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지공예).jpg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이 마련한 ‘한지문화제’는 다양한 한지 공예품 전시는 물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공예품 제작 워크숍도 마련된다.

주시드니한국문화원, 패션쇼-전시회 등 ‘한지문화제’ 개최

 

주시드니한국문화원(이하 ‘한국문화원’, 원장 안신영)이 오는 2월15일부터 29일까지 한국문화원에서 (사)천년전주한지포럼(이하 ‘한지포럼’, 회장 김정기)과 함께 ‘한지문화제’를 개최한다.

한지문화제는 전주 한지의 우수성과 매력을 알리기 위해 한지포럼이 지난 2007년부터 전 세계 각국에서 진행해 오고 있는 행사로, 올해에는 한국문화원과 함께 시드니에서 개최하게 됐다.

이번 한지문화제 기간 동안 한국문화원에서는 한지 패션쇼, 한지 공예품 전시, 한지공예 워크숍, 한지마켓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15일(월) 저녁 6시30분부터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되는 개막행사에서는 전통무용, 국악연주, 탈춤 등 사전공연과 한지로 만든 의상 50여 벌을 선보이는 한지패션쇼가 열린다.

15일과 16일 이틀 동안은 한지포럼의 한지 전문가들이 일반인을 상대로 닥종이 인형, 부채, 한지 쥬얼리, 지승공예(한지를 비벼 꼬아서 만든 노끈) 등 네 개 분야의 한지공예 워크숍을 진행하며, 다양한 색깔의 한지와 한지를 응용한 제품을 판매하는 한지마켓도 열린다.

또한 29일까지 한국문화원 전시공간에서는 닥종이 인형, 합죽선, 액세서리 등 한지를 이용해 만든 수준 높은 한지공예품 60여 점이 전시된다. 이번 한지공예품 전시회에서는 특히 애들레이드에서 한지를 이용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젠 코브니(Jan Coveney)의 작품이 공동으로 전시되어 한지문화제의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한국문화원과 한지포럼은 이번 한지문화제가 한지에 익숙하지 않은 호주 현지인들에게 한지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는 동시에, 교민들도 이번 기회를 통해 전통 한지의 매력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문의 : 02 8267 3400

 

  • |
  1. 종합(한지공예).jpg (File Size:27.7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4 호주 애보트 전 수상, 한국대사관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13 호주 한호아트재단, 제3회 공모전 입상작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12 호주 주호주 한국 대사관, 정부와 교육-관광문제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11 호주 호주 미술계에 한국 현대미술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10 호주 남부 호주(SA) 주에서도 ‘세종학당’ 운영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9 호주 고급 한식 시연에 외국인 200여명 ‘열띤 호응’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8 호주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 낙찰률 57.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7 호주 파라마타 강변 지역, 아파트8천 채 건축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6 호주 내년부터 각종 라이센스, ‘디지털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5 호주 기후변화로 산불방지 시스템 마련 더욱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4 호주 킹스크로스, 주거 지역으로의 변모 움직임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3 호주 시드니 도심 임대주택,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2 호주 올 한해 시드니의 가장 큰 주택가격 성장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1 호주 NSW 포키머신 도박업체들 수입,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600 호주 NSW 주 여성들, 남성보다 일 많고 임금은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599 호주 광역 시드니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598 호주 ‘2016 Sydney Korean Festival’ 세부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597 호주 동포자녀 유소년-청년들 스포츠 행사 연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1596 호주 재외 유권자 등록 마감, 1주일 앞으로 호주한국신문 16.02.04.
» 호주 ‘한지’를 통해 매력적인 한국문화를 만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