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마초).jpg

국가 대마초 예방 및 정보센터(National Cannabis Prevention and Information Centre)의 최근 조사 결과 대마초 흡입자들의 70%가량이 약물의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운전을 했던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은 대마초 흡입 상태에서의 운전 실험을 담은 유튜브 영상의 한 장면.


NCPIC 조사... 자동차 충돌 위험, 300%까지 높아져

 


대마초를 흡입하는 이들 중 일부는 대마초를 흡입, 그 영향을 받은 상태에서 운전을 더 잘하게 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NSW 대학교에 자리한 ‘국가 대마초 예방 및 정보센터’(National Cannabis Prevention and Information Centre. NCPIC)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18세 이상 호주 성인 4천600명을 대상으로 대마초 사용 관련 문제를 조사한 결과로, NCPIC는 또한 대마초를 흡입한 이들의 70%가량이 마약의 영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 운전을 했음을 확인했다.

특히 이 가운데 16%는 대마초를 흡입한 상태에서 매일 5시간 정도 운전을 했다는 응답이었다.

 

NCPIC의 수석연구원인 피터 게이츠(Peter Gates) 박사는 “대마초 사용이 운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많은 사용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게이츠 박사는 “우리는 대마초 사용자들이 마약에 취한 상태에서 더 잘 운전하고 있음을 느끼거나 또는 정상속도로 달리면서 느리게 달리고 있음을 느낀다는, 신화같은 이야기를 듣고 있다”며 심각성을 나타냈다.

 

게이츠 박사는 “이미 확립된 과학적 증거와 상반되는 대마초 사용자들의 사고방식으로 인해 대마초 흡연 상태에서의 운전시 충돌 위험은 평소보다 300%까지 높아진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조사를 통해 대마초를 사용한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도로를 따라가는 능력과 상황에 따른 대처, 운전 집중력, 거리 감각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게이츠 박사는 “대마초 사용자들은 근래 들어 경찰이 무작위로 음주 운전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이제 이 같은 위험을 알리고 인지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4 호주 제 23회 세계한국어웅변호주대표 선발대회 성황리에 마쳐 톱뉴스 18.07.09.
1993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③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1992 호주 “국민적 합의 하에 ‘국민통일헌장’ 만들 필요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1991 호주 동포자녀 학생들, ‘Sydney Eisteddfod’ 콩쿠르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1990 호주 교양 강의 제공하는 대한문화학교, 회원 모집 호주한국신문 18.07.05.
1989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TOPIK 시행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1988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주 순회영사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1987 호주 주 정부, 유학생 대상 부당 행위 대대적 조사 나서 톱뉴스 18.07.01.
1986 호주 [포토뉴스]“한국 차, 어때요” 톱뉴스 18.07.01.
1985 호주 한국어 사랑,‘2018 세계한국어웅변 호주대표 선발대회’ 7월 7일 열린다 톱뉴스 18.07.01.
1984 호주 AABC, 호주 아시안 비즈니스 어워드, 웹사이트 런칭 톱뉴스 18.07.01.
1983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②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1982 호주 한국문화원, 올해 음식박람회서 한국 차-차 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1981 호주 총영사관, QLD 주 한국전 참전 용사들 ‘위로’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1980 호주 시드니 곳곳 "대~한민국" 응원전 열기 한껏 톱뉴스 18.06.25.
1979 호주 [본사 방문] 산림청 공무원 톱 미디어 방문...산불 보도 현황 파악 톱뉴스 18.06.25.
1978 호주 호주한인차세대네트워크(KAYN)출범식 16일 열려 톱뉴스 18.06.25.
1977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①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976 호주 총영사관, 올해는 QLD 한국전 참전용사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975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산하 ‘차세대네트워크’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