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임대료).jpg

지난 한 해 전국 대도시의 신규 아파트 건설이 늘어나고 평균 임대료 하락이 이어지면서 임대료 시장 성장률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드니 달링허스트(Darlinghurst) 지역의 아파트 임대 안내판.


‘CoreLogic RP Data’ 분석... 임대 수익률도 낮아져

 


근래 호주 부동산 시장 활황과 함께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부동산 임대료 상승률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금요일(12일) ABC 방송은 부동산 분야 통계 및 분석 전문회사인 ‘CoreLogic RP Data’(이하 ‘코어로직’)의 지난 달(5월) 임대지수 자료를 인용, “지난 5월 각 주 대도시의 임대료 상승은 0.1% 상승에 그쳤으며, 연간 상승률도 1.5%에 머물렀다”고 보도했다.

 

반면 호주 통계청(Australia Bureau of Statistics. ABS)이 집계한 임금 물가지수는 올 3월까지 지난 1년간 2.3%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일반 소득에 비해 임대료 상승은 다소 낮았다.

또한 연간 임대료 상승률이 1.5%에 머물렀다는 코어로직의 통계를 뒷받침하듯 ABS 통계에서도 지난 1년간의 호주 부동산 임대 시장은 2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ABS 통계에 따르면 장기간의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임대 부분은 지난해 6월까지 1.5%가 상승했으며 지난 3월까지 1년간의 임대료 상승은 2.1%였다.

 

코어로직의 카메론 쿠셔(Cameron Kusher) 연구원은 “부동산 투자 붐으로 임대료 성장률이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면서 “주택 부문 투자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또 주요 대도시의 신규 주택 건설이 늘어나면서 임대료 상승은 둔화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도 호주 부동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임대료는 주택건설 붐에도 불구, 각각 3.1%, 2.3%가 상승했다.

 

시드니의 경우 호주 전역에서 임대료가 가장 높아 주당 평균 595달러였으며 북부 호주의 다윈(Darwin)은 지난 한 해 동안 임대료가 5.5% 하락 했음에도 불구, 평균 567달러로 호주 전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타스마니아(Tasmania) 주 호바트(Hobart)의 경우 임대료는 평균 342달러로 가장 저렴했으나 호주 각 주 도시들 가운데 지난 한 해 동안의 임대료 상승은 3.2%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브리즈번(Brisbane)과 아들레이드(Adelaide)의 임대료 상승률은 호주 전국 평균과 같았으며 반면 서부 호주 퍼스(Perth)와 캔버라(Canberra)의 연간 상승률은 하락했다.

 

임대 시장 성장 둔화의 또 다른 요인으로는 투자자들의 임대수익률이 평균 3.7%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시드니와 멜번의 경우 수익률 저하는 평균 하락률보다 적은 3.3% 및 3.6%를 기록했다.

 

게다가 지난 한 해 유닛 임대료가 일반 주택 임대료 상승에 앞섰으나 같은 기간 아파트 건축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임대가 되지 않은 유닛 및 아파트도 많아졌다.

 

쿠셔 연구원은 “아파트 건설 확대와 인구증가율 하락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수개월 동안 임대료 성장은 둔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이런 가운데 스튜디오나 1~2침실의 작은 아파트를 원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임대를 위한 신규주택 건축도 늘어나고 있다.

 


지유미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4 호주 윤상수 총영사, 독립유공자 후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1973 호주 <민주평통 아세안지역회의> 북미정상회담 후속 활동 잰걸음 톱뉴스 18.06.17.
1972 호주 ‘역사적 만남’ 북미 정상회담…… 차세대 호주 한인들의 반응은? 톱뉴스 18.06.17.
1971 호주 ‘부시 워킹’ 계획하세요? 톱뉴스 18.06.17.
1970 호주 한국 이니스프리 직영매장 멜버른 진출 톱뉴스 18.06.11.
1969 호주 20대 한국 워홀러 여성, 실종 엿새만에 극적 구조 톱뉴스 18.06.11.
1968 호주 [포토뉴스] 더콰이엇X도끼, 시드니를 열광시킨 스웨그 톱뉴스 18.06.11.
1967 호주 주호주한국대사관, ‘전환의 시대, 한-호 관계’ 심포지엄 개최 톱뉴스 18.06.11.
1966 호주 총영사관, QLD 지역 ‘워홀러’ 대상 정보 세미나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1965 호주 호주한국학교, ‘신나는 한국 여행’ 주제 문화 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1964 호주 [현장스케치] "통일 골든벨을 울려라" 호주 예선 대회 톱뉴스 18.06.06.
1963 호주 이민지 선수, LPGA 우승 ...세계 랭킹 8위 올라 톱뉴스 18.06.06.
1962 호주 한국의 ‘정(情)’, 나에게 ‘심쿵 ‘2018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열려 톱뉴스 18.06.06.
1961 호주 한국 박스오피스 1위 독주 ‘독전’…호주 상륙 톱뉴스 18.06.06.
1960 호주 “한국의 ‘정’은 내가 가장 ‘심쿵’했던 경험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5.31.
1959 호주 레이 윌리엄스 NSW주 다문화부 장관, 기자 간담회 열어 톱뉴스 18.05.27.
1958 호주 라이드시, “인종차별주의! 나에게서 멈추다” 캠페인 주력 톱뉴스 18.05.27.
1957 호주 문대통령, 김정은 위원장과 두 번째 정상회담…호주 언론 속보 보도 톱뉴스 18.05.27.
1956 호주 “4년 후의 커먼웰스 게임, 6년 후 올림픽 출전이 목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24.
1955 호주 ‘케이무브’프로그램 참가한 한국 여성, 호주서 사기 당해 톱뉴스 18.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