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예산 3).jpg

타롱가 동물원(Taronga Zoo)의 고릴라들. 개체수 감소로 칙사 대접을 받는 이들은 올해 정부 예산으로 보다 큰 집을 갖게 됐다.


스몰 비즈니스에 세금 혜택, TAFE 지원 배제

 


지난 수년간 지속된 시드니 지역 부동산 경기 활성화로 주 정부는 예상외의 인지세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정부는 새 회계연도 예산 운영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됐으며 올해 25억 달러의 흑자와 함께 향후 수년간 재정흑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주 화요일(23일) 발표된 NSW 주 예산안에 따른 ‘승자’와 ‘패자’를 알아본다.

 


Losers

-TAFE 학생들 : 지난해 TAFE의 많은 과정에 대한 학비 인상으로 올해 등록 학생은 3만 명 정도가 줄어들었다. 정부 지원의 가장 인기 있는 ‘Certificate III’ 과정 학생도 전년보다 줄어 1만8천여 명에 불과했다. 내년도 예산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정부 지원은 없다.

-공무원 : 베어드(Mike Baird) 정부는 2.5% 이상의 임금인상 없는 주급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추가로 중복적인 정부 부서를 줄임으로써 향후 4년간 11억 달러를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더 많은 공무원 일자리가 축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주택구입자 : 시드니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불구, 정부가 첫 주택구입자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을 위한 구입 주택가격 기준은 높아지지 않았다. 결국 주택가격 상승으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격대의 주택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첫 주택구입자들로서는 안타까울 뿐이다.

 


Winners

-스몰 비즈니스 : 오는 7월부터 새 직원을 고용하는 경우 2천 달러까지 지불급여세(payroll tax. 임금에 과세되는 세금)를 내지 않아도 된다.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 : 더 많은 ‘방과 후 보호시설’(after-school care)이 건설되며 초등학교에 이를 마련하기 위한 기금으로 2천만 달러를 지원한다.

-경주 산업 : 정부는 ‘Racing NSW’와 ‘Greyhound Racing’에 대한 도박세를 인하한다.

-환자들 : 새 회계연도에 병원 재건축을 위해 14억 달러가 투입된다. 정부는 또한 오는 2019년까지 의사, 간호사, 병원 직원 3천500명을 추가로 고용할 계획이다.

-학생들 : 벨라 비스타(Bella Vista), 더보(Dubbo), 나렐란(Narellan), 파라마타(Parramatta) 등 광역 시드니와 지방 소도시에 새로운 학교 설립이 속도를 낸다.

-출퇴근 직장인들 : 시드니 메트로(Sydney Metro), 웨스턴 하버 터널(Western Harbour Tunnel), 고속버스 시스템 등 도로 프로젝트 계획을 가속화하기 위해 1억8,700만 달러가 투입된다.

-고릴라들 : 시드니 타롱가 동물원(Taronga Zoo)의 고릴라들은 좀 더 큰 집을 갖게 됐으며 미어캣(meerkat. 남아프리카산의 작은 육식동물로 몽구스의 일종)은 새로운 초원을 갖게 된다.

-재소자들 : 교도수 수감 시설 부족으로 죄수의 과밀 수용을 해소하기 위해 수년 전 문을 닫았던 그라프턴(Grafton) 교도소를 재개방한다.

-수양 자녀들 : 양자로 입양된 아이들을 위해 2억 달러의 가정 외 보호서비스(out-of-home care)를 확대한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4 호주 워홀러 대상, 호주 생활 및 취업 워크샵 ‘알쓸신좝’ 19일 열려 톱뉴스 18.05.18.
1953 호주 [포토뉴스] 뜨거웠던.. K-Pop 월드 페스티벌 멜버른 예선전 현장! 톱뉴스 18.05.18.
1952 호주 캠시음식축제, 단연 돋보였던 ‘쌈밥 한상차림’ 톱뉴스 18.05.18.
1951 호주 신규 이민자들, Go to bush or not go ho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50 호주 세계적 오페라 스타 조수미씨, 호주 주요 도시서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9 호주 ‘캠시음식축제’ 관람객들, ‘쌈밥 한상차림’에 열광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8 호주 “80년 광주 시민들이 보여준 ‘연대 의식’ 이어나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7 호주 한글학교 유공 교사에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감사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6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차세대 네트워크’ 조직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5 호주 한인 차세대 단체들, ‘스포츠’ 통해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4 호주 한-호, 문화로 통(通)하다! 2018 시드니한민족 축제 ‘성료’ 톱뉴스 18.05.11.
1943 호주 시드니 음대 오페라단, ‘테레시아스의 유방’ 공연 톱뉴스 18.05.11.
1942 호주 [동영상 뉴스] 2018 시드니 한민족 축제의 오프닝 행사를 빛낸 떡케이크 톱뉴스 18.05.11.
1941 호주 마이클 커비 전 연방 대법관 “북한 인권 개선 없으면 한반도 평화는 불가능” 톱뉴스 18.05.11.
1940 호주 Sydney Korean Festival 2018; 역대 ‘최다’ 관람객-음식스톨 매출도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9 호주 한국문화원,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8 호주 ‘세월호’ 영화 <그날 바다> 시드니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7 호주 “‘엄마라서’라는 핑계로 함부로 행동해 죄송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6 호주 콜링맨, 한국 여성 리더 대표단과 교류의 장 가져 톱뉴스 18.05.04.
1935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지지 분위기 속 이례적 신중 모드 톱뉴스 18.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