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파트 과잉 공급).jpg

BIS 샤프넬 사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시드니의 아파트 공급은 수요를 넘어서며 가격 하락 및 임대료 하락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BIS 샤프넬 분석... 2018년까지 5% 가격 하락 전망

 


이너 시드니(inner Sydney)의 빌딩 붐으로 아파트 시장은 2017년 정점을 찍을 것이며 유닛의 경우 ‘공급 과잉’이 될 것이라는 새로운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이 보고서의 저자이자 BIS 샤프넬(BIS Shrapnel)사의 앤지 지고마니스(Angie Zigomanis) 수석 매니저는 “시티 인근의 새 아파트와 오래된 아파트의 가치는 정점을 찍은 후 2년 동안인 2018년까지 5%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오래된 아파트 소유자들은 더 큰 폭의 하락세를 경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BIS 샤프넬 사가 내놓은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이너 시드니의 아파트’(Inner Sydney Apartments 2014 to 2021)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이너 시드니에서는 5천800개의 아파트가 건설 중에 있으며 향후 3년 내로 개발자들은 지역 및 외국 투자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1만1500가구의 새 아파트를 제공할 것으로 추청하고 있다.

 

지고마니스 수석 매니저는 “시드니에서 주택 공급은 10년 동안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지만 곧 공급이 수요를 따라 잡게 될 것”이라고 언급한 뒤 “시드니의 인구 증가는 여전히 꽤 높으며 임대 수요 역시 매우 높게 유지될 것이지만 현재 아파트가 너무 많이 건설되고 있어 이러한 현상이 오랫동안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현상이 단기적으로 발생할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지만 향후 몇 년 동안의 새로운 개발 물결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며 “아파트 시장 공급이 과잉 단계에 들어서면 임대 시장 역시 안정되거나 하락하기 시작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고마니스 수석 매니저는 또 “이러한 현상은 시티나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지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할 것이며 다수의 아파트가 건설되고 있는 시드니 남부 지역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시드니 남부에서 진행되는 가장 큰 개발단지는 ‘그린스퀘어 타운센터’(Green Square Town Centre)로, 이곳에는 2030년까지 4만 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의 건축 붐은 낮은 공실률과 낮은 이자율, 추가 가격 상승의 기대에 힘입어 지역 투자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은 중국과 싱가포르 부동산 시장을 냉각하기 위한 조치로 호주에 추가 투자를 장려하고 있기도 하다.

새 아파트에 대한 과잉 공급 소식은 임대료 성장이 둔화될 수 있어 세입자들에게는 좋은 소식이다.

 

지고마니스 수석 매니저는 “새로 건설되는 아파트의 집주인은 이미 오래된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주들보다 세입자들을 유치하는 데 있어 보다 경쟁력이 있지만 오래된 아파트의 소유자들은 임대료를 내려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2021년까지 연간 3%의 하락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힘든 시기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34 호주 외교부, “호주 입국금지 조치 사전 협의 없었다”…호주 대사초치 입국금지 항의 호주브레이크.. 20.03.05.
2533 호주 코로나19사태 축구계 강타, ACL(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 불투명 톱뉴스 20.03.05.
2532 호주 NSW 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본격 단속 중 톱뉴스 20.03.05.
2531 호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호주 방문...강연회 및 간담회 개최 톱뉴스 20.03.05.
2530 호주 ‘대구-경북 돕기’ 모금 벌이는 시드니 한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9 호주 약사의 독감 예방접종 허용 나이 16세에서 10세로 낮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8 호주 NSW 정부... “온라인 DA 신청 제도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7 호주 호주, 결국 “한국 여행 금지” 국가에 추가! 교민들 “당황스럽다” 반응 호주브레이크.. 20.03.05.
2526 호주 85년 역사지닌 호주 AP통신 폐간 ”한국 언론사에 미칠 파장“ 호주브레이크.. 20.03.05.
2525 호주 호주 시드니, 한인 상가 "임대료 인하 절실!" 코로나19로 상권 반토막… 호주브레이크.. 20.03.04.
2524 호주 “알아서 자가 격리 하라”는 호주 보건부... ‘묵묵부답’ 대한항공 시드니 지점 호주브레이크.. 20.03.04.
2523 호주 호주 시드니서 ‘한국 다녀온 60대 여성’ 확진 판정! 4명 추가 확진, ‘확진자’ 총 35명… 호주브레이크.. 20.03.03.
2522 호주 호주, 대형마트 ‘사재기 극성’…“라면휴지 등 생필품 구하기 어렵다” 호주브레이크.. 20.03.03.
2521 호주 <속보>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간 전염 첫 사례 발생! “해당지역 교민들 주의 당부” 호주브레이크.. 20.03.02.
2520 호주 “마스크 쓰고 있으려면 집밖으로 나오지마”…호주서 바이러스로 인한 인종차별 호주브레이크.. 20.02.28.
2519 호주 호주 총리 발표에 교민불안 가중! "영사관 등 실시간 입출국 정보 공유 해야"... 호주브레이크.. 20.02.27.
2518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7 호주 “간접흡연에 안전한 레벨은 없다”... 식당도 손님도 벌금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6 호주 주차 도우미 앱 ‘PARK'NPAY’를 아시나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5 호주 CASS, 코로나 바이러스 무료강연 호주한국신문 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