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재외선거).JPG

제20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재외선거가 지난 2월 23일(수) 오전 8시부터 시작됐다. 이날 시드니 오전 8시40분경, 시드니투표소를 찾은 홍상우 총영사 내외가 투표용지에 기표한 뒤 이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사진).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2월 28일까지 6일간... 호주 등록인, 시드니-브리즈번 6,049명 등 총 8,039명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선출하는 재외선거가 지난 2월 23일(수) 시작됐다. 재외선거인으로 등록한 이들의 투표는 이날부터 2월 28일(월)일까지 6일간 진행된다.

올해 재외선거의 호주 등록인은 총 8,039명으로 집계됐다. 시드니를 비롯해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에서는 선거권자 57,769명(재외국민 총 72,212명) 가운데 6,049명이 등록했으며 멜번(Melbourne, Victoria) 1,369명, 캔버라(Canberra, ACT) 621명이 투표권을 갖는다.

브리즈번을 포함하는 시드니 재외선거사무소(Level 10, 44 Market Street, Sydney. 총영사관)에서는 이날 오전 8시부터 투표가 시작돼, 세인트 아이비스(St Ives)에 거주하는 75세의 동포가 가장 일찍 총영사관 재외투표소를 방문, 유권자 권리를 행사했다. 또 홍상우 총영사 내외도 이날 오전 8시40분경 투표소를 찾아 자원봉사로 참여한 선거진행 요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투표를 마쳤다.

시드니 선거사무소는 올해 선거에서 총영사관 재외투표소와 함께 브리즈번(1406 Beenleigh Road, Kuraby QLD. 퀸즐랜드 한인회관) 및 시드니 한인동포 다수 거주지역인 스트라스필드(32 Parnell Street, Strathfield, NSW. 라트비안 하우스) 등 3곳에 투표소를 마련했다. 이중 스트라스필드 투표소는 2월 25일(금)부터 27일(일)까지 3일간 운영된다.

지난 2020년 21대 국선에 이어 팬데믹 기간 중 치러지는 이번 재외선거를 위해 시드니 선거사무소는 모든 선거진행 요원들을 대상으로 RAT 검사를 실시하며 COVID-Safe를 위해 입구에 마련된 발열 체크는 물론 마스크 착용, 일정 거리(1.5m)를 유지하고 있다. 또 투표장을 찾은 선거인 중 발열이 있는 이들을 위해 투표소 외부에 임시기표소를 마련했다.

시드니 투표소의 신우석 재외선거관은 “5년 전 19대 대선 당시 시드니(브리즈번 포함) 선거인 등록자는 8,781명으로, 올해에는 약 2천 명 정도가 적으나 팬데믹 사태로 많은 유학생 및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들이 귀국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등록자 비율은 더 높은 편”이라며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등록자 모두가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 선거관은 “기본적인 COVID 안전조치를 준비했으므로 걱정 없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면서 “투표 참여를 통해 모국 사랑의 마음을 직접 보여주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1월 8일 재외선거인 등록 마감 후 중앙선관위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번 20대 대선에서의 전 세계 재외선거 등록인은 총 231,247명(국외부재자가 199,089명, 재외선거인이 8,848명, 영구명부 등재자 23,310명)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재외선거).JPG (File Size:88.3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4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193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19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1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0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189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188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18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186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5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184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3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181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180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179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178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17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176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175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