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스톰 1).jpg

NSW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주 수상과 SES(State Emergency Services), NRMA 보험사가 강풍 시즌 대비를 발표하던 지난 10월26일(월), 시드니 지역에는 심한 강풍과 번개가 발생, 절묘한 타이밍을 보였다.


SES, NRMA 보험사와 함께... 산물-홍수보다 피해 규모 많아

 


본격적인 강풍(storm) 시즌이 되면서 당국이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금주 월요일(26일)에도 시드니 곳곳에는 1시간 이상 강풍이 발생, 일부 지역에서는 상당한 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NRMA(National Roads and Motorists' Association) 보험사가 이날, 강풍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시드니 10개 지역을 발표한 가운데,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주 수상과 NSW 응급 서비스 당국인 SES(State Emergency Services), NRMA 보험사는 자주 발생하는 강풍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어드 수상은 “산불이나 강풍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어려운 시즌을 맞았다”면서 각 지역사회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대비를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주 수상과 SES, NRMA가 이를 발표하던 월요일(26일) 오후에는 마침 짙은 먹구름이 몰려온 가운데 천둥과 번개가 내리치기도 해 절묘한 타이밍을 보였다.

 

NRMA 보험사가 발표한 강풍 피해 최다 지역은 시드니 북부 세인트 아이비스(St Ives)였으며 루티 힐(Rooty Hill), 카슬힐(Castle Hill), 마로브라(Maroubra), 버큼힐(Baulkham Hills)이 뒤를 이었다.

 

NSW SES의 시드니 북부지역 담당인 앨리슨 플랙스만(Allison Flaxman) 국장은 “이 같은 통계에도 불구, 강풍은 아무 때이든, 또 어느 지역이든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플랙스만 국장은 지난 4월 발생했던 극심한 강풍을 언급하면서 “당시 강풍은 분명 SES가 보아왔던 가장 큰 피해사례 중 하나”라면서 “당시 강풍 발생을 보면서 깨달은 것은 지역사회에 강풍 발생을 대비해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각 가정으로 하여금 집 안팎의 나무 가지를 쳐내고 옥외 설치물을 단단히 고정시키며, 배수구가 막히지 않게 관리하는 등 필요한 사항을 설명했다.

 

NRMA 보험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2014-15년) NSW 주의 75% 가정이 강풍으로 피해를 입은 바 있으며, 이는 이전 해에 비해 30%가 늘어난 수치이다.

또한 지난 4월 발생한 강풍으로 4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강풍 발생 이후 2주 동안 NRMA 사가 접수한 보험 청구 건수는 5만 건이 넘었다.

 

NRMA 보험사 고객 서비스부의 앤서니 저스티스(Anthony Justice) 국장은 “매년 호주에서 강풍 피해로 접수되는 보험 청구건은 산불, 홍수, 지진보다 많다”고 언급한 뒤 “1년에 100건 이상 발생되는 강풍과 번개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비를 잘 하면 이처럼 많은 수의 보험 청구를 피할 수 있다”면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또 가입된 보험 내용이 최신 버전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NSW 주 전체에서 강풍 피해가 가장 많은 곳은 헌터(Hunter)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강풍 피해 보험 청구는 전체의 34%에 달했으며, 고스포드-와이용(Gosford-Wyong. 18%), 센트럴 노던 시드니(central northern Sydney. 7%), 노스 웨스턴 시드니(north western Sydney. 7%), 세인트 조지-서덜랜드(St George-Sutherland. 5%),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 4%), 일라와라(Illawarra. 3%), 이너 시드니(inner Sydney. 3%), 시드니 동부 지역(eastern suburbs. 3%), 로워 노던 시드니(lower northern Sydney. 2%)가 뒤를 이었다.

 

베어드 주 수상은 “지난 4월의 강풍은 전례없이 큰 피해를 입혔으며,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면서 “오늘의 이 메시지는 강풍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드니 지역 Storm hit-list

1. St Ives

2. Rooty Hill

3. Castle Hill

4. Maroubra

5. Baulkham Hills

6. Wahroonga

7. Blacktown

8. Greystanes

9. Kellyville

10. French Forest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4 호주 워킹홀리데이 비자, 연령 제한 변경 아직 없다 톱뉴스 17.07.23.
1213 호주 호주 폴리글롯 극단 ‘꼬불꼬불 스티키 미로’, 한국서 공연 톱뉴스 17.07.23.
1212 호주 한국은 요즘… 호주 관광 관심 ‘핫! 핫!’ 톱뉴스 17.07.23.
1211 호주 제주항공, 시드니까지 국제선 “확장” 톱뉴스 17.07.27.
1210 호주 시드니 지역 한식당 관계자 대상 교육 계획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9 호주 올해 호주지역 ‘한국어 능력시험’, 10월21일 시행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8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주말한글학교 교장 간담회 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7 호주 ‘독도사랑연합회’, 한국 전통 국악 통한 ‘독도 알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6 호주 “동포-청소년 대상 교양-문화 공간으로 확대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5 호주 시드니 ‘시소추’, 내일(5일) ‘평화의 소녀상’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4 호주 ‘제8회 호주한국영화제’, 작품 속에서 만나는 여덟 개의 색깔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3 호주 한인 스케이터 꿈나무들의 당찬 첫걸음 톱뉴스 17.08.04.
1202 호주 호주대표팀 ‘다섯손가락’, ‘세계통일안보비전대회’서 우수상 수상 톱뉴스 17.08.04.
1201 호주 호주에 온, 해남 은숙씨네 ‘사철 밥상’ 톱뉴스 17.08.04.
1200 호주 안혜영 양, ‘세계한국어웅변대회’서 국무총리상 받아 톱뉴스 17.08.04.
1199 호주 시드니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코리아 가든 전면 백지화 톱뉴스 17.08.07.
1198 호주 ‘Strathfield Partners’,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7 호주 현지 학생 대상 ‘한국어 집중 교육’ 위한 ‘하나센터’ 개원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6 호주 한국문화원, 현지인들에 ‘한국 차’(Tea) 소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5 호주 시소추, “소녀상 지키기 활동 계속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