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전문가 '부활절께 절정, 사망자 10만명 나올 수도'
 
4river.jpg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적 거리두기' 연방 기준이 앞으로도 최소한 한 달간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올랜도 롱우드지역 '포리버스' 식당 앞에서 음식 주문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차량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 연방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처를 위해서, 현재 지역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중 가운데 이를 시행하는 연방 기준이 앞으로도 최소한 한 달간은 유지될 것이라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말까지는 이같은 정책을 유지하겠다고 말하면서 길면 6월까지 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기간 동안 모든 사람이 이 기준을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이것을 더 잘 따를수록, 이 악몽이 끝나는 것도 빨라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원칙에 따라 '필수 업종'을 제외한 사업체들이 대면 영업을 중단하고, 연방 정부 기관들과 기업들도 대대적인 재택근무를 시행중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10명 이상 모임을 금지하고 있다.

당초 연방 당국은 15일간을 기한으로 정했고, 그 시한이 30일 자로 만료가 되어 한 달 동안 더 '사회적 거리두기'를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되도록 빨리 끝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는 "미국은 폐쇄를 위해 만들어진 나라가 아니다"라면서, 각 사업체의 정상화가 빠른 시일 내에 이뤄져야 한다는 희망을, 앞선 브리핑에서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4월 12일 부활절 즈음에는 전국의 사업체들이 다시 문을 여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이같은 희망을 접고 한발 물러선 것이다. 부활절께 코로나 감염 사례가 정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보건.방역 전문가인 앤서니 파우치 박사와 데버러 벅스 박사 등이 '사회적 거리두기' 한 달 연장을 강력 권고했다. 파우치 박사는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NIAID)'의 소장을 30년 넘도록 맡고 있고, 벅스 박사는 미 육군 군의관 출신인, 보건 외교 전문가이다.

파우치 박사는 29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 사태에 관한 전문적인 견해를 별도로 밝히면서 미국에서만 10만 명 넘는 사망자가 나올 수 있고, 감염자 수는 수백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번 사태가 언제까지 갈지에 대해서도 섣부른 희망적 판단을 경계하면서 "내일도 확실히 다음 주도 아니다"라면서 당분간 확산세가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사태 대응을 위해,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시켰다. 이 법은 전쟁 시에 관련 물자를 조달하기 위한 규정으로, 이에 따라 자동차 생산업체인 '제너럴 모터스(GM)' 등이 산소호흡기 등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제대 군인들을 다시 의료 지원 임무 등에 투입하도록 하는 조치도 단행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75 미국 강경화 장관 "북미, 구체적 행동으로 서로 신뢰 구축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10.13.
1374 미국 “보류처리 됐어도 투표할 수 있어요!” file 뉴스앤포스트 18.10.13.
1373 미국 미 보수 매체 TAC, 대북 여행 금지 해제 요구 file 코리아위클리.. 18.10.11.
1372 미국 10월은 '유방암 자각의 달', 정기검진 필요 코리아위클리.. 18.10.11.
1371 미국 열기 뜨거운 플로리다 연방상원의원 선거 코리아위클리.. 18.10.11.
1370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 후보 지지율 ‘막상막하’ 코리아위클리.. 18.10.11.
1369 미국 교육-연구용 시신 기증자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18.10.11.
1368 미국 뉴욕 교통혼잡료 시행될까 file 뉴스로_USA 18.10.07.
1367 미국 차기 조지아 주지사, 켐프가 앞서나?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7.
1366 미국 조지아주 세수 작년보다 7%이상 늘어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7.
1365 미국 플로리다 주택세 추가 공제 발의안, 60% 찬성 얻을까 코리아위클리.. 18.10.03.
1364 미국 플로리다대학, 미 전국 대학 랭킹 35위로 ‘껑충’ 코리아위클리.. 18.10.03.
1363 미국 ‘운전 은퇴’ 조언, 자녀가 나서는 것이 바람직 코리아위클리.. 18.10.03.
1362 미국 10월3일은 비상경보 훈련의 날 “놀라지 마세요”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2.
1361 미국 교육예산 늘려라? 학교 평가제도 바꿔라! file 뉴스앤포스트 18.10.02.
1360 미국 BTS 유엔연설 세계언론 주요뉴스 file 뉴스로_USA 18.09.27.
1359 미국 플로리다대학, 미 전국 대학 랭킹 35위로 ‘껑충’ file 코리아위클리.. 18.09.27.
1358 미국 식용 개 고양이 도살 금지법안 미 하원 통과 코리아위클리.. 18.09.27.
1357 미국 론 드샌티스 공화 주지사 후보, ‘친 트럼프’ 노골화 코리아위클리.. 18.09.27.
1356 미국 미국,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2.9% 코리아위클리.. 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