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바네사 김).jpg

올해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스트라스필드 카운슬러에 도전하는 자유당 소속의 바네사 김(Vanessa Kim)씨(사진). 스트라스필드 지역을 기반으로 10년 넘게 부동산 컨설턴트로 일해 온 그녀는 “한인 동포들의 지원에 우선 시간을 할애하겠다”고 밝혔다.

 

한인동포 ‘텃밭’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선거 출마하는 바네사 김씨

의회 결의 이후 전면 중단시킨 ‘코리아 가든’ 사업 “살펴볼 것”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전 NSW 주 정부 당시 추진되어온 NSW 지방의회 개혁 일환으로 상당 카운슬이 통합되거나 이를 거부한 상태에서 행정소송이 진행 중인 가운데 올해 처음으로 치러지는 지방의회 선거에 시드니 지역 다수의 한인 후보들이 출마를 밝힌 상태이다. 이중 한인동포 ‘텃밭’으로 간주되는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에서는 자유당 소속으로 동포 기업인 바네사 김(Vanessa Kim)씨가 6명의 자유당 소속 후보와 함께 출마한다.

바네사 김씨는 ‘Elders Inner West’에서의 업무를 시작으로 스트라스필드 ‘Devine Real Estate’를 거쳐 현재는 ‘Strathfield Partners’(SP)의 부동산 및 경매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10년 넘는 부동산 관련 업무 동안 바네사 김씨는 NSW 및 AC의 ‘No. 5 Agent’ 선정되기도 했으며 이런 명성으로 ‘Devine’ 사로 스카웃됐다가 현재는 SP에서 스트라스필드를 기반으로 부동산 컨설턴트로서의 확고한 기반을 다져왔다.

이번 지방의회 선거 출마에 대해 그녀는 굴리안 바카리(Gulian Vaccari) 전 시장, 스테파니 코콜리스(Stephanie Kokkolis) 부시장 등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출마 결심을 굳혔다고 말했다. 이들이 바네사 김씨를 추천하게 된 것은 연방 및 주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를 위한 적극적인 자원봉사, 지역사회 활동 등에서 그녀가 스트라스필드 지역민들에게 상당히 친숙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그녀는 각 선거에서 자유당을 위해 자발적 선거운동에도 앞장섰으며, 이에 대해 바네사 김씨는 “어떤 일을 추진하든 미래를 내다보고 차분하게 실천해 가는 자유당 정치인들의 매너에 감동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런 배경으로 자유당 정치인들로부터 지방선거 출마를 권유받았을 때 자연스럽게 스트라스필드를 선택했다. 이 지역에서 오래 거주해 왔고 또 본인의 비즈니스 기반이며 스트라스필드 지역사회를 위한 오랜 봉사가 그 결정의 배경이 됐다.

이번 선거에서 바네사 김씨는 자유당의 다른 6명과 함께 팀을 이루었다. 1950년대 부모를 따라 호주로 건너온 굴리안 바카리씨, 레바논 태생으로 스트라스필드에서 오래 거주해 온 안토인 두에히(Antoine Doueihi)씨, 스테파니 코콜리스씨, 인도 출신인 라지브 반둘라(Rajiv Bhandula)씨, 앤서니 맥킨리(Anthony McKinley)씨, 미라 카니(Mira Carney)씨가 그들이며 바네사 김씨는 4번 후보로 지명됐다.

자유당 동료들과 함께 바네사 김씨는 △지역교통체증 해결과 효율적인 통행량 조절 △공원시설 재정비 및 스포츠 설비 확충 △카운슬 자체 예산 확보 및 불필요한 비용 절감 △거주민 안전을 위한 CCTV 확충 및 우범지역 순찰 강화 △고층 주거지 개발에 대한 철저한 검증 △스트라스필드만의 특색 유지 등을 핵심 정책으로 밝혔다. 바네사 김씨는 “이 같은 정책도 중요하지만 스트라스필드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한인 동포들의 애로사항을 우선 관심사로 받아들일 것임을 강조했다.

아울러 지방의회가 담당하는 도로계획 및 건축 허가, 도서관, 공원 및 특별보호구역 확충, 쓰레기 및 재활용 서비스, 인도 및 가로수 정비 등에도 보다 세심한 신경을 쓰며 이런 가운데 한인 커뮤니티를 위해 넉넉하게 시간을 할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재 사업이 중단된 ‘코리아 가든’에 대해 “이번 선거를 통해 구성되는 새 카운슬에서 다시 검토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지방의회에 들어가게 되면 이 부분을 다시 한 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바네사 김).jpg (File Size:97.0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4 호주 주호주대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설치 호주한국신문 15.10.22.
1173 호주 주호주 대사관, ‘캔버라 청년 취업설명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22.
1172 호주 시드니에서의 삶은 과연 나아지고 있는가 호주한국신문 15.10.15.
1171 호주 20년 전, HSC 시험 최고 성적자들이 주는 조언 호주한국신문 15.10.15.
1170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이전 대테러법 변경 요청 있었다”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9 호주 연방 법무부, 10대 테러 용의자 강력 대처 방침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8 호주 ‘뱅스타운 기차 라인’ 지역, 대대적 개발 계획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7 호주 NSW 주 정부, 가정폭력 대처 프로그램 착수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6 호주 시드니 도심 경전철 건설... 일부 교차로 혼잡 심각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5 호주 호주 노동당, 새 ‘정신건강 서비스’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4 호주 이번 주 NSW 주 전역서 ‘2015 HSC 시험’ 시작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3 호주 주입식 마약 중독자 중 ‘아이스’ 복용자, 6% 증가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2 호주 2012년 3월 이래 퍼스 지역 임대료 인하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1 호주 시드니 1M 미만 주택구입 불가능 지역 늘어 호주한국신문 15.10.15.
1160 호주 퀸즐랜드 부동산 신뢰지수 상승, 자신감 Up! 호주한국신문 15.10.15.
1159 호주 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절절포’ 부대 격려 방문 호주한국신문 15.10.15.
1158 호주 재외선거등록, 우편 및 인터넷으로도 가능 호주한국신문 15.10.15.
1157 호주 주시드니한국문화원, ‘Party on the Park’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
1156 호주 주시드니한국문화원, ‘Party on the Park’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
1155 호주 독도사랑 호주연합, ‘독도의 날’ 행사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