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월만에 코로나 감염자 4배… "2회 접종 완료시 델타 방어율 95%"

 

 

free.jpg
▲ 미국에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증가하면서 미국 최고위 보건당국자가 위험성을 다시 경고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시 콜로니얼 선상의 바넷 공원 입구에 부착된 코로나19 검사소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최고위 보건 당국자가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위험성을 다시 경고했다.

로셀 윌런스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은 지난 22일 언론브리핑에서 “델타 변이는 내 20년 경력 중에 우리가 봐 온 가장 전염력 강한 호흡기 바이러스의 하나”라면서 “델타 변이는 앞서 전파된 질환들보다 공격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바이러스는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다음 감염시킬 취약한 사람을 찾고 있다"라고 경고했다.

변종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생기고 있다. 대체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해서 위험 요소가 커지는 중이다. 치명률이 더 높은 경우도 있는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베타, 그리고 인도에서 나온 ‘델타’가 대표적이다. 그중에서도 델타가 세계 곳곳에서 우세 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의 상황도 예외가 아니다. 최근 확진 건수의 약 83%를 델타 변이가 차지하는 것으로 CDC 자료에 나타났다. 최근 확진자 열 명 가운데 여덟 명은 ‘델타’ 변이에 감염된 셈이다. 7월 3일 주간만 해도50% 정도였던 것이 껑충 뛰었고, 그 비중이 더 높아지는 추세다.

미국에서는 백신 접종을 본격화한 뒤 확진 건수가 꾸준히 줄어들었으나, 최근 증가세로 다시 돌아섰다. 델타 변이가 빠르게 퍼지는 것이 이런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한 달 전인 지난달 20일 하루 9800여 명에 불과했던 확진자는 26일 오전 현재 매일 4만 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한 달여 사이 9800명대에서 1만 건대로, 다시 1만 건대에서 2만 건대로, 이어서 4만 건대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상황이 이같이 악화하면서 월런스키 CDC 국장은 “우리는 이번 팬데믹에서 또 다른 결정적 순간에 있다”라고 강조하고 “확진 건수가 다시 늘고, 일부 의료시설에서 수용 한계에 이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해 “한 나라로 뭉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자는 요청이다.

그는 “만약 백신을 맞지 않았다면 델타 변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라면서 “백신을 맞지 않았는데 확진자가 늘어나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 있다면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26일 오전 현재 미국 전체 접종 현황을 보면, 전체 접종률은 49.1%이고 최소 한 차례라도 접종한 비율은 인구의 절반이 조금 넘는 56.8%이다. 18세 이상 성인의 접종률은 60%, 한 차례라도 맞은 사람은 69%이다.

백신 물량은 충분한데, 바이든 행정부에 반감을 가진 공화당 지지층, 그리고 백신의 효능을 불신하는 일부 집단에서 접종하지 않고 있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비벡 머시 연방 의무총감은 지난 18일 방송 인터뷰에서 “백신을 맞은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보호를 받는다”고 밝혔다. 주요 백신 개발사인 화이자 측도 “우리 백신은 (기존 바이러스뿐 아니라) 델타 변이에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언론에 설명한 바 있다.

이런 내용을 객관적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유력 학술지 <네이처>는 논문을 통해 화이자 제품같이 두 번 접종하는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델타를 비롯한 변이 바이러스를 막는 효과가 95%에 달한다고 보고 했다.
  • |
  1. free.jpg (File Size:77.6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5 미국 콘도 구입, 무엇을 유의해야 하나? 코리아위클리.. 17.08.21.
874 미국 미국의 다양한 유기농 표기, 어떻게 구별하나? 코리아위클리.. 17.08.20.
873 미국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발언 배넌 경질 뉴스로_USA 17.08.20.
872 미국 만만찮은 미국 장례 비용, 준비는 어떻게? file 코리아위클리.. 17.08.19.
871 미국 에퀴티 융자, 부동산 구입 등 용도 다양하다 코리아위클리.. 17.08.19.
870 미국 "문재인, 트럼프에 이례적 비난과 경고" 코리아위클리.. 17.08.18.
869 미국 “스톤마운틴 남부군 영웅 3인 조각 지워라” file 뉴스앤포스트 17.08.18.
868 미국 SF에 나올법한 ‘냉동인간’, 과연 현실화 될까? 코리아위클리.. 17.08.17.
867 미국 99년만의 개기일식, 21일 하늘이 달라진다 코리아위클리.. 17.08.17.
866 미국 크루즈 여행 계획은 '선입관' 제거부터 코리아위클리.. 17.08.17.
865 미국 바닥 친 신용점수 어떻게 끌어 올릴까 file 코리아위클리.. 17.08.17.
864 미국 3대도시 ‘트럼프전쟁책동’ 규탄시위 file 뉴스로_USA 17.08.17.
863 미국 카터 전 대통령 ‘북에 대한 군사 조치 포기 확약하라’ 코리아위클리.. 17.08.15.
862 미국 미국서 집 사기전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코리아위클리.. 17.08.15.
861 미국 美메가복권 3억9300만달러 당첨, 파워볼은 불발 뉴스로_USA 17.08.14.
860 미국 미국서 집 살 때 들게 되는 보험들 file 코리아위클리.. 17.08.14.
859 미국 美 반인종주의 시위대에 차량돌진 테러 file 뉴스로_USA 17.08.13.
858 미국 플로리다 유일의 관광 동굴을 아시나요? 코리아위클리.. 17.08.13.
857 미국 트럼프, 지지율 폭락 속 취임 200일 맞아 코리아위클리.. 17.08.11.
856 미국 다른 집은 빨리 팔리는데, 우리 집은 왜 안 팔려? file 코리아위클리.. 17.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