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영화제 1).png

1934년 제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무성영화)로 알려진 <청춘의 십자로>가 무대공연 등을 삽입한 종합 예술로 재구성, 올해 호주 한국영화제 특별 상영으로 선보인다. 사진은 본래 영화의 한 장면.

 

‘제7회 호주 한국영화제’서 <청춘의 십자로> 무대 공연

 

한국영화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영화로 알려진 <청춘의 십자로>가 무대공연 삽입 등으로 재탄생되어 시드니서 선보인다.

한국문화원(원장 안신영)은 오는 8월10일부터 시작되는 제7회 호주한국영화제(이하 영화제) 특별상영작으로 <청춘의 십자로>를 선정, 한국에서 재구성된 이 작품을 시드니 및 캔버라서 일반에 공개한다.

이 작품은 1934년 안종화 감독이 제작하고 당대 스타들이 총 출동한 흥행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해방 이후 73년 동안 잊혀졌던 이 무성영화는 단성사 극장 창고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2007년 한국영상자료원(원장 류재림)과 영화 <가족의 탄생>, <만추> 등을 연출한 김태용 감독이 내용을 새롭게 각색, 종합 라이브 공연으로 재탄생시켰다.

이후 이 작품은 독일, 영국, 미국, 일본 및 멕시코 등 전 세계 국제영화제 및 페스티발에서 50회가 넘는 공연으로 관객들의 찬사를 받은 바 있다.

 

▲ 1934년 제작, 흥행 이후 사라져= <청춘의 십자로>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라는 화려한 수식어가 따르지만 오랜 망각의 시간을 가로지르는 이 오래된 영화의 귀환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갑작스럽게 찾아왔다. 해방 이후 극장 ‘단성사’를 운영하던 관계자의 유가족이 ‘단성사’ 폐관 전 창고를 정리하던 중 정체불명의 네거필름 9개의 롤을 발견한 것이다.

한국영상자료원이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첨단 기술로 복원해 낸 이 원본 필름은 문헌상으로만 존재가 알려졌던, 1934년에 제작된 안종화 감독의 <청춘의 십자로>였다. 그 동안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영화였던 <미몽>(1936)보다 한국영화의 기원을 2년 앞당긴 <청춘의 십자로>는 한국 영화사를 탐구하는데 귀중한 사료이다.

73년 만에 우연히 발견되어 복원을 거친 <청춘의 십자로>는 2012년 등록문화재 제455호로 지정되면서 그 소장 가치를 인정받았다.

 

▲ 화면 속 배우의 입모양 보며 대사 재구성= 김태용 감독은 무성영화 <청춘의 십자로> 오리지널 필름의 복원 소식을 듣고 당시 신문기사를 참고해 1930~40년대 무성영화 상영 모습을 재연하기로 했다. 안종화 감독의 줄거리 설명 외에 남아있는 자료가 전혀 없던 상황이었지만 변사 해설과 라이브 밴드(피아노, 아코디언, 바이올린, 콘트라베이스) 연주, 배우의 무대 공연을 접목시켜 현대적 종합 라이브 공연으로 구상한 것이다.

김태용 감독은 변사 역할을 할 배우 조희봉과 함께 화면 속 배우들의 입모양을 보고 퍼즐을 맞춰가며 대사를 만들어갔고, 결국 변사의 맛깔 나는 대사를 통해 소리가 없던 무성영화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특히 암전된 무대 위, 스탠드가 놓인 책상에 앉아 목소리 하나로 관객의 심금을 울리고 배꼽을 훔치는 만능 재주꾼 변사는 무대 위의 마술사 같은 존재이자 흥행의 열쇠. 변사가 전체 스토리와 주인공들의 희로애락을 이끌어 간다면, 악단은 마치 효과음처럼 배우들의 감정선을 증폭시킨다. 또한 간간이 선보이는 남녀 두 주인공들의 뮤지컬 같은 라이브 공연은 무대를 입체적으로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한편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안신영)이 주최하고 삼성 호주법인이 후원하는 제7회 호주영화제에서는 <청춘의 십자로>를 비롯하여 총 20편의 한국영화가 소개된다. 올해 한국영화제는 8월10일 시드니(8월 10일-18일) 개막을 시작으로 브리스번(8월23일-29일), 멜번(9월1일-8일), 캔버라(9월3일-4일), 애들레이드(9월15일-18일), 그리고 퍼스(9월22일-25일)까지 총 34일간의 이어진다.

 

■ <청춘의 십자로> 공연 일정

-시드니: 2016년 8월11일(목), Event Cinema, Sydney(George Street), 오후 7시. 전석 $20

-예매처 : www.eventcinema.com.au / www.koffia.com.au

-공연 및 한국영화제 문의 : (02) 8267 3400 / E. info@koreanculture.org.au / www.koffia.com.au

종합(영화제 2).jpg

올해 개최되는 호주 한국영화제 포스터.

 

 

  • |
  1. 종합(영화제 1).png (File Size:152.2KB/Download:60)
  2. 종합(영화제 2).jpg (File Size:55.6KB/Download:5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74 호주 일본군 성노예 고발 만화전 1차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4.
» 호주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현존), 시드니서 재탄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1472 호주 NSW 주니어 탁구 오수빈 선수, 전국대회 은메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1471 호주 총영사관, 해외여행 안전 유의 당부 호주한국신문 16.07.21.
1470 호주 ‘오리지널 경성’ 만나는 한국영화제 특별작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1469 호주 “획기적 활동 변화보다는 기존 사업에 충실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1468 호주 한국문화원, 올해에는 ‘김치 알리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1467 호주 지방 소도시서 한국 여성 폭력 피해 연이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1466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퀸즐랜드 순회영사 계획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5 호주 2016년 한국어 능력시험, 8월8일 접수 마감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4 호주 동포단체 주관의 경로잔치, 다시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3 호주 ‘차세대 한국 전문가’ 대상의 행사 펼쳐진다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2 호주 “1930년대 조선으로의 즐거운 시간 여행이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1 호주 죽은 자는 없는데, 죽은 자는 존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60 호주 ‘한국 문화가 있는 날’, 시드니서 첫 행사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59 호주 ‘평화의 소녀상’, 내일(6일, 토) 한인회관에 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58 호주 제7회 호주한국영화제... 역대 최고의 라인업!!!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1457 호주 공주교대 부설 초등학생들, 호주 문화체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1456 호주 버우드 걸스 미아 쿠마 교장, 대통령 표창장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1455 호주 김치, ‘Good Food Show’서 관람객 발길 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