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호주지회, 일본 집단자위권 추진 규탄 성명

 


광복회 호주지회(지회장 황명하. 이하 ‘광복회’)가 금주 수요일(25일) 일본의 집단 자위권 추진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광복회는 성명을 통해 “일본이 패전 이후 국제사회를 향해 영구한 부전(不戰)과 군대 비무장을 약속한 ‘평화헌법’의 입법취지를 무시하고, 해당 헌법상의 집단자위권 행사를 재해석하여 전쟁 수행을 정당화하려는 아베 정부의 ‘무모한 도전’을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광복회는 이어 “지난날 반인류적인 전쟁을 야기하여 아시아인들의 인권을 유린했던 일본이 UN 등 국제사회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식민 지배에 대한 통렬한 자성을 유보한 채, ‘전후체제 탈피, 보통국가 만들기’라는 그럴듯한 구실로 자행하고 있는 집단 자위권 추진 등 일본 정부의 모든 극우적 행보에 우려스러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여성 인권존중에 대한 중대한 도전행위로 국제적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면서 1993년 선언 이후 일본인의 양심으로 국제사회에 인식된 ‘고노담화’에 대한 재검증과 의도적인 폄훼를 시도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의 ‘거꾸로 가는 역사인식’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광복회는 특히 과거 아시아 국가들에 끼친 선대의 죄악을 사과하기는커녕,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아베 총리와 극우 정치인들에게 ‘평화헌법’의 입법 취지와 ‘고노담화’의 진정성을 더 이상 유린하지 말 것과 자국민에게 더 이상 왜곡된 역사를 가르치지 말고, 상처 입은 대한민국 국민과 정부에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4 호주 대양주-NZ 한인회총연합회, 통가 거주 동포에 구호물품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93 호주 NSW 주 HSC 시험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92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 등서 20대 대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9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90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89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8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187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86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8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84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83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182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181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80 호주 “잊지 않습니다, 우리 영웅들의 평화 염원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79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6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78 호주 전문가가 보는 정부 이민정책- ‘단기직종’의 천형 풀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77 호주 NSW 주 일대의 극심한 홍수... 한인동포 피해 농장주들, 망연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76 호주 이번에는 ‘K-뷰티’다... 한국문화원, 한국의 뷰티 제품 알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75 호주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한국영화’로 호주 각 도시 순회 상영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