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턴, 6년 연속 1위 뉴스>
 
um.jpg
▲ 마이애미대학이 올해 대학 평가에서 44위를 기록, 플로리다대학에 한발 앞섰다. 사진은 대학 웹사이트 화면 모습. ⓒ welcom.miami.edu 뉴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마이애미대학(UM)과 플로리다대학(UF)이 올해 공.사립을 합한 전국 대학랭킹에서 50위 안에 들었다. '톱 공립대학' 부문에서도 두 대학은 지난해 보다 더 높은 순위에 올랐다.

연례적으로 미국내 대학들을 평가해 온 <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이하 US뉴스)가 최근 발표한 '베스트 칼리지 2017' 종합대학 부문에서 사립 마이애미대학은 44위(다른 6개 대학 공동 순위)를 차지했다.

2년전 플로리다대학(UF)과 공동 48위를 차지했던 마이애미대학은 지난 해 51위를 기록, 5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나 올해 재진입했다. 마이애미대학은 2011년에는 38위까지 올라가기도 했으나 이후 점차 떨어졌다. 학교 측은 학생들의 졸업률과 기금 모금 요소가 순위하락에 영향을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내비친 바 있다.

플로리다대학은 한동안 5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나 2013에 재진입했고, 올해는 50위에 턱걸이를 했다. 플로리다대학은 전국 주립대학 순위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

2013년에 사상 처음으로 100위권에 진입한 텔러해시 소재 플로리다주립대(FSU)는 지난해 96위에서 올해는 92위로 상승했다.

탬파 소재 사우스플로리다대학(USF)은 지난해 156위에서 올해 159위로, 멜본 소재 플로리다 기술대학(FIT)은 161에서 171위, 올랜도의 센트럴플로리다대학(UCF)은 지난해 168위에서 올해 176위로 모두 조금씩 뒤로 물러났다.

포트로더데일 소재 노바사우스이스턴 대학은 214위를 기록, 총 310개 순위 대학군에 속했다. 이밖에 베리대학, 플로리다A&M대학, 플로리다애틀랜틱대학(FAU), 플로리다인터내셔널대학(FIU), 웨스트플로리다대학(UWF) 등은 순위가 별도로 매겨지지 않는 2군 대학(second-tier)에 올랐다.

사라소타 소재 소규모 학교인 뉴 칼리지(New College)는 인문학, 사회과학 등 학부 중심 4년제 대학(리버럴아츠) 순위에서 전국 90위, 에커드 칼리지(Eckerd College)는 전국 122위를 기록했다. 이중 뉴 칼리지는 12년 연속 전국 공립 리버럴아츠 칼리지 ‘탑6’에 이름을 올렸다.

는 같은 순위 학교가 여럿일 경우 학교 숫자 만큼 건너 뛴 다음 순위를 매긴다. 가령 6개 학교가 같은 점수로 44위를 기록했을 경우 다음 순위는 50위다.

올랜도 소재 롤린스 대학, 남부지역 대학 순위서 2위

는 학사와 소수 석사과정이 있는 중소 대학을 동부, 서부, 북부, 남부 그리고 유니버시티와 칼리지로 나누어 각각 순위를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남부 유니버시티 부문 1위였던 올랜도 소재 롤린스 칼리지는 올해는 2위, 올랜도 북부 디랜드에 위치한 스텟슨 칼리지는 지난해와 같은 5위를 기록했다. 탬파대학은 21위이다. 남부 칼리지 부문에서는 플래글러 칼리지가 2위에 올랐다.

한편 는 프린스턴대학을 6년 연속 미국 최고의 대학으로 선정했다. 이어 하버드대학이 2위, 예일대•시카고대(공동 3위), 컬럼비아대•스탠퍼드대(공동 5위), 매사추세츠공과대학(7위) 순이었다.

학부 중심 대학분야에서는 매사추세츠주의 윌리엄스 칼리지가 1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는 미국 1800개 대학을 대상으로 입학 성적과 지원 경쟁률, 평판, 졸업률, 교수 자원, 학생 1인당 교육 지출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983년부터 연례 대학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지닌 교육을 순위로 평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대학 선정시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다며 비판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위는 일정 부분 대입 가이드 역할을 해오고 있어 대학측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 명문대학이 종종 SAT 성적을 부풀린 사례들은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뉴스>뉴스>뉴스>뉴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75 미국 플로리다, 재산보험 해결 위해 보험사에 자금 투여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2874 미국 바이든 행정부, 2025년까지 노숙자 25% 줄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2873 미국 미국 공항 총기 적발 건수 역대 최다, 한해 6300정 file 코리아위클리.. 22.12.26.
2872 미국 탬파는 탬파, '탬파베이'가 아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71 미국 지방정부 무신론자 기도에 기독교 신자 대응 기도 '논란'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70 미국 교통법규 위반 탬파경찰서장, 배지 내보이며 '보내달라'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9 미국 올해 허리케인, 200년 묻혀있던 난파선 드러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8 미국 올랜도시, 도심지 밤 규제 위해 식당-바-나이트클럽 '구분'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7 미국 미국 주정부들, 중국 동영상 공유 앱 '틱톡' 규제 본격화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6 미국 미 하원도 동성결혼 보호 '결혼 존중법안' 무사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5 미국 엘런 재무 "내년 말까지 인플레이션 대폭 낮아질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2.12.17.
2864 미국 미국, 석유 300만 배럴 구입 저장고 추가 file 라이프프라자 22.12.17.
2863 미국 이웃집 나무가 우리집에 피해, 책임은 누구에게?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2862 미국 21년째 미완성 올랜도 ‘머제스티 빌딩’... 언제 끝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2861 미국 찬반 묻는 플로리다 헌법개정안, 모두 문턱서 좌절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2860 미국 올랜도 주택시장, 느리지만 안정적 시장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2859 미국 디즈니월드 12월8일부터 입장료 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8.
2858 미국 이젠 미국서 처방전 없이 보청기 구매 가능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
2857 미국 미국내 겨울 독감 극성… 11월 중순까지 3천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
2856 미국 미국 낙태 여성 반수 이상 임신 중절약 사용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2.06.