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방문중인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두 정상은 호주 시각으로 오늘 오전 미 백악관에서 국빈 만찬을 가졌다.

호주와 미국 정상의 국빈 만찬은 존 하워드 전 총리의 미국 방문 이후 13년만의 처음이다. 

백악관에서 열린 이날 국빈 만찬에는 양국 주요 각료들을 포함 기업체 대표들이 다수 초청됐다.

호주의 대표적 광산재벌 지나 라인하트, 앤드류 포리스트를 포함 케리 스토크스, 앤소니 프랫트 등 기업체 대표와 골퍼 그렉 노만이 참석했다.

뉴스코프의 루퍼트 머독 수석 회장과 아들 락클란 머독 회장도 모습을 드러냈다.

한편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호주 힐송 처치 창시자인 브라이언 휴스턴 목사도 초청해줄 것을 백악관 측에 요청했으나, 브라이언 휴스턴 목사의 아버지 프랭크 씨의 과거사 의혹과 관련해 미국 측이 정중히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국빈 만찬에 이어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이 주최하는 국빈 오찬 행사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양국 정상은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를 따뜻이 맞이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모리슨 총리는 호주의 타이타늄이다”라며 격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리슨 총리를 ‘호주의 타이타늄이다’라고 격찬한 것은 전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존 하워드 전 총리를 ‘호주의 강철’이라고 평가한 것을 빗댄 것이다.

즉, 강력한 지도력과 더불어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가 유연성마저 겸비했다는 점을 적극 부각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미국은 인류의 발걸음을 달로 이끈 위대한 국가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위대한 미국을 더욱 위대하게 이끌고 있다”라고 화답했다.

모리슨 연방총리는 또 “미국과 호주는 세계 1, 2차 대전 등을 통한 혈맹관계를 존속해왔다”는 점을 적극 부각시켰다.  

이에 앞서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백악관 도착 직후 백악관의 남쪽 잔디밭에서 의장대의 사열을 받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정상 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나는 중국과 부분합의가 아닌 '완전한 무역합의'(complete trade deal)을 원한다"며 "내년 대선 전에 반드시 중국과 무역합의를 해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내년 11월 대선 이후까지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이어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사진 (AAP Image/Mick Tsikas) 양국 국빈 만찬에서 건배하는 두 정상.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34 호주 법정 문서로 드러난 호주의 돈 세탁 조직 호주한국신문 14.12.18.
533 호주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 명확히 꿰뚫어야...” 호주한국신문 14.12.18.
532 호주 “한민족 특유의 결집력, 창조성 발휘해야...” 호주한국신문 14.12.18.
531 호주 지난 토요일(13일) 경매, 낙찰률 75퍼센트로 회복세 호주한국신문 14.12.18.
530 호주 ANDC, “2014년 올해의 단어는 ‘shirtfront’” 호주한국신문 14.12.11.
529 호주 연립 집권당-토니 애보트 수상 인기도 ‘급락’ 호주한국신문 14.12.11.
528 호주 시드니 트램, 세계 최장 길이의 전차될 듯 호주한국신문 14.12.11.
527 호주 “상당수 호주 기업 경영자, 효과적인 리더십 없다” 호주한국신문 14.12.11.
526 호주 IS 테러 조직 가담 호주인, 최소 20명 사망 호주한국신문 14.12.11.
525 호주 호주, ‘기후변화’ 대응서 최악의 국가 중 하나 호주한국신문 14.12.11.
524 호주 호주 최초의 다리로 추정되는 교각 발견 호주한국신문 14.12.11.
523 호주 호주 출신 젊은 교사들, 교사 부족 영국 학교서 ‘인기’ 호주한국신문 14.12.11.
522 호주 “전력사업 민영화되면 전기요금 연 100달러 인상” 호주한국신문 14.12.11.
521 호주 “젊은이들, 부모보다 낮은 생활수준 직면할 수도...” 호주한국신문 14.12.11.
520 호주 “포르노가 남성의 폭력성을 유발시킨다...” 호주한국신문 14.12.11.
519 호주 ‘타임’지, ‘올해의 인물’로 에볼라 진료 의료진 선정 호주한국신문 14.12.11.
518 호주 김봉현 대사, 멜번 동포단체와 간담회 호주한국신문 14.12.11.
517 호주 호주동포 대상, ‘종합 검진 서비스’ 혜택 마련 호주한국신문 14.12.11.
516 호주 한인회, 북한 농아축구팀 환영 자리 마련 호주한국신문 14.12.11.
515 호주 ‘2015 Global Drug Survey’ 개시 발표 호주한국신문 1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