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유하림 기자>

 

▲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은 한국인이 입국하는 즉시 병원으로 격리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호주브레이크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한국내 확산으로 인해 한국인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전 세계가 중국인이나 중국 입출국 이력이 있는 여행자에 한해서만 입국을 제한하다가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까지 코로나19 다발국가로 포함하면서다. 해당 국가 여행을 계획했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우선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 한국인이 입국하는 즉시 병원으로 격리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투르크메니스탄 한국대사관은 지난 12일 새벽 입국한 한국인 2명(기업 주재원)이 별 증세가 없는데도 감염병원으로 이송돼 격리 중이라고 발표했다.

 

21일에는 외교부가 운영하는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투르크메니스탄 여행을 자제하라고 공지했다. 외교부는 “교민, 출장자를 가리지 않고 입국 즉시 병원 격리 조치하고 있다”며 “병원이 격리 기간을 임의로 결정하고 식대와 진료비는 여행자가 부담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그나마 투르크메니스탄은 한국인 입국자가 많지 않고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나라여서 상황이 덜 심각하다. 같은 중앙아시아 국가이자 한국과 물류·인적 교류가 많은 카자흐스탄도 한국인 입국에 제동을 걸었다.

 

▲ 카자흐스탄 체류 24일 가운데 처음 14일은 체류지에서 매일 의료진의 방문 검진을 받아야 하며, 이후 10일은 전화로 원격 점검을 받아야 한다.  © 호주브레이크뉴스

 

카자흐스탄 정부는 21일 한국을 싱가포르·일본·태국·홍콩·마카오·대만과 함께 코로나19 다발국가로 분류하고, 해당 국가 입국자에 대해 ‘입국 후 24일간 의학적 관찰’을 하겠다는 방역 대책을 발표했다. 카자흐스탄 체류 24일 가운데 처음 14일은 체류지에서 매일 의료진의 방문 검진을 받아야 하며, 이후 10일은 전화로 원격 점검을 받아야 한다. 그나마 완화된 조치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20일 “한국인은 입국 후 2주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한다”고 발표했었다. 

 

카자흐스탄은 한국과 교역도 많은 데다 인천~알마티 노선에 직항편도 운항하고 있다. 여름에는 트레킹, 겨울에는 스키를 즐기는 한국인 관광객이 계속 늘고 있었다. 스키 전문 여행사 ‘헬로스키’의 이강희 이사는 “올겨울은 일본, 중국을 대신해 카자흐스탄으로 원정 스키를 가는 고객이 많았다”며 “카자흐스탄 정부가 발표 내용대로 실제로 엄격하게 검진을 할지 며칠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사모아’와 ‘키리바시’도 한국인 입국을 제한했다. 사모아와 키리바시는 한국을 포함한 8개국을 ‘코로나19’ 현지 감염 진행국가로 분류하고 입국 제한 조치 발표했다. 두 나라를 방문하려면 입국 전 미발병 국가에서 14일 이상 체류해야 하고,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의료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추방당한다. 

 

한국을 위험 국가로 분류해 자국민의 여행 자제를 권고하는 나라도 나타났다. 연 100만 명 이상이 한국을 방문할 정도로 한국과 가까운 대만이 21일 한국을 ‘여행 경보 지역’으로 지정했다. 대만은 여행 경보 지역을 모두 3급으로 분류하는데 한국을 일본, 태국과 함께 1급 주의 지역으로 지정했다. 3급이 가장 위험한 나라다. 

 

외교부 관계자는 “앞으로 한국인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는 국가가 늘어날 수 있다”며 “계속 추이를 살피고 있고 관련 내용을 해외안전여행 사이트 외에 어떻게 알릴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34 호주 "예술로 동해•독도 알린다"…K-클래식 대표 주자 '라메르에릴' 톱뉴스 18.10.27.
2833 호주 "이민자들에게 노래로 영어를 가르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30.
2832 호주 "재외 선거인 등록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2831 호주 "재외국민들도 독후감 대회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2830 호주 "재외국민의 소중한 권리를 꼭 행사해 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2829 호주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투신 소동•여성 사인, ‘데이트폭력’" 톱뉴스 17.10.10.
2828 호주 "한국인이 은퇴 후 가장 살고 싶은 나라 1위는 호주 톱뉴스 18.12.22.
2827 호주 "한반도에 평화를!!" 김진향 개성공단지구 이사장 초청강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2826 호주 "한인사회도 적극 동참해 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8.
2825 호주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추천해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2824 호주 '1987', 뜨거운 감동 전하며 호주서도 꾸준한 흥행 질주 中 톱뉴스 18.01.26.
2823 호주 '2020 한국-호주 비즈니스 어워즈' 시상식 서울서 개최 톱뉴스 20.02.04.
2822 호주 '가상 한국여행'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821 호주 '부머즈' 2017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컵 우승 톱뉴스 17.08.25.
2820 호주 '아베 정권 규탄 및 일본 제품 불매운동 성명서' 톱뉴스 19.08.20.
2819 호주 '유튜버 흉기 공격' 호주 도피 50대 남성 인터폴 적색수배 톱뉴스 20.01.21.
» 호주 '한국 여행경보' 발령 속출! 일부 국가 이미 '한국인 격리' 조치… 호주브레이크.. 20.02.21.
2817 호주 1,600여 명 호주학생들, “한국 문화, 너무 재미있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816 호주 100년 전 3.1 독립운동, 호주 및 뉴질랜드에도 전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815 호주 10년 만에 나온 ‘호주판 킨제이 보고서’ 호주한국신문 1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