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선 복기

 

20대 한국 대통령 선거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선거 기간 내내 양대 후보에 대한 메가톤급 추문이 쏟아져 풍파 없는 날이 없었다. 치열한 대권 쟁탈전은 지난 5년간 농축된 갈등과 모순이 분출하는 장이기도 했다. 혼돈과 당혹이 교차한 몇몇 이슈와 함의를 살펴보자

 

정권교체 대 연장 구도?

선거의 판세는 인물과 이슈보다 구도가 결정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번 대선을 관통하는 주된 구도는 정권교체 대 정권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야당 후보는 50%를 넘나드는 정권교체 여론을 그대로 담아내면 필승이 보장되는 구도였다. 여당 후보 역시 40% 초반을 유지하는 현직 대통령의 지지율을 기본 밑천으로 삼을 수 있었다면 유리한 선거였다. 하지만 양 후보 모두 ‘부실한’ 인물 탓에 구도의 잇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이때문에 선거전의 양상이 구도보다는 ‘역대급 비호감 인물 선거’로 전개된 듯 하다.

 

‘대장동’ 수렁에 빠진 국가권력

이번 대선의 최대 쟁점인 대장동 의혹은 인허가 권력과 토지투기세력의 단순한 결탁 수준이 아니다. 1조원에 육박하는 부당수익의 규모는 물론 지자체, 사법부, 검찰, 국회, 정부, 야당, 언론계, 금융권 등에 대한 전방위 비리 정황은 국기(國基)를 무너뜨릴 정도이다. 행정, 입법, 사법 삼권의 견제와 균형이 돈과 권력에 미친 군상들의 농단으로 휴지 조각이 됐다.

 

무속의 힘

21세기 정보통신 시대에 무속은 미신 취급을 받고 있으나 최고 권력을 탐하는 무리들의 시각은 남달랐다. 왕(王)자 논란에서부터 무속인, 역술인, 주술가들이 나서서 저주 의식과 대형 굿판까지 당선이라는 복(福)을 위해서라면 못할 것이 없다는 식이다. 모든 종교 현상에서 능력은 신자의 굳센 믿음을 매개로 발현한다. 무속에 대한 권력집단의 믿음을 통해 미신이 판치는 대한민국 정치판의 민낯이 드러났다.

 

‘슬기로운’ 거머리 공직 생활

여당 후보 부인의 불법 의전과 공금 횡령은 지나치게 '슬기로운' 공직자 생계활동이라 할 만하다. 그는 사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공적 자원을 통해 해결해온 알뜰살뜰함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비리를 깔끔히 척결하지 못한다면 온 나라가 국고에다 빨대를 꽂고 뽑아먹는 거머리 공직자들로 들끓게 될 것이다.

 

단일화

선거 막판에 야권과 여권은 각각 크고 작은 단일화를 이루었다. 어김없이 자신들은 가치의 연합이고 상대는 권력의 야합이라는 ‘내로남불’ 비난이 무성했다. 선기 기간 중 단일화는 연합이든 야합이든 아무런 의미가 없다. 오직 승리한 쪽의 단일화만이 정당성을 획득하고 계속 유효성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여당 후보의 정치개혁과 국민통합 정부

선거 막판에 여당 후보는 정치개혁과 국민통합정부를 외쳤으나 만시지탄이었다. 어쩌면 유일하게 정권교체론 구도를 깰 수 있는 카드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 정권 지지율 40%를 과감히 포기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결단이 일찌감치 필요했다. 그렇기에 ‘개혁과 통합’에 대한 열망보다는 대선 패배에 대한 절박함에 마구 던지는 꼼수로 비춰졌다.

 

다시 구도로

초박빙으로 나온 출구조사와 개표 결과를 볼 때 대선 투표일에 임박해 양대 진영의 지지자들이 총결집한 것으로 보인다. 보수와 진보 진영이 똘똘 뭉쳐 퇴로가 없는 건곤일척의 승부를 벌인 것이다. 어쨌거나 근소한 차이로 윤석열 후보가 앞선 것은 정권교체 여론이 조금이라도 우세함을 나타낸다. 이번 20대 대선은 지루한 비호감 인물 전쟁 끝에 결국 원래 구도로 돌아가 최종 결론이 내려진 것 같다.

 

종합(정동철).jpg

정동철 / 변호사

  • |
  1. 종합(정동철).jpg (File Size:57.2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4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193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19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1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0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189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188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18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186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5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184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3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181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180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179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178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17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176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175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