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부 "정당한 사유" 있어야 규제... 마스크 착용 규정은 그대로

 

 

open.jpg
▲ 플로리다주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따른 경제제재 조치를 한 단계 완화했다. 이에 따라 식당과 술집은 제한 없이 풀가동할 수 있게 됐다. 사진은 플로리다 메이트랜드시의 한 업소 앞에 내걸린 오픈 홍보 현수막.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플로리다주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따른 경제제재 조치를 한 단계 아래로 낮췄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는 지난 25일 세인트피터스버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경제 정상화를 위해 현재의 2단계 제재에서 3단계로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식당과 술집은 제한 없이 풀가동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플로리다주 대부분 지역에서는 6월 초부터 식당들이 최대 수용 가능 인원의 50%만 가능한 2단계 조치에 따라 영업을 해왔다. 술집도 50% 수용량으로 영업이 가능했지만 주류판매는 최근에서야 허용됐다.

이번에 내려진 주지사 명령은 지역정부 자체 규정에 앞선다. 주지사는 "시 및 카운티 정부는 50%의 수용 제한을 여전히 실행할 수 있지만, 그럴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마스크 착용 의무 규정은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드샌티스는 공공장소에서 얼굴을 가리지 않은 것에 대해 지방정부가 벌금을 부과하지 못하게 했다. 센트럴플로리다 세미놀 카운티의 경우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벌칙이 있지만, 실제로 벌금형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 주 및 연방 보건 관리들은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으로 거리를 두는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마스크 착용에 대한 자체 규칙을 가지고 있다.

테마파크와 체육시설, 소매업은 5월부터 문을 연 이후 실내 수용량 제한과 마스크 시행 등 자체적인 규칙을 계속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월트디즈니월드, 유니버설, 시월드는 6월과 7월에 재개장한 이후 모두 마스크와 사회적 거리를 두는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다.

한편 공화당 출신인 드샌티스는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선례를 주로 따랐다. 특히 선거를 앞둔 상태에서 미국내 대표적인 경합주인 플로리다의 경제제재 조치 완화는 미국 경제가 정상 궤도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드샌티스는 최근 수 주 동안 신종코로나 환자의 증가세가 완만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원들은 드샌티스의 행정명령이 시기상조라고 비난했다. 카를로스 기예르모 주 하원의원은 "드샌티스가 신종코로나 방역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트럼프처럼 시도조차 완전히 포기한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린다 스튜어트 주 상원의원도 "플로리다에서는 상당히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고 있다"며 공공의 건강과 관련된 사안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번 주지사 행정명령은 신종코로나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확산세가 꺾이긴 했지만 아직은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는 전문가들의 판단이 앞서고 있다.

행정명령이 나온 25일만 해도 코로나바이러스 환자가 2847명이 추가되어 주 전체 감염자 수는 69만5887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22명이 늘어나 1만4000명을 넘겼다.

전국적으로 사망자 수는 거의 20만 3천명에 달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일일 확진자 수는 지난 14일에 걸쳐 17%나 급증했고, 사망자 수는 5% 급증했다. 최근 캐나다와 유럽에서도 확진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 |
  1. open.jpg (File Size:20.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5 미국 ’김영란법’도 울고갈 미국법 뉴스로_USA 18.03.04.
1154 미국 美 겨울폭풍 노리스터 상륙 file 뉴스로_USA 18.03.03.
1153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와 주의회, 총기 규제안 내놨다 코리아위클리.. 18.03.02.
1152 미국 플로리다 고교, AP 통과율 전국 4위 코리아위클리.. 18.03.02.
1151 미국 플로리다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2위 차지 코리아위클리.. 18.03.02.
1150 미국 뉴욕서 ‘트럼프-김정은’ 반핵안내문 file 뉴스로_USA 18.03.02.
1149 미국 유엔, 24시간 성희롱신고 핫라인 운영 file 뉴스로_USA 18.03.02.
1148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美전역 추모 열기 file 뉴스로_USA 18.03.01.
1147 미국 페덱스 “美총기협회 회원들에 할인혜택 지속” 뉴스로_USA 18.03.01.
1146 미국 전임 달라스 시장 “총기협회, 달라스 오지마라” KoreaTimesTexas 18.02.26.
1145 미국 알아두면 쓸데 많은 세금보고 상식 KoreaTimesTexas 18.02.26.
1144 미국 아동건강보험 CHIP 이용했어도 ‘영주권 거절’ KoreaTimesTexas 18.02.26.
1143 미국 벼랑끝 몰린 뉴욕의 택시기사들 file 뉴스로_USA 18.02.26.
1142 미국 美타코벨 한인고객 인종차별 조홍 file 뉴스로_USA 18.02.26.
1141 미국 뉴욕서 컬럼버스데이 ‘원주민의 날’로 개명 file 뉴스로_USA 18.02.25.
1140 미국 상업적 우주산업에 봄 오나... ‘팰컨 헤비’ 발사 성공 코리아위클리.. 18.02.24.
1139 미국 식기 세척기 이용, 1년에 3주 쉰다 코리아위클리.. 18.02.24.
1138 미국 모기로 모기 잡는다…마이애미 지역 세균 감염 모기 방사 코리아위클리.. 18.02.24.
1137 미국 잔디 깎는 기계, 사람 잡는다... 안전수칙 잘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02.24.
1136 미국 빌리 그레이엄 목사 100세 타계 file 뉴스로_USA 1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