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구).jpg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이 지난 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빅토리아(Victoria) 주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오는 2056년 멜번(Melbourne)은 시드니 인구를 앞질러 호주 최대 도시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멜번 도심 풍경.

 

호주 통계청 자료... 멜번, 2056년 호주 최대 도시 될 듯

 


지난 한 해 빅토리아(Victoria) 주 인구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최근 나온 공식 인구 전망에서 주도인 멜번(Melbourne)의 경우 오는 2056년 시드니를 능가하는 호주 최대 도시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주 목요일(25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빅토리아 주는 지난 40년 이상 각 주별 인구이동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지난 한 해 빅토리아로 이주한 이들은 총 9,300명으로 다른 주에 비해 가장 많았으며, 이중 3분 1 가량이 NSW 주에서, 이어 남부 호주(South Australia)에서 빅토리아로 이주한 이들은 2,100명에 달했다.

 

ABS의 드니스 칼튼(Denise Carlton) 대변인은 “빅토리아 주는 특히 지난 2011년 이후 상당한 인구 증가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 한 해에만도 다른 주에서 이주한 이들은 9,300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n)와 퀸즐랜드(Queensland)에서 빅토리아 주로 이주한 이들도 결코 적은 수는 아니었다.

이에 따라 금세기 중반, 멜번 인구는 800만 또는 9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호주기획연구원(Planning Institute Australia)의 커스티 켈리(Kirsty Kelly) 연구원은 “최근의 인구성장 수치는 보다 나은 인구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인구 증가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어디에서 인구가 늘어나는지, 또한 기반시설 투자 등 인구증가에 따라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가 정책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3년 4월 2천300만 명을 돌파한 호주 인구는 지난해 33만 명이 증가해 2014년 말 집계로 2천36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 호주 인구

(2014년 말 기준. 괄호 안은 지난 한 해 중가 / 증가비율)

-NSW : 7,565,500명(103,000명 / 1.4%)

-Victoria : 5,886,400명(101,500명 / 1.8%)

-Queensland : 4,750,500명(64,200명 / 1.4%)

-Western Australia : 2,581,300명(40,100명 / 1.6%)

-South Australia : 1,691,500명(14,800명 / 0.9%)

-Tasmania : 515,200명(1,400명 / 0.3%)

-ACT : 387,600명(4,300명 / 1.1%)

-Northern Territory : 244,300명

-호주 전체 : 23,625,600명(330,200명 / 1.4%)

* 자료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4 호주 워홀러 대상, 호주 생활 및 취업 워크샵 ‘알쓸신좝’ 19일 열려 톱뉴스 18.05.18.
1953 호주 [포토뉴스] 뜨거웠던.. K-Pop 월드 페스티벌 멜버른 예선전 현장! 톱뉴스 18.05.18.
1952 호주 캠시음식축제, 단연 돋보였던 ‘쌈밥 한상차림’ 톱뉴스 18.05.18.
1951 호주 신규 이민자들, Go to bush or not go ho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50 호주 세계적 오페라 스타 조수미씨, 호주 주요 도시서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9 호주 ‘캠시음식축제’ 관람객들, ‘쌈밥 한상차림’에 열광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8 호주 “80년 광주 시민들이 보여준 ‘연대 의식’ 이어나가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7 호주 한글학교 유공 교사에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감사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6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차세대 네트워크’ 조직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5 호주 한인 차세대 단체들, ‘스포츠’ 통해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
1944 호주 한-호, 문화로 통(通)하다! 2018 시드니한민족 축제 ‘성료’ 톱뉴스 18.05.11.
1943 호주 시드니 음대 오페라단, ‘테레시아스의 유방’ 공연 톱뉴스 18.05.11.
1942 호주 [동영상 뉴스] 2018 시드니 한민족 축제의 오프닝 행사를 빛낸 떡케이크 톱뉴스 18.05.11.
1941 호주 마이클 커비 전 연방 대법관 “북한 인권 개선 없으면 한반도 평화는 불가능” 톱뉴스 18.05.11.
1940 호주 Sydney Korean Festival 2018; 역대 ‘최다’ 관람객-음식스톨 매출도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9 호주 한국문화원,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8 호주 ‘세월호’ 영화 <그날 바다> 시드니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7 호주 “‘엄마라서’라는 핑계로 함부로 행동해 죄송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0.
1936 호주 콜링맨, 한국 여성 리더 대표단과 교류의 장 가져 톱뉴스 18.05.04.
1935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지지 분위기 속 이례적 신중 모드 톱뉴스 18.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