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가정 중 3.5%만이 진정한 부자, 이들의 공통점은?
 
hong.jpg

 
(로스앤젤레스=코리아위클리) 홍병식(내셔널 유니버시티 교수) = 부자가 되고싶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부자가 되기 위한 기본 자세를 배우려 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부자가 되는 속결 지름길은 없다고 하겠습니다.

연수입 $100,000의 가정 중에서 이렇다 할 저축을 한 가정은 극소수라는 점에 놀라실 것입니다. 돈을 더 버는 것보다 번 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집중하는 노력이 더 필요합니다.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일찍이 말했습니다. “1센트를 절약하는 것은 1센트를 버는 것이다.”

미국 가정 중 3.5%만이 참으로 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의 다섯 가지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거의 대부분의 부자들은 값비싼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 고급의상을 입지 않으며 지나치게 비싼 요리집을 이용하지 않고 고비용 휴가를 가지 않는다.
2. 거의 대부분의 부자들은 돈을 물려 받지 않았다.
3. 거의 대부분의 부자들은 일을 열심히 한다.
4. 거의 대부분의 부자들은 재능이 뛰어나거나 두뇌가 비상하거나 잘생긴 사람이 아니다.
5. 거의 모든 부자들은 부촌에 살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들은 그들의 이웃보다 6배의 부를 갖고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그들이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 어떤 윈칙을 갖고 실천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들은 수입보다 훨씬 낮은 지출을 한다.
2. 그들은 시간, 에너지 및 돈을 사용함에 있어서 부를 축적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3. 그들은 재정적인 독립이 위신을 보이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4. 그들의 부모는 자녀들에게 무조건 주기만 하지 않았다.
5. 그들의 성인자녀들도 경제적으로 자급자족을 하고 있다.
6. 그들은 재정시장이 갖는 기회를 잘 포착한다.
7. 그들은 자기들에게 맞는 직장에 종사를 한다.


이웃집 백만 장자(The Millionaire Next Door)의 저자는 아래와 같은 12 가지의 원칙을 배워서 실천하라고 권고합니다.

1. 부자로 보이는 것과 참으로 부자가 되는 것과의 중요한 차이를 알라.
2. 부를 축적하지 못하는 것과 크게 축적하는 차이를 배우라.
3. 생애의 단계를 나누고 각 단계마다 얼마만큼의 부를 축적할 것인지 목표를 세우라.
4. 과소비 배우자를 변화시켜서 검약정신을 갖추도록 하라.
5. 백만장자들이 별볼일 없는 부문에서 검약으로 축부를 한 점을 배우라.
6. 매일 지출하는 금액과 내역을 기록하여 자주 검토하라.
7. 일별, 주별, 월별, 연별, 그리고 일생을 위한 재정목표를 정하라.
8. 만족지연을 습관화 하라.
9. 물건을 구매하려면 매년 해가 갈 수록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사도록하라, 그러기 위해서 주택은 되도록 빨리 사라.
10. 고급자동차를 살 것을 되도록이면 피하라. 참 부자들이 타고 다니는 자동차를 보면 놀랄 것이다.
11. 자녀들에게 부를 퍼주면 그들을 빈곤으로 몰고 간다는 것을 알라.
12. 신용카드 사용을 자제하라. 현금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신용카드 사용은 10번의 기회에 한번 이상을 넘지 말라.


이상의 권고는 누구나 배워서 실천할 수 있습니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금연을 하면 건강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한달에 $150를 절약할 수가 있습니다. 기타 하지 않아도 생활에 아무런 지장이 없는 고비용 취미와 구매를 자제하면 놀랄만한 절약을 할 수가 있습니다.

국내외를 여행하면서 여행비용이 세금공제가 될 수 있는 목적에 적합한지 먼저 고려하는 것도 현명하다고 하겠습니다.

과도한 주택이나 자동차를 구매하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는 것도 중요한 축부의 윈칙입니다. 이상 몇 가지 말씀드린 것은 다 알고 있는 원칙이겠지만 다시 한번 상기시켜 드리려는 의미에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35 미국 중앙플로리다에 의료 시설 ‘우후죽순’… 경쟁 치열 코리아위클리.. 18.02.11.
2134 미국 여행중에는 익숙한 ‘체인 식당’이 반갑다 코리아위클리.. 18.02.11.
2133 미국 뉴욕오픈테니스 11일 개막 file 뉴스로_USA 18.02.11.
2132 미국 美켄터키에서 총기범행 5명 숨져 뉴스로_USA 18.02.13.
2131 미국 美학교 총격사건 올해만 18번째 file 뉴스로_USA 18.02.16.
2130 미국 플로리다 고교서 총격, 최소 17명 사망 ... 범인은 퇴학생 KoreaTimesTexas 18.02.16.
2129 미국 학교총격 계획 18세 ‘체포’ … 수류탄 등 압수 KoreaTimesTexas 18.02.16.
2128 미국 특미 파머스마켓들, 틈새 시장 공략에 ‘올인’ 코리아위클리.. 18.02.17.
2127 미국 “시끄러워 못살겠다” 이웃 남성 총격 살해 file 코리아위클리.. 18.02.17.
2126 미국 자전거에도 ‘우버 시스탬’… 중국 업체 플로리다 상륙 채비 코리아위클리.. 18.02.17.
2125 미국 미국 교실에 침투하는 중국, ‘공자학당’을 경계하라 코리아위클리.. 18.02.17.
2124 미국 뉴욕의 ‘교도소 섬’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18.02.19.
2123 미국 케빈 앤더슨 뉴욕오픈 우승 file 뉴스로_USA 18.02.20.
2122 미국 “정신이 문제가 아니라 총이 문제다” 뉴스로_USA 18.02.22.
2121 미국 뉴욕 W카운티 ‘총기박람회’ 금지 file 뉴스로_USA 18.02.22.
2120 미국 빌리 그레이엄 목사 100세 타계 file 뉴스로_USA 18.02.22.
2119 미국 잔디 깎는 기계, 사람 잡는다... 안전수칙 잘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02.24.
2118 미국 모기로 모기 잡는다…마이애미 지역 세균 감염 모기 방사 코리아위클리.. 18.02.24.
2117 미국 식기 세척기 이용, 1년에 3주 쉰다 코리아위클리.. 18.02.24.
2116 미국 상업적 우주산업에 봄 오나... ‘팰컨 헤비’ 발사 성공 코리아위클리.. 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