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0610 경매).jpg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은 73.3%로 올해 부활절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치이지만 과거 퀸스 버스데이(Queen’s Birthday)가 있었던 연휴 기간 중의 낙찰률로는 최고를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주 가장 높은 결과를 기록한 레이카트(Leichhardt), 말보로 스트리트(Marlborough Street)에 위치한 주택.

 

5월 부동산 경매 시장, 전례 없는 높은 결과 이어가

 


시드니의 뜨거운 부동산 경매 시장은 퀸즈 버스데이(Queen’s Birthday) 공휴일이 있었던 연휴에도 불구하고 열기가 식지 않았다.

 

지난 주(7일) 부동산 경매 낙찰률은 73.3%로 올해 부활절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치이지만 과거 퀸스 버스데이가 있었던 연휴 기간 중의 낙찰률로는 최고를 기록했다.

 

396개의 매물이 경매에 붙여지면서 작년 같은 기간의 245개의 매물보다 많은 수치였다. 낙찰률 역시 작년 같은 기간에는 69.7%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낙찰률을 기록한 지역은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 지역으로 낙찰률 92.9%를 기록했다.

 

높은 결과를 기록한 경매로는 시포스(Seaforth) 커크우드 스트리트(Kirkwood Street)의 4 침실 주택이 150만 1천 달러에 판매 되었고 발골라(Balgowlah), 발골라 로드(Balgowlah Road)의 3침실 주택은 147만 달러에 낙찰됐다. 노스 컬 컬(North Curl Curl), 패어포트 스트리트(Fairport Street)의 4침실 주택은 127만 5천 달러, 프레쉬워터(Freshwater) 솔져 에비뉴(Soldiers Avenue)의 2침실 주택은 124만 1천 달러에 판매되기도 했다.

 

지난 주말 시드니 다른 지역의 낙찰률은 시티를 비롯해 이스트 지역이 82.4%를 기록했으며 캔터버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지역 81.8%, 사우스 지역 75%, 로어 노스 쇼어(lower north shore) 지역은 73.9%를 기록했다.

 

지난 주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부동산은 라이카트(Leichhardt), 말보로 스트리트(Marlborough Street)에 위치한 4침실 주택으로 305만 달러에 낙찰됐다.

 

가장 저렴한 부동산은 산 레모(San Remo), 카탈리나 로드(Catalina Road)에 위치한 3침실 주택으로 29만 달러에 판매됐다.

 

시드니 부동산 경매시장은 기록적인 가을 시장 이후, 연휴에도 불구하고 높은 낙찰률을 보이며 겨울 시장으로 들어갔다.

 

5월 부동산 경매 시장은 올해 3월과 작년 11월 다음으로 많은 매물이 거래됐다. 한 달 동안 2천740개의 부동산이 경매를 통해 판매되었으며 총 가치는 27억 달러, 중간 판매가격은 90만 달러였다.

 

시티와 이스트 지역에서 5월 한 달 동안 가장 많은 매물인 508개의 부동산이 경매를 통해 판매됐으며 뒤를 이어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에서는 451개의 부동산이 판매됐다.

로어 노스 쇼어 지역은 가장 높은 중간 주택 판매 가격인 123만 3천 달러를 기록했고 뒤를 이어 노던 비치 지역이 121만 5500 달러를 기록했다.

 

시드니의 전례 없는 5월 경매 기록에 따라 겨울 경매 시장의 매물과 판매를 예상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연휴 이후 본격적으로 경매가 다시 시작되어 600개 이상의 매물들이 경매에 붙여진다.

 

부동산 시장은 낮은 금리와 호주 중앙은행(the Reserve Bank)의 금리가 6월 동안 동결 되면서 계속적으로 열기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주 발표된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의 경제 성장률 데이터에 따르면 NSW 주의 3월 분기 경제 성장률은 국가 최고인 2.4%, 한 해 동안에는 4.7% 증가를 기록, 지역 경제의 놀라운 성장률 또한 부동산 활황을 선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14 호주 크로이돈 파크 한인회관 ‘재계약’, 아직 불투명... 회관 확보,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2713 호주 한인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올해 ‘대면’ 진행으로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271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20 호주한국신문 22.07.14.
271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3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2710 호주 한인 청년 중심의 대학생 단체 ‘에코’, RBA와 손잡고 교육 전도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270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9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8 호주 시드니 ‘빵집’ 가족을 통해 본 우리네 일상의 또 다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7 호주 한인 요식업체들, ‘한식 알리기’에서 이제는 ‘음식 한류 확산’ 활동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6 호주 올해 ‘호주 패션위크’서 선보인 패션 디자이너 김수군씨 작품, 화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5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한국전 참전 ‘호주 UDT 대원 소개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굿푸드앤와인쇼’에서 ‘한식 마스터클래스’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2702 호주 ‘디베이팅 세계 챔피언’ 서보현씨, 토론 관련 ‘Good Arguments’ 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2701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8 호주한국신문 22.06.16.
270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1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9 호주 이민지 선수, LPGA 시즌 두 번째 메이저 대회 ‘US여자오픈’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8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and Wine Show’서 ‘한식 마스터 클래스’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7 호주 ‘통일 골든벨’ 아태지역 결선 개최, 지역 예선 통과한 16개국 59명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7 호주한국신문 22.06.02.
2695 호주 호주 한인동포 청소년들, 모국 역사-통일 관련 폭넓은 상식 과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