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종혐오).JPG

팬데믹 사태 이후 특히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임종혐오적 범죄 발생이 종종 보고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사례와 대처 방안을 알아보는 그룹 토론회가 마련됐다. 사진은 브리즈번(Brisbane)의 한 거리에서 발생한 동양계 청소년에 대한 이유 없는 집단 폭행. 사진 : CASS 제공
 

사회복지 서비스 단체 ‘CASS’, ‘Anti-Discrimination NSW’와 토론회 마련

 

다양한 소수민족이 어우러진 다문화 국가에서 이민자들은 종종 직장, 쇼핑센터 등의 공공장소에서 인종차별 행위의 피해를 받고 있다. 이민자 자녀들이 학교에서 부당한 일을 겪는가 하면 심한 경우 길거리에서 폭행을 당하는 사건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인종차별, 특정 사람들을 혐오하는 사건들이 궁극적으로 차별적 문화를 용납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나 구체적인 정책 실행 등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일시적 분노로 그치는데 있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 6월, 호주 공영 ABC 방송dl 매년 다양한 분야에 대해 호주인의 의식이나 사고를 알아보는 ‘Australian Talks Survey’ 가운데 ‘인종혐오’ 부문에 대한 조사 결과 1만 7천명의 응답자 가운데 76%가 ‘아직도 인종차별이 많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여러 연구 기관에서 나온 연구 자료들은 인종차별 피해자의 경우 불안감, 우울증, 잦은 결근, 퇴사 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호주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 또한 막대하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현재 호주사회에서 발생되는 인종혐오적 사건은 어느 정도이며 그 구체적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고, 또 이 같은 부당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고 어디에 알려야 할까.
현재 호주에는 각 주(State)마다 관련 기구가 있어 차별행위에 대처하고 있다. NSW 주의 경우에는 ‘Anti-Discrimination NSW’(ADNSW)라는 반차별기구가 이에 대한 업무를 맡고 있다. 
팬데믹 사태가 발생되면서 특히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 범죄 사례가 종종 보고되는 가운데 사회복지 서비스 단체인 ‘카스’(CASS)와 ADNSW가 한인 커뮤니티에서 제기되고 있는 인종차별적인 사례를 직접 듣고, 이런 행위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며 또 어디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주지시키고자 ‘인종 차별과 대응의 어려움’이라는 주제로 ‘포커스 그룹 토론회’를 마련한다.
‘CASS’는 “한인 커뮤니티에 ADNSW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부당한 사례를 당했을 때의 불만 제기 방법 등을 안내하고 ADNSW로 하여금 한인 동포들이 겪는 차별적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고자 한다”는 말로 이번 토론회의 취지를 설명했다.
아울러 CASS는 “실제 인종차별 피해를 당한 이들이 토론회에 직접 나와 사례를 공유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이번 토론회는 온라인 플랫폼(‘Zoom’)에서 진행되며 구체적인 일정은 다음과 같다.

 

■ 인종차별 포커스 그룹 토론회
-일시 : 10월 26일(화) 오전 10시~12시
-장소 : ‘Zoom’ 플랫폼(https://us02web.zoom.us/j/87295705585?pwd=YVJIbWUxcXdzZUFPSGttNjNjN3RXdz09)
-온라인 플랫폼 ID / 872 9570 5585, 비밀번호 / 443055
-참여신청 : https://forms.gle/wdRffoZPpM89N15z7
-문의 : 9063 8808, 0429 019 378 (카스 라이드사회복지 서비스 센터)
-인종차별 사례 제보 : Sohyun_Jeon@cass.org.au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종혐오).JPG (File Size:51.3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4 호주 ‘한상대회’ 인적교류,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7.24.
253 호주 인문학자가 들려주는 ‘삶의 지혜’... 호주한국신문 14.07.24.
252 호주 ‘독도 알리기’ 5km 단축 마라톤 열린다 호주한국신문 14.07.24.
251 호주 SIFF, 제2회 영화제 앞두고 도심서 ‘Art Market’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24.
250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시장, 2주 연속 낙찰률 ‘순조’ 호주한국신문 14.07.24.
249 호주 호주국적 이슬람 전도사, 테러리스트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7.17.
248 호주 길거리서 인종차별 폭행, 두 캔버라 주민에 ‘유죄’ 호주한국신문 14.07.17.
247 호주 상습 무면허 운전 남성, 2153년까지 ‘운전 금지’ 호주한국신문 14.07.17.
246 호주 자유민주당 레이온젬 상원의원, 동성결혼 법안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17.
245 호주 NSW 스피드 카메라 단속, 1억5천만 달러 벌금 부과 호주한국신문 14.07.17.
244 호주 센트럴 코스트서 ‘위기의 남자’ 구한 영화 같은 장면 호주한국신문 14.07.17.
243 호주 호주 수영(자유형) 간판 이먼 설리번, 은퇴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17.
242 호주 호주 수영계의 전설 이안 소프, “나는 동성애자” 호주한국신문 14.07.17.
241 호주 육아 전문가들, ‘부모환경 따른 육아 보조금 제한’ 비난 호주한국신문 14.07.17.
240 호주 주택 소유 또는 임대, 어느 쪽이 더 경제적일까 호주한국신문 14.07.17.
239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238 호주 한인회, ‘문화예술 전당 및 정원’ 건추위 구성 호주한국신문 14.07.17.
237 호주 호주-한국 대학 공동 ‘현대 한호 판화전’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7.17.
236 호주 이스트우드 추석 축제, 오는 9월6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7.17.
235 호주 김봉현 대사, 호주 정계 인사 면담 호주한국신문 1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