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피터 김).jpg

올해 NSW 주 지방선거에서도 이전에 비해 적은 수이지만 한인 카운슬러를 배출할 것으로 보인다. 한인 피터 김 후보(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제롬 락살(Jerome Laxale) 후보, 이들의 선거 캠페인을 격려하는 루크 폴리(Luke Foley) NSW 노동당 대표(오른쪽에서 두 번째) 및 지지자들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인 거주자 비율 높은 지역서 6명 출마... ‘라이드’에서만 ‘당선’

 

NSW 자유-국민 연립의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전 주 총리가 지방의회 개혁 일환으로 카운슬 통합을 추진한 이래 처음 실시된 지방의회 선거의 개표가 계속 진행되는 가운데, 4개 카운슬 지역에서 출마한 6명의 한인 후보 가운데 한 명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고 있다.

지난 2012년 선거와 달리 카운슬러 배출은 한 명이지만 2000년 이후 시드니 한인 커뮤니티에서의 정계 진출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이 같은 시도가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올해 지방선거에서 당선이 확실시 되는 후보는 한인동포 최다 밀집 선구 구역인 라이드(Ryde) 카운슬에서 출마한 피터 김(한국명 김상희)씨이다. 성형외과 의사인 김 후보는 노동당 공천을 받아 카운슬러에 도전했으며, 라이드 카운슬 ‘West Ward’의 제롬 락살(Jerome Laxale) 후보에 이어 2번 후보로 당선이 확실시 되고 있다.

NSW 선거관리위원회(NSW Electoral Commission)가 인터넷 사이트(www.elections.nsw.gov.au/)를 통해 집계 상황을 계속 업로드 하고 있는 가운데 금주 화요일(12일) 오후 3시 현재(이하 같은 시간 기준) 라이드 ‘West Ward’의 노동당 그룹은 우선투표(First preference Votes)에서 6,317표를 확보하고 있으며, 쿼터 비율(Quota Ratio)은 1.8로, 이 지역의 노동당 그룹 지지를 감안하면 피터 김 후보의 당선은 안정적이다.

7명의 후보를 선출하는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에서는 같은 시간 현재 자유당이 노동당을 크게 앞지른 가운데 기대를 모았던 김현지(Vanessa Kim) 후보(자유당 4번 후보)는 당선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은주 후보가 5번 후보로 나선 무소속 A그룹은 자유당(우선투표 6,124표. Quota Ratio 3.08) 노동당(4,713표. Quota Ratio 2.37)에 이어 3,040표(Quota Ratio 1.53)를 획득하고 있는 가운데이 그룹의 5번을 배정받은 신은주 후보 또한 당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선거에서는 6명의 카운슬러를 가려내는 버우드(Burwood)에서도 한인 동포 강경희(Christina Kang) 후보가 자유당 3번 후보로 출마, 노동당 강세를 반전시킬 것으로 기대됐으나 강 후보 또한 당선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버우드 지역에서는 노동당이 우선투표 6,763표(Quota Ratio 3.49)를 얻고 있으며 자유당은 3,334표(Quota Ratio 1.72)로, 최종 집계는 다음 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이외 노스 시드니(North Sydney)에서는 ‘Victoria Ward’에서 무소속 A그룹 4번으로 후보로 장지선 후보가 출마했으며, 집계가 이어지는 가운데 같은 시간 현재 가장 많은 4,952를 획득(Quota Ratio 1.91)했으나 장 후보의 당선은 어려운 실정이다.

 

  • |
  1. 종합(피터 김).jpg (File Size:71.4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34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2733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2732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2731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2730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9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8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7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6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5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4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3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2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1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2720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2719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2718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2717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2716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2715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