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글리브 1).jpg

시드니 이너시티(inner city) 글리브(Glebe) 소재 코퍼(Cowper Street) 상의 정부주택 단지. 철거되기 이전인 지난 2010년 모습으로, 이 자리에 공공주택 및 저소득자를 위한 주택, 민간 아파트 등 혼합형 주거단지가 들어선다.


주 정부, 민간 및 공공 혼합형 공공주택 단지로

 


베어드(Mike Baird) 정부가 글리브(Glebe) 소재 코퍼 스트리트(Cowper Street) 상의 철거된 정부주택 단지를 개인 구매자에게도 판매할 것으로 보인다.

 

주 정부는 개인 구매자를 참여시켜 이 지역을 민간 및 공공 혼합형의 저렴한 주택단지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라고 금주 월요일(1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4년여 전 이 주택단지 철거 당시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밀러스 포인트(Millers Point)의 정부 부지가 매각되면서 여기서 밀려난 정부주택 임대자를 위한 주거지로 개발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현 베어드(Mike Baird) 수상 이전 배리 오파렐(Barry O'Farrell) 내각은 지난 2013년 이 부지에 153채의 공공주택과 저소득층을 위한 95채의 저렴한 주택, 247채의 민간 아파트 건설을 승인했었다.

 

이 부지의 민간 아파트에 대한 계획은 조만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주 정부 가족 및 지역사회 서비스부 브래드 하자드(Brad Hazzard ) 장관실 대변인은 민간 아파트를 통해 조달된 자금을 공공주택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도심(inner city)으로 구분되는 글리브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아파트 투자로 많은 이익을 발생시키고 있는 도심의 중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인기 있는 투자지역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난 2011년, 당시 노동당 정부는 글리브 소재 코퍼 스트리트 상의 15개 공공 아파트 단지를 철거했다. 이로 인해 정부주택 세입자 130가구가 강제 퇴거됐으며, 이에 대해 주 정부는 밀러스 포인트의 정부주택 단지를 99년간 장기 임대하면서 확보된 자금으로 이 부지에 새로운 주거지를 마련,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 부지는 개발신청이 유보되고 또 법정에서 논란이 되면서 수년 동안 빈 공간으로 남아 있었다.

 

비영리 지역사회 주택관리그룹인 ‘City West and Bridge Housing’은, 정부가 이전에 계획했던 ‘정부 임대주택 계획’(National Rental Affordability Scheme)의 일부 자금으로 이 부지에 새 주택을 건설, 관리를 맡게 된다. 이 유닛에는 독거 고령자를 위한 리프트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NSW 주 재무부는 지역사회 주택공급사에 이 부지의 명의를 이양했으며 새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는 애초 계획대로 내년 12월 완공될 전망이다.

 


지유미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4 호주 오는 10월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 시작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3 호주 지나 라인하트, 50억 달러 가족신탁기금 운영권 잃어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2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소임금 2.5% 인상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1 호주 ‘MyMaster’ 에세이 부정, 조사 결과 속속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0 호주 철광석 재벌 지나 라인하트, 최고 부자에 호주한국신문 15.06.04.
1989 호주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 통일안보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8 호주 대마초 사용자 70%, “흡입 상태서 운전했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7 호주 파라마타, 장기 도시개발 통해 ‘하버시티’로 재탄생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6 호주 파라마타-스트라스필드 경전철 노선, “무의미하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5 호주 시드니 첫 주택구입자, ‘보증금 장애’ 직면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4 호주 베어드 수상, ‘시드니 하버 제2철도 프로젝트 착수’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3 호주 하이스쿨 학생들도 에세이 등 과제물 ‘구입’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2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불법 마약 온라인 구매 확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1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전자담배 이용,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0 호주 최저임금 근로자들, 임대료 부담 가능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79 호주 올해의 ‘미스 유니버스 호주’ 왕관, 모니카 라둘로비치에게 호주한국신문 15.06.11.
» 호주 ‘글리브’ 정부주택 단지, 민간 참여 재개발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7 호주 주호주 대사관, 야당 관계자 초청 만찬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6 호주 “재외국민, 호주 옴부즈맨으로 문제 해결을...”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5 호주 한국문화원의 ‘Korean Language Week’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