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권익위).JPG

한국 국민권익위원회가 호주 옴부즈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민권익위와 호주 옴부즈맨은 지난 주 금요일(12일)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동포단체 관계자 및 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한국 ‘국민 권익위원회’, 영사관서 동포 미디어 간담회

호주 옴부즈맨과 업무 협약... 유학생 등도 문제 상담


 

재외동포는 물론 호주에 체류하는 대한민국 재외국민들도 인권이나 권익 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호주 옴부즈맨(Commonwealth Ombudsman) 상담을 통해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됐다.

 

특히 호주 옴부즈맨을 이용하면서 언어에 불편을 겪는 경우 한국어로 직접 상담 내용을 작성해 보내면 호주 옴부즈맨이 이에 대한 검토를 한 뒤 한국어로 답변을 보내주기로 했다.

 

대한민국 국민의 권익과 인권, 공공기관 반부패 및 청렴 정책을 추진하는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이성보)는 지난 주 금요일(12일)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동포사회 단체 관계자 및 미디어와 간담회를 갖고, 호주 옴부즈맨과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국민권익위에서는 이성보 위원장을 비롯해 5명의 관계자가, 호주 옴부즈맨에서는 리차드 글렌(Richard Glenn) 부위원장과 프렘 알리마(Prem Aleema) 수석 보좌관이 참석했다.

 

이날 이성보 위원장은 국민권익위원회(www.acrc.go.kr)에 대해 “과거 고충처리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제도개선위원회, 행정심판위원회 등이 하나로 통합, 구성됐다”면서 “각 분야의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주 발생되는 부분의 제도개선을 권고하고 있다”는 말로 그 역할을 설명했다.

 

아울러 호주 옴부즈맨과 업무 협약을 통해 “상대국 재외동포/국민의 민원을 자국민 문제와 같이 빠르게 처리하도록 했으며 상대국 언어로 문제를 의뢰할 수 있고 또한 그 언어로 회신해 주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고 말했다.

 

또 호주 옴부즈맨의 글렌 부위원장도 호주 옴부즈맨의 역할과 기능을 설명하면서 “한국 국민권익위와 업무 협약을 통해 강한 결속을 갖고 민원업무 처리를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며 “호주에 체류하는 한국 국적의 유학생들도 호주 옴부즈맨을 이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m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4 호주 오는 10월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 시작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3 호주 지나 라인하트, 50억 달러 가족신탁기금 운영권 잃어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2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소임금 2.5% 인상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1 호주 ‘MyMaster’ 에세이 부정, 조사 결과 속속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0 호주 철광석 재벌 지나 라인하트, 최고 부자에 호주한국신문 15.06.04.
1989 호주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 통일안보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8 호주 대마초 사용자 70%, “흡입 상태서 운전했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7 호주 파라마타, 장기 도시개발 통해 ‘하버시티’로 재탄생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6 호주 파라마타-스트라스필드 경전철 노선, “무의미하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5 호주 시드니 첫 주택구입자, ‘보증금 장애’ 직면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4 호주 베어드 수상, ‘시드니 하버 제2철도 프로젝트 착수’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3 호주 하이스쿨 학생들도 에세이 등 과제물 ‘구입’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2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불법 마약 온라인 구매 확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1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전자담배 이용,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0 호주 최저임금 근로자들, 임대료 부담 가능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79 호주 올해의 ‘미스 유니버스 호주’ 왕관, 모니카 라둘로비치에게 호주한국신문 15.06.11.
1978 호주 ‘글리브’ 정부주택 단지, 민간 참여 재개발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7 호주 주호주 대사관, 야당 관계자 초청 만찬 호주한국신문 15.06.18.
» 호주 “재외국민, 호주 옴부즈맨으로 문제 해결을...”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5 호주 한국문화원의 ‘Korean Language Week’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