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체결 직후부터 한국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지지받지 못해

 

nytimes.jpg

 

(뉴욕=코리아위클리) 현송-박윤숙 기자 = <뉴욕타임스>가 ‘화해·치유 재단 해체' 보도에 대한 외신  보도에서  '한국 정부, 일본군 성노예 최종 합의의 취소를 암시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1일 한국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을 위한 매춘굴에서 강제로 일했던 한국 여성들을 돕기위해 일본의 자금으로 세워진 재단 해체 결정을 발표했는데, 이는 고통스러운 이 이슈를 마무리 하기 위해 체결된 2015년 한일 위안부 협정을 근본적으로 무효화시킨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양국 정부가 성노예제를 둘러싼 수십 년간 분쟁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안이라 불렀던 이 협상을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포기하지는 않았지만, 이 협상 이행을 담당했던 화해•치유 재단을 해체함으로써 협약을 사실상 폐기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 같은 폐기의  배경을 분석했다.

 

이 협상은 2015년 체결된 직후부터 한국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는데, 일본 측의 법적 책임에 대한 명시와 공식적 배상이 미흡하다고 지적한 일부 생존 피해자들을 포함하여, 한국 사회에서 크게 지지받지 못했고, 이 협상을 밀어붙인 당시 대통령은 그 후 축출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작년 12월 정부가 임명한 전문가들은 박근혜 정부가 일본과의 협상 과정에서 피해자들의 요구를 대변하는 데 실패했다고 결론 내렸으며, 지난 9월 뉴욕에서 아베 총리를 만난 문재인 대통령은 여론의 반대로 "재단 해체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2016년 7월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이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로 한 일이 거의 없으며 위원들 상당수가 사퇴했고, 일본과의 협상에 분노한 한국 시민 단체와 행동가들이 피해자들에게 비슷한 지원을 해 주는 ‘정의 기억재단’을 설립하면서 이 재단의 역할은 더 약화되었다고 전했다.

 

반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수요일 재단 해체 소식에 격분하며, "3년 전 합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결의안이었다. 일본은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정직하게 이 서약을 이행했으며, 한 국가가 국제적 약속을 지킬 수 없다면 양자 관계를 구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생존 피해자 중 한 명인 92세의 김복동 할머니가 한국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며, “아베는 반드시 사과와 배상을 함께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도 전했다.

  • |
  1. nytimes.jpg (File Size:141.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75 미국 미국인들 최고 선호 애완견은 ‘래브라도 리트리버’ 코리아위클리.. 16.03.09.
3074 미국 일광절약 조정때 난 쌍둥이 장자권 누구? 코리아위클리.. 16.03.11.
3073 미국 디즈니월드 입장료, 시즌별로 다르다 코리아위클리.. 16.03.11.
3072 미국 경기 안 좋아도 외식이 증가하는 이유는? 코리아위클리.. 16.03.11.
3071 미국 당신의 콩팥, 나이에 비해 건강합니까? 코리아위클리.. 16.03.11.
3070 미국 플로리다, 동성결혼 주례 거부한 목사 고소 못한다 코리아위클리.. 16.03.11.
3069 미국 "동성애 여성 자녀 친권은 동성 커플 모두에게" 코리아위클리.. 16.03.12.
3068 미국 미국은 지금 '트랜스 지방'과 전쟁중 file 코리아위클리.. 16.03.15.
3067 미국 북한, 선전물 훔친 미국 대학생에 15년 노동 교화형 코리아위클리.. 16.03.17.
3066 미국 서양의 봄철 채소 아스파라거스 코리아위클리.. 16.03.18.
3065 미국 올랜도 I-4 확장공사로 자동차 사고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16.03.18.
3064 미국 목회일과 일반직 겸직 목사가 늘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6.03.18.
3063 미국 미국인 성형, 이제 ‘뒤태’로 눈 돌렸다 코리아위클리.. 16.03.18.
3062 미국 서양의 봄철 채소 아스파라거스 코리아위클리.. 16.03.24.
3061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택, 가격은 뛰고 매매량은 줄어 코리아위클리.. 16.03.24.
3060 미국 세금보고 마감 앞두고 전화 사기행각 극성 코리아위클리.. 16.03.24.
3059 미국 주 의회, 교육예산 대폭 올린 823억달러 예산 통과 코리아위클리.. 16.03.24.
3058 미국 테마공원 시월드, 범고래로 웃고 울었다 코리아위클리.. 16.03.24.
3057 미국 식품 방부제는 ‘식용 화학물질’, 건강 논란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3.26.
3056 미국 중국 요리가 맛있다고? 그러면 그렇지 코리아위클리.. 16.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