로 명기해 눈길을 끌었다.

민주평통 아세안 지역회의는 오는 4월 상해 임시정부 활동 사항에 대한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의 기사 자료를 추가 발표하며, 향후 전체적인 자료집을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 |
  1. 종합(3.1운동 기사).jpg (File Size:169.7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74 호주 시드니한인회, ‘인종차별법 개정 반대’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08.
2773 호주 평통, 북한의 현 정세와 한반도 주변 상황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5.08.
2772 호주 김봉현 대사, 서부 호주 광산개발 시찰 호주한국신문 14.05.08.
2771 호주 NSW 빅터 도미넬로 장관, ‘세월호 참사’ 희생자 애도 호주한국신문 14.05.08.
2770 호주 호주 두 젊은 재벌의 대낮 난투극은 미란다 커 때문?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9 호주 경기회복 신호탄, 4개월 연속 구인광고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8 호주 호주 입국 난민 희망자들, 평균 대기기간 9개월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7 호주 NSW 주 교통부 장관, ‘자전거 라이센스’ 도입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6 호주 사커루 핵심 수비수 루카스 닐, 월드컵 선발서 제외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5 호주 Australian Teen Sex Survey... ‘섹스팅’, 청소년 교제의 한 형태로... 호주한국신문 14.05.08.
2764 호주 차고(Garage) 유무, 부동산 가격에 상당한 영향 호주한국신문 14.05.15.
2763 호주 강해연의 이유 있는 카타르시스 밀어들(20)- 44번 버스 호주한국신문 14.05.15.
2762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2761 호주 재외공관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서' 발급 서비스 시행 호주한국신문 14.05.15.
2760 호주 호주 구세군, 새 예산안에 심각한 우려 표시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9 호주 전환기, 호주의 장애인 복지제도는...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8 호주 마이클 커비, ‘북한인권조사위원회의 교훈’ 강의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7 호주 재미한국학교 북가주협의회, ‘한국 역사 표준 교육과정’ 개발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6 호주 어번 시티 도서관, “도서관 예산 감축 막아 달라” 호소 호주한국신문 14.05.15.
2755 호주 호주 월드컵 대표팀, 예비 엔트리(30명)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