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임영웅 1).jpg

시드니 동포들로 구성된 트로트 가수 임영웅씨 팬클럽 ‘영웅시대 in Sydney’ 회원들(사진)이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들을 응원하는 성금을 전달, 근래 한국에서 확산되는 팬덤 문화를 보여주었다. 사진 : 영웅시대 in Sydney 제공

 

가수 임영웅씨 팬클럽 ‘영웅시대 in Sydney’, 호주 UNHCR 통해 회원들 성금 전달

 

러시아의 침공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들의 안타까운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러시아 군의 무분별한 민간인 시설 폭격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되고 있어 전 세계인의 분노를 사고 있다.

지난 2월 24일 오후 1시50분(호주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군사적전이 개시, 한 달째 이어지는 가운데 피해국민들의 안타까운 소식을 외면하지 않은 시드니 동포들이 있다. 한국의 트로트 가수 임영웅씨의 시드니 팬클럽인 ‘영웅시대 in Sydney’ 회원들로, 이들은 각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기부한 성금 1,616달러를 지난 3일, 호주 UNHCR(유엔난민기구)을 통해 전달했다.

이들은 임영웅씨의 공식 팬카페인 ‘영웅시대’를 모토로 시드니에 거주하는 동포 팬들로 구성된 작은 응원 모임이다. 약 25명의 회원들로 구성된 이 클럽은 한 달에 한 번 모임을 갖고 음악을 통해 회원간 친목과 서로의 어려움을 나누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이 클럽의 회원 A씨는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을 위한 모금에 대해 “늘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돕는 임영웅씨의 따뜻하고 선한 마음에 감동받아 성금 모으기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종합(임영웅 2).jpeg

‘영웅시대 in Sydney’ 회원들이 호주 UNHCR을 통해 전달한 성금 내역. 사진 : 영웅시대 in Sydney 제공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눈길을 돌린 것에 큰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 모국 또한 일제 침략에 이어 한국전쟁을 겪었고, 당시의 참상을 오늘까지 기억하기에 조국을 지키고자 고군분투하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심정이 남의 일 같지 않았다는 것. 그래서 “지금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조국을 지켜내 평화가 정착되기를 기원하는 회원들의 정성을 담았다”는 게 A씨의 설명이다.

K-pop의 확산과 함께 각국 재외동포 커뮤니티에서도 ‘팬덤’(좋아하는 연예인을 위해 모인 팬들의 모임)이 늘어나고 있고, 이들이 만들어가는 팬덤 문화가 형성되면서 ‘팬덤 기부’가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영웅시대 in Sydney’ 또한 자연스럽게 이 같은 활동에 동참하게 된 것이라는 A씨는 “우리 모임의 다양한 연령층 가운데 특히 60대 이상 계층에서 COVID 팬데믹의 힘겨운 시간 동안 임영웅씨의 노래를 통해 힘을 얻고 활력을 찾았다”면서 가수 임씨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임영웅 1).jpg (File Size:111.1KB/Download:19)
  2. 종합(임영웅 2).jpeg (File Size:45.4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4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193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19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1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190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189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188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18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186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5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184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3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1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181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180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179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178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17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176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175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