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 사승 폭).jpg

부동산 활황 동안 부동산 가격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지역과 가장 적게 상승한 지역.


비크로프트, 이스트우드, 채스우드 등 30%의 경이적인 상승 기록



많은 부동산 전문가들이 지난 10년 동안의 가장 큰 부동산 호황의 끝이 보인다고 예상하고 있지만 시드니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크게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호주 부동산 모니터(Australian Property Moniters, APM)는 부동산 가격 상승 폭이 가장 높은 지역과 가장 낮은 지역의 새로운 데이터를 발표, 눈길을 끌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 상승 폭이 가장 높은 지역은 약 3분 1가량 가격인상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가격 상승을 보인 곳은 시드니 북서부 지역으로 좋은 학교 가까이에 살기 위해 구매자들이 많은 돈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APM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비크로프트(Beecroft), 이스트우드(Eastwood), 채스우드(Chatswood) 및 에핑(Epping) 지역은 약 30%의 경이적인 성장을 보였다. 이들 지역은 또한 경매 입찰자들의 입찰개시 가격이 100만 달러가 넘는, 가장 인기 있는 경매 시장 중 하나이기도 했다.


지난 33년 동안 비크로프트에서 부동산을 판매하고 있는 벨 프로퍼티(Belle Property)사의 데이비드 멜드럼(David Meldrum)씨는 “지난 18개월 동안 이 지역 부동산 시장은 정말 놀라웠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이 지역의 최저 가격은 95만 달러에서 100만 달러 정도지만 18개월 전에는 75만 달러 선에서도 부동산 구입이 가능했다”고 전했다.


이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지난 1년 간 35.3%가 상승했으며 중간 주택가격은 126만5천 달러이다.


또한 멜드럼씨는 이 지역이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을 필두로 한 아시아 구매자들에게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비크로프트는 또한 인기가 많은 공립학교나 비크로프트 초등학교(Beecroft Primary School)와도 매우 인접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스트우드 지역은 지난해 9월 큰 폭의 상승세를 보여 작은 벽돌 방갈로가 100만 달러 이상에 판매되었다. 라차드슨 에비뉴(Richards Avenue)에 위치한 3침실의 리노베이션 되지 않은 주택은 238만 5천 달러에 낙찰되기도 했다.


맥그레이스 에핑(McGrath Epping)의 웨인 보간(Wayne Vaughan) 판매 에이전트는 “리차드슨 에비뉴로 인해 이 지역 가격이 다시 매겨졌다”고 설명한다.


최근 보간 에이전트는 침실이 4개인 벽돌집을 171만5천 달러에 판매했으며 이 가격은 경매 개시가격보다 33만 달러가 높은 금액이었다.


그는 “이 지역의 수요는 중국인, 한국인, 호주인들이 혼재되어 있다”고 전하며 “이 곳은 훌륭한 초등학교들이 있으며 킹스(Kings)와 제임스 루즈 하이스쿨(James Ruse High School)의 버스 노선이 있다”고 전했다. 에핑 부동산 가격 상승 또한 이스트우드의 상승 요인과 비슷하다.


시티와 가까우며 폭 넓은 구매자들을 가지고 있는 서리 힐(Surry Hill) 지역이 가장 많은 가격 상승 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브레식위트니(BresicWhitney)사의 윌리엄 필립(William Phillips)씨는 “이곳은 다양한 구매자들이 있는 지역”이라고 전하며 “이성애자, 동성애자, 고령자, 집을 줄여 시티 근처에 살고 싶어 하는 사람, 젊은이들, 커플, 싱글, 투자자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이 서리힐-레드펀(Redfern) 지역의 부동산 구입을 원한다”고 전했다.


필립씨는 최근 보크 스트리트(Bourke Street)에 주차장 시설이 없는 침실 하나짜리 리노베이션이 되지 않은 주택을 102만7천 달러에 판매했으며, 이 가격은 경매 개시가격보다 12만7천 달러 높은 가격이었다.


하지만 모든 지역이 부동산 활황에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다. APM의 수석 경제학자인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헌터스 힐(Hunters Hill)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은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전한다.


그는 “많은 최고급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동산 가격 상승을 따라 잡고 있으며 헌터스 힐이 그 전형적인 예”라며 “헌터스 힐, 시포스(Seaforth), 벨라뷰 힐(Bellevue Hill) 등과 같은 최고급 주택 시장은 세계 금융 위기 이전에 가장 강한 성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4 호주 <택시운전사>에서 최근 흥행작 <지금 만나러 갑니다>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3 호주 총영사관, ‘한반도 안보’ 관련 전문가 토론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2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운동 현장 답사팀 환송 모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Korean Art Exhibition’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0 호주 “모든 생명체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협동의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9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8 호주 “한인 커뮤니티에 자체 금융기관 필요성 인식 준 것, 가장 보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7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6 호주 광복 장학회, 12일 간담회 및 장학생 환송 모임 가져 톱뉴스 18.07.24.
845 호주 한반도 안보 정세 변화 토론회 및 강연회 내달 개최 톱뉴스 18.07.24.
844 호주 올해 ‘청소년 민족캠프’, 10월11-13일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3 호주 한국전 참전단체-공관, ‘정전 65주년’ 기념식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2 호주 문화원, 한국 공예의 정수 보여주는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1 호주 호주 건설 분야 일자리, 영주비자 연결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0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2)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39 호주 나라사랑 민족캠프! 21세기 독립운동! 톱뉴스 18.07.26.
838 호주 호주 건설기술공 취업환경 설명회 개최 톱뉴스 18.07.26.
837 호주 [포토뉴스] 이백순 주호주한국대사, 한반도 정세 강연 톱뉴스 18.07.26.
836 호주 ‘고약한 민족주의’와 결탁하는 축구.... 신간 '축구와 내셔널리즘' 톱뉴스 18.07.26.
835 호주 서부 호주(WA) 체류 ‘워홀러’ 대상, 정보 세미나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