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드샌티스 주지사 행정명령
 
open.jpg
▲ 플로리다주에서 실업급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세입자에 대한 퇴거 및 압류 모라토리엄(일시 중지)이 재차 연장된다. 사진은 메이트랜드시 소재 한 상점 앞에 행인들의 눈을 단번에 이끌 정도의 사이즈로 내걸어 놓은 '영업 오픈'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플로리다주에서 세입자에 대한 퇴거 및 압류 모라토리엄(임시 중지)이 또다시 연장된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모라토리엄을 7월 1일 오전 12시 1분까지로 1개월 간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모라토리엄과 관련한 세번째 행정명령이다. 주지사는 4월 2일 처음 행정명령을 내렸고 5월 17일 다시 2주간 늘린 바 있고, 이번에 다시 연장하게 된 것이다.

행정명령은 집주인들이 코로나바이러스 비상사태로 인해 집세를 내지 못하는 세입자들을 상대로 퇴거 절차를 제기하는 것을 막는다. 또 명령은 주택담보 대출 금융사들이 압류신청을 하는 것을 막는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실업과 수입 감소를 입은 세입자들은 모라토리엄이 해제되자마자 집주인들이 퇴거통보를 할 것을 우려했다.

특히 올랜도의 경우 테마공원들이 3월 중순경에 일제히 임시 폐쇄에 들어가면서 관광업 종사자들이 실업 늪에 빠졌다.

플로리다의 실업률은 2월 사상 최저치인 2.8%에서 4월에는 12.9%로 솟구쳤다. 메트로올랜도의 4월 실업률은 16.2%로 나타났다.

동시에 주정부의 실업급여에 대한 청구가 쇄도하고, 수천 명의 실직자들이 혜택을 받지 못해 대규모 압류 및 퇴거가 우려되고 있다.

애나 에스카마니 주하원의원(올랜도)는 <올랜도센티널>에 보낸 성명에서 "주민들이 정상적인 월급을 받기 전에는 실업급여를 전액 지급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4월부터 모라토리엄의 연장을 요청해 왔으며, 비록 막판에 발표된 발표가 여전히 실업급여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안겨주긴 했지만, 연장이 되어 기쁘다"고 전했다.

한편 주지사의 행정명령에도 불구하고 일부 임대인들은 세입자 퇴거를 위해 카운티 법원에 압류 및 퇴거 소송을 내고 있다. <올랜도센티널>에 따르면 올랜도를 아우르는 오렌지 카운티에만 80건의 소송 신청이 올라와 있다.

주지사의 행정명령은 법원의 압류 및 최거 절차에 대한 진행을 막는다. 만약 세입자를 퇴거시키기 위한 절차의 마지막 단계인 이른바 '소유 영장(writ of possession)'이 떨어지면 세입자들은 24시간 내 나가야 한다.
  • |
  1. open.jpg (File Size:59.6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5 미국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각급 학교 등교 재개 지침 내놔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4 미국 코로나 사망자 10만 명... 트럼프 "종교기관을 '필수업종'으로"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3 미국 신종 코로나로 대형 소매업체-백화점 폐점.파산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2 미국 오렌지카운티, 스몰비즈니스와 가정에 보조금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1 미국 자동차 가솔린, 아침에 주유하면 더 효율적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70 미국 팬핸들 그레이튼 비치 주립공원, 올해 '청정비치' 1위에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1.
1269 미국 플로이드 사망 사건 항의시위 격화 일로... 야간 통금 불구 시위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6.03.
1268 미국 주 공화 의원, 트위터에 AR-15 소총 올려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7 미국 민간 유인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6 미국 트럼프 대통령, 사회연결망(SNS) 회사 무한 권한에 제동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5 미국 미국 대기업들, "침묵은 곧 동조" 시위 동참 지지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4 미국 세미놀 카운티, 코로나 피해 스몰 비즈니스에 무상보조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3 미국 코로나19 관련 '어린이 괴질', 드물지만 증가 추세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2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학생 여름 캠프 및 스포츠 재개 허용 코리아위클리.. 20.06.10.
1261 미국 장례/결혼식 허용 인원 50명까지 늘어 - 장례 가족들에게 도움돼 CN드림 20.06.17.
1260 미국 캐나다 시민들, “외식 아직 조심스러워” - 응답자 18%만이 의사 밝혀 CN드림 20.06.17.
1259 미국 캐나다 재스퍼 국립공원 끔찍한 경기 둔화 - 여행객 끊기며 텅 빈 시내, 희망 있을까? file CN드림 20.06.17.
» 미국 주정부, 세입자 퇴거-압류 임시 중지 7월초로 재 연장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7 미국 시위 취재 기자들, 경찰 공격으로 부상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
1256 미국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 경제 재건 천명 file 코리아위클리.. 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