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식당들이 문을 열었다. 그렇다면 식당에 얼마나 가고 싶은가?
물리적 거리두기, 개인 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와 더 많은 부스 등 이제 외식하면 떠오르는 그림이 달라졌다. 일회용 종이 메뉴로 전환하고, 보도, 거리 또는 주차장으로 파티오를 확장하고, 직원들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캐나다 전역의 식당들이 점차적으로 다시 문을 열고 있다. 그런데 손님들은 돌아올 준비가 되었을까?
앵거스 레이드(Angus Reid)가 3개월간의 봉쇄생활 후 캐나다인들은 다시 외식을 기대하고 있지만, 18%만이 가능한 빨리 식당에 앉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38%는 여름 어느 시점에 처음으로 식당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33%는 COVID-19의 두 번째 웨이브가 지나간 후에 외식을 하려고 한다고 대답했다.
이번 보고서의 수석 저자이자 달하우지 대학(Dalhousie University)의 식품 유통 및 정책학 교수인 실베인 샬레보(Sylvain Charlebois)는 “우리는 사회적 동물로 결국 외출을 하게 될 것이며,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다시 사회적으로 관여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 위해 기다릴 수 없는 응답자들 중 퀘벡이 외식을 원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26%), 온타리오와 앨버타에서는 두 번째 웨이브에 대한 우려가 각각 43%와 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샬레보는 “지역적 차이는 주로 COVID-19 미디어 범위 때문이며, 사스캐치완 주에서는 온타리오와 같은 다른 주보다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캐나다인의 절반 이상인 52%가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외식을 미루고 있지만, 지역 식당에 투자를 해야한다는 결론을 제안했다. 응답자의 83%는 팬데믹 중 가장 좋아하는 식당에 주문을 했으며, 64%는 첫 번째 외출 때 독립 식당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대답했다.
달하우지 대학의 사회학 교수이자 보고서의 공동 연구자 중 한 명인 하워드 라모스(Howard Ramos)는 “대부분의 캐나다인들이 식당에 가고 싶다고 말해 좋은 소식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바로 가고 싶어하지 않아 나쁜 소식이기도 하다. 이는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에게는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들은 외식을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해 조심스러워 할지 모르지만, 설문조사에 따르면 그들은 독립 레스토랑을 가장 그리워하고 있다. 라모스는 중소기업들은 운영 재개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침에 맞추기 위해 추가 비용이 들어감으로써 재정적으로 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응답자의 26%는 일부 식당은 배치 때문에 회피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라모스는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은 더 넓게 펼쳐 놓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인들은 더 많은 플렉시 유리(Plexiglas, 60%)와 보호장비를 착용한 직원(78%)을 기대하고 있다. 이 또한 중소기업에게는 비용이 발생해 재정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샬레보는 “캐나다인들은 다시 외출하기를 원하지만, 밖으로 나가는 것을 조심스러워 하고 있다. 가장 그리운 식당으로 독립 식당을 열거하고 있지만, 방문해야 할 곳도 바로 이들 독립 식당들이다. 또는 상품권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이들 식당들이 재개를 늦추지 않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잘 알려진 체인이 전부가 아니다. 사람들은 소유권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으며, 이들이 실제로 지역 사회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팬데믹 다음 단계에서 외식은 다른 경험이 될 것이며, 설문 조사 결과 캐나다인들은 변화에 준비가 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더 적은 메뉴 옵션(29%)과 느린 서비스(36%)를 기대하고 있다. (박미경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5 미국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각급 학교 등교 재개 지침 내놔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4 미국 코로나 사망자 10만 명... 트럼프 "종교기관을 '필수업종'으로"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3 미국 신종 코로나로 대형 소매업체-백화점 폐점.파산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2 미국 오렌지카운티, 스몰비즈니스와 가정에 보조금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1 미국 자동차 가솔린, 아침에 주유하면 더 효율적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0 미국 팬핸들 그레이튼 비치 주립공원, 올해 '청정비치' 1위에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69 미국 플로이드 사망 사건 항의시위 격화 일로... 야간 통금 불구 시위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3.
1268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7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6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5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4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3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2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1 미국 장례/결혼식 허용 인원 50명까지 늘어 - 장례 가족들에게 도움돼 CN드림 20.06.17.
» 미국 캐나다 시민들, “외식 아직 조심스러워” - 응답자 18%만이 의사 밝혀 CN드림 20.06.17.
1259 미국 캐나다 재스퍼 국립공원 끔찍한 경기 둔화 - 여행객 끊기며 텅 빈 시내, 희망 있을까? file CN드림 20.06.17.
1258 미국 주정부, 세입자 퇴거-압류 임시 중지 7월초로 재 연장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7 미국 시위 취재 기자들, 경찰 공격으로 부상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6 미국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 경제 재건 천명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