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커크코넬 교도소).jpg

지난 2011년 폐쇄가 결정됐던 커크코넬 교도소(Kirkconnell Correctional Centre). NSW 정부는 범죄자 급증으로 교정시설이 부족해지자 일부 폐쇄했던 교도소를 재개방하기로 했다.


재소자 급증으로... 노동당, 정부 ‘교정 정책’ 비난

 


NSW 주 정부가 지난 2011년 폐쇄했던 교도소를 재개방키로 했다.

 

이는 근래 재소자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주 수상은 “급증하는 재소자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1년 폐쇄했던 교도소를 다시 개방키로 했으며, 이 작업에 400만 달러의 예산 투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야당인 노동당은 “매우 당혹스럽다”며 주 정부의 가벼운 결정을 강하게 비난했다.

금주 화요일(17일) 브래드 하자드(Brad Hazzard) NSW 법부장관에 따르면 정부는 시드니 남서부 배서스트(Bathurst) 인근에 있는 커크코넬 교도소(Kirkconnell Correctional Centre)를 다시 운영한다. 이 시설은 260명의 재소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안전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 정부는 지난 2011년, NSW 주 유죄 판결을 받은 죄수의 수치가 1만 명 이하로 떨어지자 파라마타(Parramatta)와 시드니 남부 베리마(Berrima) 교도소를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었다. 아울러 그래프톤 감옥(Grafton jail)의 규모를 줄임으로서 정부는 연간 4천500만 달러의 예산절감을 가져왔다.

 

이런 가운데 하자드 법무장관은 근래의 법 변경과 강화된 치안유지로 범법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을 수용하는 교도소의 재소자 수용공간이 더 필요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NSW 각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재소자는 1만1200명에 달하고 있다. 이는 주 정부가 운영하는 교도소 수용 인원을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교도소 수용 전에 경찰서 유치장이나 법원 구치소에 구금한 채 대기시키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특히 지난 달 보석(bail) 관련 규정을 강화함으로써 올해 교도소에 수감된 재소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노동당 내각 사법부의 폴 린치(Paul Lynch) 의원은 “정부의 커크코넬 교도소 폐쇄 승인은 잘못된 결정”이라고 말했다. 린치 의원은 “교도소를 폐쇄하는 것뿐 아니라 재개방할 경우에도 비용이 발생한다”면서 “커크코넬 교도소의 사례는 정부의 무능한 계획을 증명하는 것이며 베어드 정부의 교정 정책이 비틀거리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4년 전 폐쇄했던 커크코넬 교도소를 재개방하는 데에는 보안장치 등 각 시설물 복구, 수감시설 및 면회실 정비 400만 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유경 인턴기자 youkyong13@hot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34 호주 올 겨울 시드니에서 만나는 한국 현대미술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33 호주 32대 시드니한인회 피터 김 부회장 당선자, 전격 ‘사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32 호주 법륜스님 즉문즉설 시드니 강연회 ‘행복한 대화’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31 호주 “항일 독립정신 외면하는 것은 반역...” 호주한국신문 19.06.20.
2230 호주 2019 NSW주/연방 선거 결과분석과 한인동포사회의 관계증진 세미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9 호주 문화원, 시드니 Good Food & Wine Show에 이색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8 호주 제10회 호주한국영화제... 8월 22일 시드니-캔버라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7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자문위원, 후보 추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226 호주 쿠리어 메일 “호주정부,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 계획 포기” 톱뉴스 19.06.18.
2225 호주 총영사관, 국적 및 가족관계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24 호주 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2019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223 호주 시드니향우회연합회, 재외선거 투표율 제고 운동 전개 톱뉴스 19.06.12.
2222 호주 평통 호주협, “동포자녀들의 풍부한 한반도 상식 확인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221 호주 2019 뉴카슬 한글배움터, ‘한국문화’ 체험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220 호주 '가상 한국여행'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219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주 순회영사 일정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218 호주 채스우드 고공 아파트 살인범 서모씨, 최장 22년 6개월 징역형 톱뉴스 19.06.05.
2217 호주 ‘한인건강엑스포’ 풍성하고 유익한 의료건강 정보 제공 톱뉴스 19.06.05.
2216 호주 제임스루스농고 김채민, 호주 평화통일골든벨 우승 톱뉴스 19.06.05.
2215 호주 2019 시드니 월드한식페스티벌 6월에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