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 섭취 충분하지 않으면 소변 농축으로 결석 생성 촉진
 

yoro.jpg
▲ 요로결석이 생기기 쉬운 곳. <사진 출처: 삼성병원 웹사이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소변은 신장에서 만들어져 요관을 통해 방광에 도달하고 방광에서 요도를 거쳐 체외로 배출된다. 요로결석은 이같은 소변 배출 경로에 돌(결석)이 생겨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무더운 여름철에 잘 걸린다.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 소변량이 감소하고 농축되면서 결석 생성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이달 서울아산병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밝힌 통계에서 요로결석의 진료 인원은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7∼9월), 그중에서도 8월이 가장 많았다. 실제로 지난해 1월엔 3만6천여명이었던 환자가 같은 해 8월에는 4만5천여명으로 급증했다.

소변에 칼슘 및 여러 성분이 뭉쳐서 만들어지는 결석은 소변 배출 경로 중 신장과 요관에 많이 생기며, 특히 요관에 결석이 잘 걸린다.

요로결석은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문제는 극심한 통증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어떤 이는 ‘칼로 후벼 파는 것 같은 통증’이라고 표현할 정도다. 요로결석의 통증이 심한 이유는, 결석이 소변길을 따라 내려가다가 막히게 되면 요관에 격심한 경련이 오고 주변 근육과 장기가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통증은 예고 없이 갑자기 나타났다가, 요관에 아주 작은 틈이 생겨서 다시 소변이 흐르게 되면 감쪽같이 사라지기도 한다.

요로결석의 통증은 결석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신장결석은 증상이 전혀 없거나 가벼운 소화불량 정도를 보인다. 요관결석은 결석이 상부요관에 걸리면 옆구리에서 등으로 뻗치는 통증이 나타나고, 하부요관에 걸리면 아랫배에서 사타구니·허벅지·회음부로 뻗치는 통증이 나타난다. 방광결석은 아랫배 불쾌감이나 소변이 자주 마렵고 시원치 않은 배뇨증상을 보인다. 그리고 모든 종류의 요로결석에서 소변에 피가 섞여서 나오는 혈뇨가 보인다.

요로결석은 10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은 앓는다고 할 정도로 흔한 질환인데 최근 급증하고 있다. 지역으로는 열대지방이나 물에 석회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는 유럽에서 많이 발생한다. 지역으로는 열대지방이나 물에 석회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는 유럽에서 많이 발생한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소변이 농축되어 결정이 쉽게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비타민D 생성도 영향을 미친다. 즉 햇빛에 많이 노출되면 뼈 형성과 관련있는 비타민D 생성이 많아지고, 소변에 칼슘 배설이 늘어서 칼슘결석이 잘 생긴다는 것이다.

결석의 형성기전은 소변 내에 녹아 있는 칼슘, 수산, 인산, 요산 등이 모여서 먼지 정도의 아주 작은 결정체가 되고, 이 결정체를 핵으로 점점 더 뭉쳐서 결석이 만들어진다.

요로결석은 많이 먹고 덜 움직이는 현대적 생활습관으로 인한 질환이다. 어떤 한 가지 식품보다는 과식으로 인한 고칼로리 섭취가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음주와 흡연 등도 위험요인이다. 짠 음식을 먹으면서 수분 섭취가 낮을 경우에도 요로결석 위험이 높아진다.

또 요로결석은 한번 걸리면 재발하기 쉬우므로 평소에 철저히 예방해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요로결석 환자의 30~50%가 5년 내 재발한다고 본다.

요로결석의 발병과 재발을 피하려면 짠 음식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줄이고, 땀 흘린 후에는 충분한 수분을 보충하는 등 생활습관을 관리해야 한다. 특히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 결석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결석 성분을 희석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과 재발 예방에 좋다. 또 레몬, 오렌지, 귤, 수박 같은 시트르산이 많이 함유된 식품도 매우 도움이 된다.

맥주를 마시면 소변량이 증가해 결석을 제거할 수 있다는 말도 떠돌지만, 전문가들은 맥주를 자주 마시는 경우 결석의 위험률이 높아진다고 지적한다. 알코올에는 결석을 만드는 요소인 칼슘이나 인산, 요산 등을 많이 포함할 뿐만 아니라 탈수 현상을 유발할 수있다는 것이다. (나무위키 등 인터넷 건강 정보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5 미국 5월 미국 고용시장 저조, 실업률 3.6%로 평행선 코리아위클리.. 19.06.16.
1594 미국 프란치스코 교황, 주기도문 변경 공식 승인 코리아위클리.. 19.06.16.
1593 미국 마이애미 파크랜드 총기 난사사건 경찰, 직무태만으로 체포 코리아위클리.. 19.06.16.
1592 미국 UN 대북 식량원조 북한주민 77만명 지원 file 뉴스로_USA 19.06.13.
1591 미국 美하원 한국전쟁 종식촉구 결의안 서명 32명으로 늘어 file 뉴스로_USA 19.06.10.
1590 미국 ‘결제시 현찰 안 받으면 불법’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9 미국 미국 올해 홍역 발생 건수, 27년 내 최고치 기록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8 미국 “인구조사 시민권자 여부 질문, 공화당에 이득 준다”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7 미국 올해 허리케인 시즌 시작… 철저하게 대비해야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6 미국 초소형 '미니 주택', 센트럴플로리다에서 선 보인다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5 미국 올랜도, '휴가갈 필요 없는 도시' 2위에 올라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4 미국 올랜도 새 지역 전화번호 ‘689’ 데뷔 코리아위클리.. 19.06.09.
1583 미국 트럼프가 '격전지' 플로리다에서 재선 출정식 여는 까닭 코리아위클리.. 19.06.06.
1582 미국 조지아-테네시 주지사들 연이어 한국 방문 file 뉴스앤포스트 19.06.05.
1581 미국 야외활동의 계절, 진드기 조심 코리아위클리.. 19.05.31.
1580 미국 올랜도-웨스트 팜비치 잇는 고속철 공사 드디어 착공 코리아위클리.. 19.05.31.
1579 미국 경기 호황 속 미국 출산율 감소 지속, 대책 없나? 코리아위클리.. 19.05.31.
1578 미국 플로리다 바우처 프로그램, '연방빈곤선 300%' 이하로 확대 코리아위클리.. 19.05.31.
1577 미국 연방 법원, “푸에르토리칸에 이중언어 투표용지 제공하라” 코리아위클리.. 19.05.31.
1576 미국 하이웨이 인근 인공호수 낚시 문제 없나? 코리아위클리.. 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